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주하다 (看做 하다)
발음 : [간주하다 ]
동사 動詞
みなす【見做す】。みたてる【見立てる】。おしはかる【推し量る】
무엇을 어떠하다고 생각하거나 여기다.
…と思う。…と判断する。
  • 간주하는 경향.
  • 간주할 수 있다.
  • 범인으로 간주하다.
  • 성공으로 간주하다.
  • 의도적이라고 간주하다.
  • 현대인들은 컴퓨터를 옷이나 음식과 같은 생활필수품으로 간주하고 있다.
  • 세계 각국에서는 음주 운전을 매우 위험한 것으로 간주하여 엄하게 벌하고 있다.
  • 가: 형사님은 피해자의 이야기를 모두 믿으십니까?
  • 나: 일단 모두 사실이라고 간주하고 사건을 조사할 생각입니다.
  • 문형 : 1이 2를 3으로 간주하다, 1이 2를 3-고 간주하다, 1이 2-고 간주하다
간증 (干證)
발음 : [간증 ]
명사 名詞
あかし【証】。りっしょう【立証】
기독교에서 자신의 종교적 체험을 다른 사람들 앞에서 고백함.
キリスト教で自分の宗教的体験を人の前で告白すること。
  • 신자의 간증.
  • 간증 예배.
  • 간증을 듣다.
  • 간증을 하다.
  • 간증에 나가다.
  • 하나님을 보았다는 내 간증을 듣고 몇몇 사람들은 눈물을 흘렸다.
  • 목사님의 안내로 간증 장소에 들어서자 교회에 있던 사람들이 박수를 쳐 주었다.
  • 가: 간증을 시작하시죠.
  • 나: 하나님께서는 저에게 기적을 보여 주셨습니다.
간지1 (干支)
발음 : [간지 ]
명사 名詞
えと・かんし【干支】
동양에서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하여 만든 육십 개의 순서.
東洋で十干と十二支を組み合わせて作った60種の順序。
  • 간지를 계산하다.
  • 간지를 따지다.
  • 간지를 세다.
  • 간지를 짚다.
  • 나는 사주를 보기 위해 간지를 따져 보았다.
  • 지수는 새해마다 그해의 간지에 해당하는 동물이 그려져 있는 엽서를 산다.
  • 동양에서는 숫자나 방위 개념을 나타내는 데에 간지를 이용한다.
  • ※ 십간은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의 십 천간이고 십이지는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의 십이 지지이다.
간지2 (間紙)
발음 : [간ː지 ]
명사 名詞
あいがみ・あいし【間紙】
책이나 신문 안에 끼워 넣는 따로 인쇄된 종이.
本や新聞の中に挟み入れる別に印刷された紙。
  • 신문 간지.
  • 간지를 꽂다.
  • 간지를 끼우다.
  • 간지를 넣다.
  • 나는 신문에 끼여 있는 간지는 자세히 읽지 않는다.
  • 편집장은 책에서 빠진 내용을 간지로 제작해 책 안에 한 장씩 넣었다.
  • 가: 우리 가게도 이제 홍보를 좀 해야 하지 않을까요?
  • 나: 그럼 신문 간지에 작은 광고를 하나 내 봅시다.
간지럼
발음 : [간지럼 ]
명사 名詞
くすぐったいこと
무엇이 몸에 닿거나 누가 건드려서 간지러운 느낌.
何かが体に触ったり、触られたりしてくすぐったく感じること。
  • 간지럼을 느끼다.
  • 간지럼을 참다.
  • 간지럼을 타다.
  • 간지럼을 태우다.
  • 나는 동생의 겨드랑이에 양손을 넣고 마구 간지럼을 태웠다.
  • 민준이의 장난에 지수는 간지럼을 참지 못하고 깔깔거리며 웃었다.
  • 가: 너는 왜 간지럽혀도 간지럼을 안 타니?
  • 나: 감각이 좀 둔한가 봐.
간지럽다 ★★
발음 : [간지럽따 ]
활용 : 간지러운[간지러운], 간지러워[간지러워], 간지러우니[간지러우니], 간지럽습니다[간지럽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くすぐったい
    무엇이 몸에 닿거나 누가 만져서 웃음이 나거나 견디기 어려운 느낌이 있다.
    何かが体に触れたり、誰かに触られたりして、笑いが出たり我慢できない感じがする。
    • 간지러운 곳.
    • 간지러운 부분.
    • 간지러운 부위.
    • 눈이 간지럽다.
    • 발바닥이 간지럽다.
    • 아기는 기저귀를 찬 엉덩이가 간지러운지 계속 긁어 댔다.
    • 나는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어 봄이 되면 항상 눈이 충혈되어 있고 간지럽다.
    • 가: 깁스한 다리 괜찮아?
    • 나: 아프지는 않은데 씻을 수가 없어서 간지러워.
  2. 2. くすぐったい
    누군가가 자신에 대해 말하거나 쳐다보는 듯하여 민망하거나 꺼림칙하다.
    誰かが自分について話しをするとか、見られている気がして恥ずかしい、または、気になる。
    • 낯이 간지럽다.
    • 뒤통수가 간지럽다.
    • 목뒤가 간지럽다.
    • 선생님께서 내 칭찬을 하자 나는 낯이 간지러워 고개를 들 수가 없었다.
    • 왠지 뒤통수가 간지러워서 뒤를 돌아보니, 누군가 나를 빤히 쳐다보고 있었다.
    • 사람들이 다 나만 보는 것 같은 안 좋은 예감에 나는 목 뒤가 간지러웠다.
    • 문형 : 1이 2가 간지럽다
간지럽히다
발음 : [간지러피다 ]
활용 : 간지럽히어[간지러피어/ 간지러피여](간지럽혀[간지러펴]), 간지럽히니[간지러피니]
동사 動詞
くすぐる。こそぐる
누구의 몸을 만지거나 건드려서 간지럽게 하다.
誰かの体を触ったりしてくすぐったくさせる。
  • 겨드랑이를 간지럽히다.
  • 귀를 간지럽히다.
  • 발바닥을 간지럽히다.
  • 옆구리를 간지럽히다.
  • 코끝을 간지럽히다.
  • 내가 겨드랑이를 간지럽히자 지수는 자지러지게 웃었다.
  • 친구는 나에게 달려들어 온몸을 간지럽히며 장난을 걸었다.
  • 내 동생은 간지럼을 잘 타서 옆구리를 살짝만 간지럽혀도 금세 웃음을 터뜨린다.
  • 가: 무슨 재채기를 그렇게 심하게 하니? 왜 그래?
  • 나: 꽃가루가 날려서 자꾸 코끝을 간지럽히네.
간직되다
발음 : [간직뙤다 /간직뛔다 ]
동사 動詞
  1. 1. ほかんされる【保管される】。ほぞんされる【保存される】
    물건이 어떤 장소에 잘 보호되거나 보관되다.
    物がある場所に大事に保護されたり保管されたりする。
    • 사진이 간직된 앨범.
    • 보물이 간직되다.
    • 예술품이 간직되다.
    • 유적이 간직되다.
    • 고스란히 간직되다.
    • 이 절에는 소중한 불교 미술품이 많이 간직되어 있다.
    • 앨범 속에 간직된 사진을 보니 그리운 옛 추억이 떠올랐다.
    • 역사적인 이 도시는 성 주변에도 많은 유적들이 간직되어 있다.
    • 가: 역사적 유물이 많이 있는 곳은 어디일까요?
    • 나: 박물관이 아닐까요? 여러 시대의 유물들이 잘 간직되어 있는 곳이니까요.
    • 문형 : 1이 2에 간직되다
  2. 2. たたまれる【畳まれる】。ひめられる【秘められる】
    기억이나 추억 등이 마음속에 깊이 남게 되다.
    記憶や思い出などが心に残る。
    • 영원히 간직될 사랑.
    • 오래 간직될 감동.
    • 그리움이 간직되다.
    • 추억이 간직되다.
    • 소중히 간직되다.
    • 나는 가슴 깊은 곳에 간직된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시로 표현하였다.
    • 학창 시절의 수학여행은 오래도록 간직될 추억과 우정을 만들어 주었다.
    • 가: 우리 헤어져도 서로 잊지 말아요.
    • 나: 네, 당신과의 사랑은 제 마음 속에 영원히 간직될 거예요.
    • 문형 : 1이 2에 간직되다
간직하다
발음 : [간지카다 ]
동사 動詞
  1. 1. しまっておく。ほかんする【保管する】。ほぞんする【保存する】
    물건을 어떤 장소에 잘 보호하거나 보관하다.
    物をある場所に大事に保護したり保管したりする。
    • 귀중품을 간직하다.
    • 비상금을 간직하다.
    • 사진을 간직하다.
    • 선물을 간직하다.
    • 편지를 간직하다.
    • See More
    • 나는 중학교 때 받은 상장을 액자에 넣어 잘 간직해 왔다.
    • 아내는 내가 몰래 간직해 둔 비상금을 신기하게도 잘 찾아낸다.
    • 나는 지금까지도 초등학교 때부터 받은 편지들을 간직하고 있다.
    • 가: 이 돈은 어디서 났어? 한 푼도 없다며?
    • 나: 어려울 때 쓰려고 전부터 간직해 뒀던 돈이야.
    • 문형 : 1이 2를 (3에) 간직하다
  2. 2. しまっておく。たたむ【畳む】。ひめる【秘める】
    기억이나 추억 등을 마음속에 깊이 지니다.
    記憶や思い出などを心に残す。
    • 기억을 간직하다.
    • 아름다움을 간직하다.
    • 추억을 간직하다.
    • 가슴속 깊이 간직하다.
    • 영원히 간직하다.
    • 나는 내 첫사랑을 아직까지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다.
    • 누구나 학창 시절의 소중한 추억 하나쯤은 가슴속에 간직하고 있을 것이다.
    • 나는 결국 실패했지만 오늘의 일을 가슴속 깊이 간직하여 다시 도전할 것이다.
    • 가: 오늘 우리 즐거웠지요?
    • 나: 네. 오늘의 만남, 소중하게 간직하겠습니다.
    • 가: 여기가 사고의 현장인가요?
    • 나: 네, 아직까지 그때의 아픔을 그대로 간직한 곳이죠.
    • 문형 : 1이 2를 (3에) 간직하다
간질 (癎疾)
발음 : [간ː질 ]
명사 名詞
てんかん【癲癇】
뇌 신경 세포에 갑자기 기능 이상이 생겨 의식을 잃고 온몸이 굳으면서 떨리는 증상이 나타나는 병.
脳神経細胞に突然の機能異常が発生し意識を失い、体が固まって震える症状を現す疾患。
  • 간질 발작.
  • 간질 환자.
  • 간질을 앓다.
  • 간질을 일으키다.
  • 간질을 치료하다.
  • 최근에는 뇌혈관 질환이 늘어나면서 간질이 증가하고 있다.
  • 우리 딸아이는 갑자기 발작을 일으켜 병원에서 간질 판명을 받았다.
  • 간질 발작이 일어난다는 것은 뇌 기능에 갑작스러운 장애가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