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 웰
dry well
개량형 비등수형 원자로에 있어서 원자로 및 주요 보조기기를 수용하는 container에 압력억제형 컨테이너가 채택되고 있는데 그 중 냉각재 상실사고시 기수혼합물을 방출하는 flush형의 부분을 dry well로 방출 된 후 vent관을 거쳐 항상 물이 비축되어 있는 suppression chamber로 유도되어 냉각·응축되어 컨테이너 내의 압력상승을 억제한다.
드라이서 조건
Dreicer('s) condition
플라즈마 내에 외부에서 전기장을 걸어주면 전자 및 이온은 그 전기장에 의하여 가속된다. 한편, 그 가속된 입자는 다른 플라즈마 입자에 의하여 감속되는데 그 감속효과는 속도가 빠를수록 나빠진다. 따라서 외부의 전기장이 어느 값 이상으로 되면 감속 보다 가속효과가 커진다. 이 임계조건을 드라이서 조건이라 한다.
드레인
drain
① 조중수:비료공장에서 전해공정 중 증발한 증기를 전해법으로 냉각시켜 도로 물로 만드는 것으로서 중수 함유량이 높아져 있으므로 이것을 이용해서 중수를 농축할 수 있다.
② 원자로용기·열교환기·각종 tank등에서 배출된 액체.
드리프트
drift
① 물질 내의 입자가 Brown 운동을 하면서 외력의 작용을 받아 이동하는 현상.
② 하전입자는 자기장 내에서 자력선에 감겨서 나선운동을 하나 자기장의 변화나 외력의 작용에 의해서 자력선에 수직으로 이동하는 현상. 그의 속도 ωD를 drift velocity(드리프트 속도)라 한다. ωD는 일반적으로 하전입자의 질량에 따라서 달라지나 균일한 자기속 밀도B와 전기장 E의 장에서 자기속 밀도의 크기를 B, 진공 중의 광속도를 c라고 하면 ωD=cE×B/B2가 되어 입자의 질량에는 무관하며 전기장에도 수직이 된다.
③ 측정기의 측정대상이나 조건을 일정하게 해 두어도 측정기가 지시하는 값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이탈해가는 현상 또는 그 이탈의 값을 말한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