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동위원소희석법 [역희석법]
reverse isotope dilution analysis
동위원소 희석법의 변형. 즉 비방사능 S0를 알고 있는 화합물 A의 양 x를 알고자 할 때 비방사성의 그 화합물 A의 일정량 a를 가해서 혼합한 후 단리정제하고 그 비방사능 S를 측정하면 (x+a)S=Sox. 따라서 x=aS/(So-S)에 의해서 A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복잡한 화합물인 경우에도 방사성 유도체를 만들어 이 방법으로 정량할 수 있다.
역세정
backwash
【화학공학】 예를 들면 이온교환제(수지)를 재생시키는 조작의 하나이다. 통액방향과 역방향으로 액체를 흘려 수지층을 유동화시켜 층에 모인 콜로이드 상태의 물질이나 기포를 제거한다. 또 음양 양이온교환제를 혼합상태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상하 2개층으로 분리하여 재생시키기 쉬운 층상태로 하여 제거한다.
역암
conglomerate
원력(지름 2㎜ 이상)·아원력이 그 이하의 입경기질에 의하여 굳어져 생긴 퇴적암.
역자승법칙
inverse square spreading
중성자(또는 γ선)가 공기 중이나 진공 중을 날아갈 때 중성자속(또는 γ선속)Φ는 중성자원(또는 γ선 방사선원)으로부터의 거리를 γ라 하면 역자승법칙이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Φ=no/4πr2. 단, no는 선원의 중성자 밀도(또는 γ선밀도).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