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플리넘
gas plenum
플리넘 쳄버라고도 하며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휘발성 핵분열 생성물의 축적이 과대한 연료봉 내압을 초래하지 않도록 연소봉 내에 설정한 간격. 펠릿 stack의 상부에 설정하는 것이 보통이나 하단부에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그 용적은 경수로 연료에서는 연료용적의 5∼10%이며 연료봉 내압이 원자로 압력을 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고속로 연료에서는 100%이 FP가 플리넘에 방출되더라도 연료봉 내압이 70㎏/㎠정도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플리넘의 길이는 연료 유효길이의 70∼80%이다.=plenum chamber
가스확산법 [기체확산법]
gaseous diffusion (process)
동위원소 분리법의 하나. 분자량이 다른 가스(또는 증기)가 가는 구멍 또는 다공질의 격막을 통과하는 속도가 다른 점을 이용한 것. 가벼운 동위원소는 무거운 것 보다도 빨리 격막을 통과한다. 우라늄 235의 분리에는 육불화우라늄(UF6)을 사용한다. 가스확산법은 현대 미국·영국·러시아·프랑스·중국 등에서 우라늄을 공업적 규모로 농축하고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 이유로는
① 비교적 단순한 농축(분리)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다.
② 조작의 조건·방법에 큰 융통성을 가지고 있다.
③ 처리량을 크게 할 수가 있다. 즉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④ 농축계수가 여러 방법 중에서 크다는 것 등이다. 한편,
① 농축분리의 메커니즘,
② 장치의 재료,
③ 다공질 격막,
④ cascade,
⑤ 압축기,
⑥ 안정성,
⑦ 경제성(대량의 전력이 필요) 등에 문제점이 있다.
☞ diffusion plant, cascade
가압기
pressurizer
노심에서 냉각재의 비등을 억제하기 위해서 포화압력을 넘는 가압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장치 일번적으로 강철로 만들어진다. 일례로서 800MW의 가압수형 원자로의 대표적인 가압기는 약 42~45m3이고 내경 2.8m 두께 15.2cm 이다. PWR용어
가압수형 원자로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감속재와 냉각재로서 경수르 사용하며 높은 압력을 가해서 끓는 것을 막고 있는 형의 원자로 경수로의 일종 경수에 보통 100~150기압 정도의 압력을 가한다. 이로 인해서 노심에서 발생한 열을 끄집어 내는 1차 계통과 터빈으로 보내기 위한 증기를 발생하는 2차 계통은 열교환기에 의해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이 형의 발전용 원자로는 우리 나라를 위시한 여러나라에 건설되고 있다. 또 원자력 잠수함용의 원자로도 이 형이다. 연료로서는 거의 저농축 우라늄 산화물을 사용한다. 현재는 노심 속에서 비등을 억제하는 정도가 초기의 것에 비해 점점 완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 형의 원자로가 가장 많이 운전 및 건설되고 있다.
'원자력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이거-누탈의 규칙, 가이거-뮐러계수기, 가이거-클렘페러계수기, 가이거계수영역 (0) | 2020.07.22 |
---|---|
가압연료봉, 가압형 로, 가연성독물, 가이거 플래토 (0) | 2020.07.22 |
가스증폭, 가스증폭률, 가스터빈, 가스투과율 (0) | 2020.07.22 |
가스시료채취기, 가스원심분리기, 가스유입식 계수기, 가스정화 (0) | 2020.07.22 |
가스냉각 고속증식로, 가스냉각로, 가스냉각재, 가스노심 (0) | 2020.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