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의실험 (模擬實驗)
발음 : [모의실험 /모이실험 ]
명사 名詞
もぎじっけん【模擬実験】
실제의 사건이나 현상의 과정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해 보는 실험.
実際の事件や現象の過程を検討し、その結果を予測するために行う実験。
  • 컴퓨터 모의실험.
  • 모의실험 결과.
  • 모의실험 실시.
  • 모의실험 장치.
  • 모의실험을 벌이다.
  • See More
  • 기상청에서는 지진 모의실험을 하여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진에 대비하였다.
  • 경찰은 이 교통사고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사고를 재현하는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 연구진은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한 후 제대로 작동을 하는지 컴퓨터로 모의실험을 하였다.
모의하다1 (模擬/摸擬 하다)
발음 : [모의하다 /모이하다 ]
동사 動詞
もぎする【模擬する】
실제와 똑같이 따라 해 보다.
実際と同じように行ってみる。
  • 수업을 모의하다.
  • 시험을 모의하다.
  • 실험을 모의하다.
  • 평가를 모의하다.
  • 회의를 모의하다.
  • 이 시험은 곧 있을 대학 입학시험을 대비하여 모의한 것입니다.
  • 우리 병원의 내과 의사들은 새로운 방법의 수술을 모의하여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가: 지금 한 수업과 전에 모의했던 수업은 비슷한가요?
  • 나: 네, 하지만 내용의 순서를 좀 바꿨어요.
  • 문형 : 1이 2를 모의하다
모의하다2 (謀議 하다)
발음 : [모의하다 /모이하다 ]
동사 動詞
ぼうぎする【謀議する】
어떤 일을 위해 계획을 세우고 의논하다.
ある事を行うために、計画を立てて相談する。
  • 반란을 모의하다.
  • 범행을 모의하다.
  • 여행을 모의하다.
  • 장난을 모의하다.
  • 탈출을 모의하다.
  • See More
  • 지수는 친구들과 여름에 부모님 몰래 놀러가기로 모의했다.
  • 김 씨는 이 씨와 은행 강도를 모의하고 범행을 저지르려다 경찰에 잡혔다.
  • 가: 민준아, 승규랑 뭘 소곤소곤한 거니?
  • 나: 비밀인데, 선생님 몰래 수업을 빠지기로 모의했어.
  • 문형 : 1이 (2와) 3을 모의하다, 1이 (2와) 3-기로 모의하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모이
발음 : [모이 ]
명사 名詞
え・えさ【餌】
날개가 있는 짐승의 먹이.
翼のある動物の餌。
  • 모이.
  • 모이.
  • 모이를 먹다.
  • 모이를 주다.
  • 모이를 쪼다.
  • 닭들은 지수가 준 모이를 열심히 쪼고 있었다.
  • 오리들은 농부가 모이를 뿌려 놓은 곳으로 몰려왔다.
  • 가: 앵무새가 왜 저렇게 시끄럽게 울지?
  • 나: 모이를 안 줬더니 배가 고픈가 봐요.
모이다 ★★★
발음 : [모이다 ]
활용 : 모이어[모이어/ 모이여], 모이니
동사 動詞
  1. 1. あつまる【集まる】。そろう【揃う】。まとまる【纏まる】
    따로 있는 것이 한데 합쳐지다.
    ばらばらのものが一塊になる。
    • 여럿이 모이다.
    • 재료가 모이다.
    • 가득 모이다.
    • 많이 모이다.
    • 한데 모이다.
    • 이 산은 돌들이 모여서 된 돌산이었다.
    • 각방에 흩어져 있던 빨래가 다 모이니 너무 많았다.
    • 가: 사람들한테 나눠졌던 설문지가 다 모이면 어서 통계를 내서 결과를 알려줘.
    • 나: 네. 설문지 모두 걷어서 분석해 드릴게요.
    • 문형 : 1이 모이다
  2. 2. あつまる【集まる】。しゅうしゅうされる【収集される】
    특별한 물건이 구해져 갖추어지다.
    特別な物が揃う。
    • 그림이 모이다.
    • 우표가 모이다.
    • 음반이 모이다.
    • 작품이 모이다.
    • 책이 모이다.
    • See More
    • 이번 대회를 통해 전국에서 뛰어난 작품들이 모이게 되었다.
    • 우표 수집이 취미인 형은 새로운 우표가 모일 때마다 기뻐했다.
    • 가: 와, 이곳에 진귀한 물건들이 참 많네요. 혼자서 보시기에 아깝겠어요.
    • 나: 어느 정도 골동품들이 더 모이면 전시회를 열 작정이라네.
    • 문형 : 1이 모이다
  3. 3. たまる【貯まる】。つのられる【募られる】
    돈이나 재물 등이 쓰이지 않고 쌓이다.
    金や財物などが使われずに蓄えられる。
    • 돈이 모이다.
    • 자금이 모이다.
    • 재물이 모이다.
    • 많이 모이다.
    • 조금 모이다.
    • 김 사장은 돈이 모이자 바로 새 사업을 시작했다.
    • 사람들의 무관심으로 기부금이 조금밖에 모이지 않았다.
    • 가: 어때요? 성금이 좀 많이 모였어요?
    • 나: 네. 계좌에 계속 돈이 들어오고 있어요. 사람들 마음이 아직도 많이 따뜻하네요.
    • 문형 : 1이 모이다
  4. 4. あつまる【集まる】。まとまる【纏まる】
    정신, 의견 등이 한곳에 집중되다.
    精神、意見などが集中する。
    • 뜻이 모이다.
    • 생각이 모이다.
    • 의견이 모이다.
    • 하나로 모이다.
    • 이번 봉사활동은 여러 사람들의 뜻이 모여서 시작되었다.
    • 사람들의 의견이 하나로 모이지 않아서 회의가 길어졌다.
    • 이번에 모인 아이디어 중에서 하나가 사업에 반영될 예정이다.
    • 가: 회의가 드디어 끝이 났군요.
    • 나: 네, 좋은 생각이 많이 모였습니다.
    • 문형 : 1이 모이다
  5. 5. あわせられる【合わせられる】
    힘, 노력 등이 한곳에 집중되다.
    力、努力などがまとまって一つになる。
    • 노력이 모이다.
    • 역량이 모이다.
    • 정성이 모이다.
    • 힘이 모이다.
    • 우리들의 작은 관심이 모여서 불우한 이웃들에게 큰 힘이 됩니다.
    • 부장님은 작은 힘이 모여서 큰 힘이 된다며 우리들의 협동을 중시했다.
    • 가: 이번에 정말 대단한 결과를 내셨습니다. 그 비결이 무엇입니까?
    • 나: 우리 팀원들의 노력이 모두 모여서 가능했던 일입니다.
    • 문형 : 1이 모이다
  6. 6. あつまる【集まる】。つのられる【募られる】
    여러 사람이 한곳에 오게 되거나 한 단체에 들게 되다.
    多くの人が一つ所に寄り合ったり、一団体に入ったりする。
    • 수강생들이 모이다.
    • 학생들이 모이다.
    • 회원이 모이다.
    • 자리에 모이다.
    • 한 장소에 모이다.
    • 설날에 오랜만에 친척들이 모두 한 장소에 모였다.
    • 그가 학원을 차리자 곧 학생들이 벌떼처럼 모였다.
    • 가: 저 체육관 문 닫았네. 운영이 어려웠나?
    • 나: 응. 회원이 모이지 않아서 다른 곳으로 이사 갔대.
    • 문형 : 1이 2에/으로 모이다
  7. 7. あつまる【集まる】
    사람들의 관심이나 흥미가 끌리다.
    人の関心や興味が引き付けられる。
    • 관심이 모이다.
    • 시선이 모이다.
    • 흥미가 모이다.
    • 그녀의 비명소리에 사람들의 시선이 일제히 그녀에게 모였다.
    • 이번 회의를 통해 어떤 대책이 나올 것인가에 사람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 가: 이번에 회사에 추진한 사업이 심의에 통과할까?
    • 나: 글쎄. 사원들의 관심이 온통 그 여부에 모여 있어.
    • 문형 : 1이 2에/로 모이다
모임 ★★★
발음 : [모임 ]
명사 名詞
  1. 1. かい【会】。かいごう【会合】。あつまり【集り】。つどい【集い】。よりあい【寄り合い】
    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ある事を行うため、多くの人が寄り集まること。
    • 가족 모임.
    • 모임.
    • 모임.
    • 친목 모임.
    • 모임이 있다.
    • See More
    • 나는 술을 좋아해 친구들과의 모임이 잦다.
    • 오늘 계 모임으로 간 식당은 아주 맛이 좋았다.
    • 우리 교회에서는 예배가 끝나면 친목 모임이 있다.
    • 가: 저 오늘 가족 모임이 있어서 조금 일찍 가 보겠습니다.
    • 나: 아. 오늘이 어머님 생신이라고 그랬지? 가 봐.
  2. 2. かい【会】。かいごう【会合】。あつまり【集り】。つどい【集い】。よりあい【寄り合い】
    어떤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함께 조직한 단체.
    ある目的のために、多くの人が一緒に作った団体。
    • 모임이 결성되다.
    • 모임을 갖다.
    • 모임을 결성하다.
    • 모임을 만들다.
    • 모임에 참여하다.
    • 우리는 환경 보호를 위한 모임인 ‘지킴이’를 결성했다.
    • 우리들은 공정한 민주 사회를 위해 ‘민주 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이라는 단체를 만들었다.
    • 가: 우리, 자전거가 취미인 사람들을 모아서 모임 하나 만들까?
    • 나: 좋은 생각이야! 같이 자전거도 타러 다니는 그런 모임이 갖고 싶었어!
모자1 (母子) ★★
발음 : [모ː자 ]
명사 名詞
ぼし【母子】
어머니와 아들.
母親と息子。
  • 사이좋은 모자.
  • 모자 사이.
  • 모자 상봉.
  • 모자가 닮다.
  • 승규는 어머니와 항상 같이 다닐 정도로 모자 사이가 좋다.
  • 어머니가 안 계신 민준은 다른 모자들의 행복한 모습을 부러워하였다.
  • 가: 아들이 지수 씨랑 많이 닮았네요!
  • 나: 네. 우리 모자는 닮았다는 말을 자주 들어요.
모자2 (帽子) ★★★
발음 : [모자 ]
명사 名詞
ぼうし【帽子】
예의를 차리거나 추위나 더위 등을 막기 위해 머리에 쓰는 물건.
礼をわきまえたり、寒さや暑さなどを防ぐために頭にかぶるもの。
  • 빨간 모자.
  • 예쁜 모자.
  • 모자가 작다.
  • 모자가 크다.
  • 모자를 걸다.
  • See More
  • 지수는 햇빛도 가릴 겸 해서 노란색의 귀여운 모자를 샀다.
  • 그는 자리에서 일어나 머리에 모자를 쓰더니 밖으로 나갔다.
  • 챙이 넓은 모자를 쓰고 화사한 원피스를 입은 그녀는 무척 아름다웠다.
  • 가: 유민아, 네가 쓴 모자는 어디서 샀어?
  • 나: 학교 옆 가게에서 샀어. 생긴 게 독특해서 마음에 들더라고.
모자간 (母子間)
발음 : [모ː자간 ]
명사 名詞
ぼしのかんけい【母子の関係】
어머니와 아들 사이.
母親と息子の関係。
  • 모자간 불화.
  • 모자간 사랑.
  • 모자간 상봉.
  • 모자간 싸움.
  • 모자간 이별.
  • See More
  • 두 사람은 모자간이라고 하기에는 어머니가 너무 젊어 보여 마치 남매 같았다.
  • 유민은 아들이 외국으로 유학을 가는 바람에 모자간에 잠시 이별을 해야 했다.
  • 가: 지수는 아들 이야기만 하면 행복해해.
  • 나: 응. 모자간 사랑이 돈독한 것 같아.
모자라-
(모자라고, 모자란데, 모자라, 모자라서, 모자라니, 모자라면, 모자란, 모자라는, 모자랄, 모자랍니다, 모자랐다)→모자라다
모자라다 ★★★
발음 : [모ː자라다 ]
활용 : 모자라[모ː자라], 모자라니[모ː자라니]
동사 動詞
  1. 1. ふそくする【不足する】。たりない【足りない】
    정해진 수, 양이나 정도에 이르지 못하다.
    決まった数、量や程度に至らない。
    • 날짜가 모자라다.
    • 돈이 모자라다.
    • 식량이 모자라다.
    • 잠이 모자라다.
    • 점수가 모자라다.
    • 가뭄이 계속되어 논에 물이 모자라다.
    • 비행기 표를 사려고 하는데 돈이 모자랍니다.
    • 승규는 잠이 모자라는지 계속 하품을 하였다.
    • 가: 돈이 모자라면 언제든지 내가 빌려줄게.
    • 나: 이 환자는 피가 모자라서 수혈을 받아야 합니다.
    • 문형 : 1이 모자라다
  2. 2. ふそくする【不足する】。たりない【足りない】
    능력, 힘, 지식 등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다.
    能力、力、知識などが基準に及ばない。
    • 기술이 모자라다.
    • 기운이 모자라다.
    • 능력이 모자라다.
    • 실력이 모자라다.
    • 지식이 모자라다.
    • See More
    • 실력이 모자란 선수들은 출전 기회를 갖기 힘들다.
    • 어린아이가 혼자서 큰 짐을 들기에는 힘이 모자랐다.
    • 가: 너 수학 시험을 왜 이렇게 못 봤어?
    • 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모자랐던 거 같아요.
    • 문형 : 1이 모자라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