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적 단면적
microscopic cross-section
기호 σ.
① 중성자 핵반응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단면적이라는 개념이 사용되며 원자핵 1개당의 단면적이다. dimension은 ㎠/원자핵. 1 barn=10-24㎠가 단위로 사용되며 별도 명기가 없을 때에는 보통 단면적이라 하면 마이크로 단면적을 말한다.
② 표적의 원자핵·원자 또는 분자 1개당의 단면적. 면적의 차원을 가지므로 입사입자와의 상호작용을 기하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표적입자가 가져야 하는 입사입자의 방향에 수직인 면적으로서 시각화할 수 있다. 보통 barn으로 표시한다. macroscopic cross-section, neutron cross-section
미임계
subcritical
실효증배율이 1미만으로서 임계에 도달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중성자원이 없으면 핵분열 연쇄반응은 감쇠된다.
미임계 장치
subcritical assembly
미임계 상태에 있는 핵연료·감속재·반사체 등으로 구성된 집합체. 이 장치에 의해 당해 물질로 구성되는 임계노심에 대해 예량을 비롯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미임계 증배율
subcritical multiplication factor
미임계 상태의 증배율로 1보다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원자력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믹서, 믹서 세틀러, 밀 (0) | 2020.07.27 |
---|---|
미임계 한계치, 미조정요소, 미주중성자, 미트 (0) | 2020.07.27 |
미분흡수계수, 미세조정봉, 미세조정요소, 미소차 분리 (0) | 2020.07.27 |
미분선별기, 미분알베도, 미분전리함, 미분회로 (0) | 2020.07.27 |
미분 산란단면적, 미분 에너지속밀도, 미분 입자속밀도, 미분단면적 (0)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