립법
RIP [resin in pulp] process
우라늄의 조제련공정으로 침출액에서 우라늄을 농축·정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이온 교환수지법의 일종이다. 침출액 속에 현탁입자가 많은 경우, 완전한 청정화·여과를 기다리지 않고 침출액 펄프에서 직접 수지에 우라늄을 흡착시키는 것
☞ pulp
릿징
ridgging
경수로 핵연료의 표면에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로 원주 방향으로 고리처럼 부풀어 오른 대나무 마디 모양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 펠릿-피복 사이의 역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전형적인 예이며 조사에 의하여 펠릿이 장구 모양의 열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생긴다고 보고 있다. 릿징 대상으로서는 쳄퍼형 펠릿·가압헬륨 봉입·펠릿 높이의 축소·쳄퍼형 펠릿에 다시 dish를 붙인 것 등이 고려되고 있다.
☞ pellet-clad interaction
마개
closure
일반적으로 둘러쌈을 지칭한다. 고온가스로에서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원자로 용기(PCRV)에 몇 개의 관통부를 설치해야 하며 이들 관통부에서 PCRV(관통구멍 내면은 금속제로 내장되어 있음)와 관통물과의 틈에서 가스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한 마개가 붙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순환기용 관통부나 증기발생기용 관통부 등의 마개가 있으며 어느 것이나 관통구멍과 관통물 사이의 환상부를 관통공의 출구부에서 금속제의 판상 구조물로 덮는 형태로 되어 있다.
마그네슘
magnesium
원소의 하나. 기호 Mg. 원자번호 12. 원자량 24.305. 질량수 24, 26, 25 및 28(β-), 27(β-), 23(β+). 은백색의 경금속. 용융점 650℃. 비등점 1,107℃. 비중 d20=1.741. 열중성자 흡수단면적 0.059b. 산에 녹기 쉽고 수소를 발생시키면서 염류를 만든다. 표면은 반응을 일으키기 쉽고 산화물·황화물·크롬산염·불화물 등이 생겨서 보호피막이 되며 내식성을 가지게 된다. 미세한 분말이나 박으로하면 공기 중에서 쉽게 발화한다. 탄산가스에 의한 부식도가 적으며 600℃에서도 우라늄과 반응하지 않으므로 핵연료의 피복재로 적합하나 일반적으로 마그네슘 합금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다.
☞ magnox
'원자력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모, 마모패드, 마손, 마손부식 (0) | 2020.07.26 |
---|---|
마그네트론, 마그녹스, 마그녹스 원자로, 마력 (0) | 2020.07.26 |
리튬냉각게통, 리튬드리프트형 게르마늄검출기, 리튬폭탄, 리펄퍼 (0) | 2020.07.26 |
리크연료, 리토르트처리, 리튬, 리튬 블랭킷 (0) | 2020.07.26 |
리스캔, 리스크, 리스크계수, 리이비히광 (0) | 2020.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