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 인용 (間接引用)
かんせついんよう【間接引用】
다른 사람의 말을 현재 말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조정하여 인용하는 것.
他人の言葉を現在話している人の観点で解釈し、調整して引用すること。
  • 간접 인용 구문.
  • 간접 인용 구성.
  • 간접 인용 문장.
  • 간접 인용으로 말하다.
  • 간접 인용으로 표현하다.
  • See More
  • 간접 인용을 할 때에는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 인용문은 인용 방식에 따라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으로 나뉜다.
  • 직접 인용문을 간접 인용으로 바꾸면 원래 내용에서 시제나 인칭이 달라진다.
간접적1 (間接的) ★★
발음 : [간ː접쩍 ]
명사 名詞
かんせつてき【間接的】。とおまわし【遠回し】。えんきょく【婉曲】
중간에 다른 것을 통해 이어지는 것.
間に何かを経由して繫がること。
  • 간접적인 방법.
  • 간접적인 방식.
  • 간접적인 증거.
  • 간접적인 표현.
  • 간접적인 효과.
  • See More
  • 승규는 눈치가 빨라서 간접적으로 돌려서 말해도 금방 알아듣는다.
  • 지문이라는 간접적인 증거만으로 그를 범인이라고 단정할 수 없었다.
  • 가: 내가 소개해 준 책이 별로 도움이 안 된 것 같아 미안해.
  • 나: 아닙니다. 그 책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간접적2 (間接的) ★★
발음 : [간ː접쩍 ]
관형사 冠形詞
かんせつてき【間接的】。とおまわし【遠回し】。えんきょく【婉曲】
중간에 다른 것을 통해 이어지는.
間に何かを経由して繫がるさま。
  • 간접적 영향.
  • 간접적 요인.
  • 간접적 표현.
  • 간접적 피해.
  • 간접적 형태.
  • See More
  • 내일은 태풍의 간접적 영향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비가 많이 오겠습니다.
  • 신제품 개발을 통해 회사 이미지 개선이라는 간접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가: 요즘 잠은 잘 못 자는데 계속 살이 쪄서 고민이야.
  • 나: 수면 부족은 비만의 간접적 요인이니까 조심해야 해.
간접 화법 (間接話法)
참고 : 붙여쓰기를 허용한다.
かんせつわほう【間接話法】
다른 사람의 말을 현재 말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인칭이나 시제 등을 고쳐서 말하는 화법.
他人の話を現在の話し手の立場から人称や時制などを直して述べる話法。
  • 간접 화법 구문.
  • 간접 화법 문장.
  • 간접 화법을 통해 말하다.
  • 간접 화법으로 고치다.
  • 간접 화법으로 말하다.
  • See More
  • 간접 화법은 직접 화법이 지닌 생동감과 직접성이 없다.
  • 간접 화법 내에서는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 등의 특징이나 억양이 사라진다.
  • 승규는 근거 없는 얘기를 할 때마다 늘 간접 화법으로 얘기하는 버릇이 있다.
간접흡연 (間接吸煙)
발음 : [간ː저프변 ]
명사 名詞
じゅどうきつえん【受動喫煙】。かんせつきつえん【間接喫煙】。ふずいいきつえん【不随意喫煙】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를 들이마시는 것.
他人のタバコの煙を吸い込むこと。
  • 간접흡연의 고통.
  • 간접흡연의 위험성.
  • 간접흡연의 피해.
  • 간접흡연을 피하다.
  • 간접흡연을 하다.
  •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들도 간접흡연을 통해 폐암이 발생할 수 있다.
  • 아버지가 피우는 담배 연기 때문에 우리 가족은 늘 간접흡연을 하고 있다.
  • 가: 여기서 담배 한 대 피워도 될까?
  • 나: 간접흡연이 건강에 더 안 좋다는 것 몰라? 밖에 나가서 피워.
간조 (干潮)
발음 : [간조 ]
명사 名詞
かんちょう【干潮】。ひきしお【引き潮】。ていちょう【低潮】
바다에서 바닷물이 빠져나가 바닷물의 높이가 가장 낮아진 상태.
海から海水が引き海面が最も低くなった状態。
  • 간조 때.
  • 간조 시간.
  • 간조의 바닷가.
  • 간조가 된 바다.
  • 간조가 일어나다.
  • 간조 시간이 지나 바닷물이 점점 불고 있었다.
  • 간조가 되자 사람들은 조개를 캐러 갯벌로 향했다.
  • 한국의 서해안은 만조와 간조 때 바닷물의 높이 차이가 크다.
  • 가: 바닷물이 다 빠지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되는 거야?
  • 나: 글쎄, 일기 예보를 보니 간조가 되려면 두 시간은 기다려야겠네.
간주1 (看做)
발음 : [간주 ]
명사 名詞
みなすこと【見做すこと】。みたてること【見立てること】。おしはかること【推し量ること】
무엇이 어떠하다고 생각되거나 여겨짐.
…と思うこと。…と判断すること。
  • 간주가 되다.
  • 간주를 하다.
  • 경찰은 파업을 불법 행위로 간주, 노동자들을 모두 구속할 방침이었다.
  • 시험 시간에는 커닝뿐만 아니라 부정행위로 간주가 되는 모든 행위가 금지된다.
  • 가: 그 사람이 내 전화를 안 받는 건 나를 일부러 피하는 거라고 여겨도 되겠지?
  • 나: 그렇게 단정적으로 간주를 할 게 아니라 자세한 사정부터 알아보자.
간주2 (間奏)
발음 : [간ː주 ]
명사 名詞
かんそう【間奏】
주로 곡의 일 절이 끝나고 이 절이 시작되기 전에 가사는 나오지 않고 연주만 나오는 부분.
主に曲の中で1節が終わり2節が始まる前に歌詞は出ず演奏だけ流れる部分。
  • 간주 부분.
  • 간주가 끝나다.
  • 간주가 들어가다.
  • 간주가 이어지다.
  • 간주가 흐르다.
  • 노래의 일 절이 끝나고 간주가 잠시 흘러나왔다.
  • 노래를 부르던 가수는 간주 부분에서 마이크를 내려 놓고 춤을 추었다.
  • 가: 이 노래는 음을 기억하기가 쉽네.
  • 나: 전주하고 간주의 멜로디가 같아서 그런가 봐.
간주곡 (間奏曲)
발음 : [간ː주곡 ]
활용 : 간주곡이[간ː주고기], 간주곡도[간ː주곡또], 간주곡만[간ː주공만]
명사 名詞
  1. 1. かんそうきょく【間奏曲】。インテルメッツォ
    연극이나 오페라의 중간이나 막과 막 사이에 연주되는 음악.
    演劇やオペラの途中や幕間に演奏される音楽。
    • 서정적인 간주곡.
    • 간주곡이 연주되다.
    • 간주곡이 이어지다.
    • 간주곡이 흐르다.
    • 간주곡이 흘러나오다.
    • 오페라가 결론에 이르기 직전, 갑자기 공연이 멈추면서 간주곡이 흘러나왔다.
    • 짧은 간주곡이 연주된 후 극의 흐름은 완전히 달라졌다.
    • 가: 이 오페라의 간주곡은 정말 조용하고 슬프다.
    • 나: 응, 마치 주인공의 죽음을 암시하는 것 같아.
  2. 2. かんそうきょく【間奏曲】
    규모가 큰 악곡의 중간에 삽입되어 연주되는 작은 규모의 기악곡.
    規模が大きい楽曲の途中挿入される小さい規模の楽曲。
    • 간주곡이 연주되다.
    • 간주곡이 이어지다.
    • 간주곡이 흐르다.
    • 간주곡을 듣다.
    • 간주곡을 작곡하다.
    • 총 5장으로 이루어진 이 곡의 3장과 4장 사이에는 간주곡이 들어 있다.
    • 중간에 간주곡이 연주되면서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바뀌었다.
간주되다 (看做 되다)
발음 : [간주되다 /간주뒈다 ]
동사 動詞
みなされる【見做される】
무엇이 어떠하다고 생각되거나 여겨지다.
…と思われる。…と判断される。
  • 간주될 소지.
  • 간주될 수 있다.
  • 나쁜 인물로 간주되다.
  • 훌륭한 작품으로 간주되다.
  • 범인이라고 간주되다.
  • 상대방에게 부담스러운 선물을 할 경우, 선물이 뇌물로 간주될 수도 있다.
  • 한 나라의 대표가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내용은 그 나라의 입장이나 정책으로 간주된다.
  • 가: 선생님, 시험 시간에 휴대폰을 켜 놔도 되나요?
  • 나: 휴대폰을 보는 건 부정행위로 간주되니 휴대폰은 꺼 놓으세요.
  • 문형 : 1이 2로 간주되다, 1이 2-고 간주되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