배전반
대리석판, 강판, 목판 등에 개폐기, 과전류차단기, 계기(전류계, 전압계, 전력계, 전력량계 등) 등을 장비한 집합체를 말한다.- 수전용, 전동 기의 제어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포함되나 분전반은 포함되지아니한다.
배전반
한 빌딩 내와 같은 동일 전압의 전력배전에 사용되는 전력용 장치부. 나이프 스위치(knife switch), 공기 차단기(air circuit breaker), 그리고 퓨즈는, 일반적으로 배전반의 회로 차단에 쓰이고 전압은 600V를 거의 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배전반은 고압 인입 전원(high-tension incoming supply)회로와 강압 변압기(stepdown transformer)를 위한 장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배전상자
광업에서 밀폐함을 가지는 휴대가능한 장치. 이 장치에 의해 한 전기 회로가, 어떤 인입 급전 선로(incoming feed line)로부터 하 나 이상의 machine trailing 케이블로 보내진다. 각각의 trailing 케이블은 개별적인 과전류 보호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배전선로 자동화단말장치
가공배전선로에 설치 되어 상시 배전선로에 흐르는 전류, 전압, 전력을 계측하고 배전선로에 부하전류 발생 및 사고시 그상태를 감지하여 주장치로 전송하여 사고를 최소화하는 장치. 또한 배전선로상에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저장하여 사고원인의 해석을 제공하며, 원격에서 상태감시 및 부하개폐기 제어를 처리한다
배전선로 증설비용
배전선로의 전기소비자가 새로이 전기를 사용하거나 계약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새롭게 시설하거나 변경등을 반영한 증설 비용.
배전선로 지능형 디지털전자장치
구간 부하를 측정하고 전 계통의 상태를 추정 및 감시할 수 있고 중앙제어방식의 운영시스템이 없는 상황에서도 배전기기간의 P2P 통신을 통하여 양방향 고장검출을 통해 발생한 고장구간을 자동분리하고, 건전구간의 절체를 수행하는 장치
'전력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전자동화시스템, 배전전류제한퓨즈, 배전전압, 배전절단장치, 배전중심, 배전케이블 (0) | 2020.05.29 |
---|---|
배전손실, 배전시스템, 배전시스템자동화프로토콜, 배전용 퓨즈의 중간전류정격, 배전용변전소, 배전자동화 (0) | 2020.05.29 |
배전계통, 배전계통 상태추정, 배전계통운영자, 배전관, 배전관리시스템, 배전망 (0) | 2020.05.28 |
배수종점, 배수현상, 배연탈초장치, 배연탈황장치, 배전, 배전간선 (0) | 2020.05.28 |
배선도, 배선용차단기, 배선퓨즈 링크의 표준 전류, 배송망, 배수곡선, 배수길이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