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든
참고 :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 1. れば。であるなら。たら。なら'어떤 일이 사실이거나 사실로 실현되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ある事が事実であれば、または事実として実現すれば」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아이가 아프거든 빨리 병원에 데리고 가세요.
- 먹어 보고 맛있거든 우리도 그 집 쌀을 사 먹어야겠어요.
- 시험 날짜가 정해지거든 시험 때까지 같이 도서관에서 공부하자.
- 가: 공항에 도착하거든 전화해라.
- 나: 네. 걱정하지 마세요.
- 참고어 -거들랑
- 2. のにまして。のにいわんや앞에 오는 말을 예로 들어 뒤의 내용이 당연히 사실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前の事柄を例にあげ、後の事柄が当然事実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어린아이도 알고 있는 예절이거든 성인이야 두말할 필요가 없다.
- 부모도 자식을 말리지 못했거든 친구가 어떻게 마음을 돌릴 수 있었겠어?
- 동물도 제 새끼를 위하거든 하물며 사람이 제 자식을 돌보지 않는다는 게 말이 되나?
- 가: 학생이라면 공부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거든 너희는 학생이 아니냐?
- 나: 학생이라고 일 년 내내 공부만 해야 되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 ※ 흔히 뒤에 의문문이 온다.
- 3. だもの。んだよ。からね(두루낮춤으로) 앞의 내용에 대해 말하는 사람이 생각한 이유나 원인, 근거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前の事柄について話し手が考えている理由や原因・根拠の意を表す「終結語尾」。
- 저녁은 조금만 먹을래. 방금 빵을 하나 먹었거든.
- 민준이가 많이 아픈가 봐. 그렇지 않으면 학교에 안 올 애가 아니거든.
- 할아버지 생신 선물로 모자를 샀어. 할아버지께서 모자를 좋아하시거든.
- 가: 아이가 어린데 벌써 도서관에 다녀?
- 나: 아이가 책을 좋아해서 집에 있는 책은 다 봤거든.
- ※ 자랑하거나 감탄할 때도 쓸 수 있다.
- 참고어 -거들랑
- 4. れば。であるなら。たら。なら(두루낮춤으로) 앞으로 이어질 내용의 전제를 이야기하면서 뒤에 이야기가 계속 이어짐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略待下称) 次に述べる話の前置きを提示し、あとに話が続く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내일 아버지가 출장 갔다 돌아오시거든. 무슨 선물을 사 오실지 기대가 돼.
- 엄마가 오늘은 밖에 나가지 말라셨거든. 그런데 이렇게 나가 놀아도 되는지 모르겠어.
- 내가 어제 옷을 사러 백화점에 갔거든. 근데 어제가 의류를 특별 할인하는 날이더라고.
- 가: 팀원을 하나 새로 뽑아야 되는데 누가 좋을지 모르겠어.
- 나: 내가 생각해 둔 사람이 있거든. 내 학교 후배인데 너도 알지 모르겠다.
- 참고어 -거들랑
-거든요
참고 :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1. んですよ。んですもの。んですから(두루높임으로) 앞의 내용에 대해 말하는 사람이 생각한 이유나 원인, 근거를 나타내는 표현.(略待上称) 前の内容について話し手がそう考えた理由や原因、根拠を表す表現。
- 오늘은 지각하면 안 돼요. 오늘 수업에서 제가 발표를 하거든요.
- 삼촌은 언제 오실 수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 연락이 아직 안 왔거든요.
- 주말에는 좀 일찍 출발해야 돼요. 길이 많이 막혀서 평소보다 시간이 더 걸리거든요.
- 가: 배고플 텐데 왜 밥을 많이 남겼어?
- 나: 사실은 조금 전에 간식으로 빵을 먹었거든요.
- 2. んですよ (略待上称)(두루높임으로) 앞으로 이어질 내용의 전제를 이야기하면서 뒤에 이야기가 계속 이어짐을 나타내는 표현.これから続く内容の前提を述べながら後にも話が続く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감기약을 먹었거든요. 그런데도 나아지지를 않네요.
- 제가 자료를 좀 찾아 봤거든요. 그런데 찾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 요즘에는 방학 때 어학연수를 가는 애들이 많거든요. 그런데 그게 얼마나 도움이 될지 잘 모르겠네요.
- 가: 제가 지금 돈이 얼마 없거든요. 회비를 다음에 드려도 될까요?
- 나: 네. 그럼 다음 주 모임에 오실 때 주세요.
거드럭거드럭
발음 : [거드럭꺼드럭 ]
부사 副詞
えらそうに【偉そうに】
잘난 체하며 자꾸 버릇없이 구는 모양.
偉ぶって無作法にふるまうさま。
- 그는 돈 좀 있다고 사람들을 무시하며 거드럭거드럭 건방지게 굴었다.
- 민준이는 아버지가 학교의 이사장이라고 거드럭거드럭 잘난 체하며 다닌다.
- 지수는 집안도 좋고 많이 배우기도 했지만 절대 거드럭거드럭 교만하게 굴지 않았다.
거드럭거드럭하다
발음 : [거드럭꺼드러카다 ]
거드럭거리다
발음 : [거드럭꺼리다 ]
거드럭대다
발음 : [거드럭때다 ]
거드름
발음 : [거ː드름 ]
명사 名詞
ごうまん【傲慢】。そんだい【尊大】
잘난 체하며 남을 자기보다 낮고 하찮게 여기는 태도.
おごりたかぶって人を見下す態度。
- 의기양양한 거드름.
- 거드름이 하늘을 찌르다.
- 거드름을 떨다.
- 거드름을 부리다.
- 거드름을 빼다.
- 부자가 거드름을 부리며 많은 재산을 자랑했다.
- 내시가 왕의 권세를 믿고 거드름을 피워 많은 이들의 미움을 샀다.
- 가: 저 사람이 예전에는 저렇게 잘난 척하지 않았는데.
- 나: 그러게, 지위가 높아지니 거드름이 몸에 뱄구먼.
거들 (girdle)
명사 名詞
ガードル
아랫배를 누르고 허리를 조임으로써 몸매를 날씬하게 보이도록 하는 여자의 아랫도리 속옷.
腹部を押さえウェスト周りの形態を補正して体形を美しく見せることを目的とする女性用ファウンデーション。
- 보정용 거들.
- 산후 거들.
- 거들 차림.
- 거들이 꽉 끼다.
- 거들을 벗다. See More
- 지수는 집에 오자마자 답답한 거들을 벗어 던졌다.
- 언니는 타이트한 치마를 입을 때 항상 속에 거들을 입는다.
- 가: 이 거들은 기능형으로 나와서 허리를 날씬해 보이게 합니다.
- 나: 그래요? 얼마인데요?
거들-
(거들고, 거들어, 거들어서, 거들면, 거들었다, 거들어라)→거들다
거들다 ★★
발음 : [거ː들다 ]
활용 : 거들어[거ː드러], 거드니[거ː드니], 거듭니다[거ː듬니다]
동사 動詞
- 1. てつだう【手伝う】。てだすけする【手助けする】남의 일을 함께 하여 돕다.他人の仕事に手を貸す。
- 부모님을 거들다.
- 살림을 거들다.
- 일을 거들다.
- 장사를 거들다.
- 집안일을 거들다. See More
- 유민이는 시간이 나면 가게에 나가 부모님 일을 거들어 드렸다.
- 옆집 남편은 직접 청소나 설거지를 하면서 아내의 살림을 거들어 준다.
- 가: 요즘 매일 집에서 잠만 자니까 아내 눈치가 보여.
- 나: 그러지 말고 가끔 집안일도 좀 거들지 그래.
- 문형 : 1이 2를 거들다
- 2. くちぞえする【口添えする】편을 들거나 덧붙이려고 남의 말에 끼어들어 말하다.肩を持ったり付け加えたりするために、他人の話に割り込んで言う。
- 남편을 거들다.
- 말을 거들다.
- 아내를 거들다.
- 친구를 거들다.
- 한마디 거들다. See More
- 회의가 끝날 무렵 모두들 그 사안에 대해 한마디씩 거들고 나섰다.
- 친구의 전화를 받고 경찰서로 달려간 나는 친구를 무작정 거들었다.
- 가: 내가 앞집 여자하고 싸우면 당신이 옆에서 내 말을 거들어 줘야 하는 거 아냐?
- 나: 하지만 당신이 잘못한 건 사실이잖아.
- 문형 : 1이 2를 거들다
'한국어기초사전 > 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라, 거듭되다, 거듭제곱, 거듭하다, 거뜬하다, 거뜬히, 거래, 거래되다, 거래량, 거래소 (0) | 2020.02.06 |
---|---|
-거들랑, 거들떠보다, 거들먹거들먹, 거들먹거들먹하다, 거들먹거리다, 거들먹대다, 거들먹이다, 거듭, 거듭거듭, 거듭나다 (0) | 2020.02.06 |
거동하다, 거두-, 거두다¹, 거두다², 거두어들이다, 거두절미, 거두절미하다, 거둬-, 거둬들이다, 거드- (0) | 2020.02.06 |
-거니, -거니와, -거니 하다, 거느리다, 거닐다, 거대, 거대하다, 거덜, 거덜나다, 거동 (0) | 2020.02.06 |
-거나, 거금¹, 거금², 거기, 거꾸러뜨리다, 거꾸러지다, 거꾸러트리다, 거꾸로, 거나, 거나하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