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차 (席次)
발음 : [석차 ]
명사 名詞
せきじ【席次】。じゅんい【順位】
성적에 의한 순서.
成績による順位。
  • 석차가 높다.
  • 석차가 떨어지다.
  • 석차가 발표되다.
  • 석차를 공개하다.
  • 석차를 기록하다.
  • See More
  • 석차가 발표되자 학생들의 표정에는 희비가 엇갈렸다.
  • 늘 상위권의 석차를 유지하던 반장은 원하던 대학에 합격했다.
  • 가: 이번에 기말고사 잘 봤어?
  • 나: 말도 마, 전교 석차가 오십 등이나 떨어졌어.
석탄 (石炭)
발음 : [석탄 ]
명사 名詞
せきたん【石炭】
연료 또는 화학 공업 재료로 쓰이는, 타기 쉬운 검은색의 암석.
燃料や化学工業の材料として使われる、可燃性の黒色の岩石。
  • 석탄 공업.
  • 석탄 매장량.
  • 석탄 생산.
  • 석탄 에너지.
  • 석탄을 캐다.
  • 김 씨는 광산에서 석탄을 캐는 일을 한다.
  • 이 국가에서는 모든 연료와 많은 동력을 석탄으로 해결한다.
  • 고갈되어 가는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로는 석탄, 원자력 등이 있다.
석탑 (石塔)
발음 : [석탑 ]
활용 : 석탑이[석타비], 석탑도[석탑또], 석탑만[석탐만]
명사 名詞
せきとう【石塔】
돌로 된 재료를 이용하여 쌓은 탑.
石の材料を利用して積み上げた塔。
  • 구 층 석탑.
  • 삼 층 석탑.
  • 오 층 석탑.
  • 석탑을 세우다.
  • 석탑을 쌓다.
  • 절 안의 삼 층 석탑은 천 년 전에 세워진 것이다.
  • 석탑은 오랜 세월을 두고 비바람에 깎여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었다.
  • 가: 이 석탑은 누가 쌓았을까?
  • 나: 유명한 석수가 만들었다는 것 같아.
석학 (碩學)
발음 : [서칵 ]
활용 : 석학이[서카기], 석학도[서칵또], 석학만[서캉만]
명사 名詞
せきがく【碩学】
학식이 많고 깊은 사람.
学識が多くて深い人。
  • 당대 석학.
  • 세계 석학.
  • 세계적 석학.
  • 유명 석학.
  • 해외 석학.
  • 유명 석학인 김 교수는 거의 한평생을 연구하는 데에 바쳤다.
  • 아시아 경제에 정통한 세계적 석학이 우리 대학에서 특강을 한다.
  • 가: 김 선생님은 권위 있는 석학이세요.
  • 나: 그런 선생님 밑에서 공부할 수 있다니 영광이네요.
석화 (石花)
발음 : [서콰 ]
명사 名詞
  1. 1. かき【牡蠣】
    바다의 바위에 붙어 사는, 껍데기가 울퉁불퉁하게 생긴 조개나 그 조개의 살.
    海中の岩などにくっついている、殻がでこぼこしている貝。また、その貝の身。
    • 석화 구이.
    • 석화 양식.
    • 석화 요리.
    • 석화를 까다.
    • 석화를 따다.
    • See More
    • 아주머니들이 갯벌의 바위에서 석화를 따고 있었다.
    • 지수는 껍질을 까지 않은 싱싱한 석화를 숯불에 구워 먹었다.
    • 가: 이 석화는 자연산이에요?
    • 나: 아니요, 양식한 거예요.
  2. 2. ちい【地衣】。ちいるい【地衣類】
    돌에 붙어서 자라는 꽃 모양의 식물.
    岩について育つ花の形をした植物。
    • 석화가 끼다.
    • 석화가 자라다.
    • 석화가 피다.
    • 바위에 석화와 이끼가 피어 있다.
    • 오래된 석탑에는 석화가 잔뜩 끼어 있었다.
    • 가: 돌에 파란 것들이 붙어 있는데, 뭐지?
    • 나: 석화가 피었네?
석회수 (石灰水)
발음 : [서쾨수 /서퀘수 ]
명사 名詞
せっかいすい【石灰水】。せっかいえき【石灰液】
수산화 칼슘을 물에 녹인, 강한 염기성을 나타내는 무색투명한 액체.
水酸化カルシウムを水に溶かした、強いアルカリ性を示す無色透明の液体。
  • 석회수 정수.
  • 석회수가 흐려지다.
  • 석회수에 숨을 불어 넣으면 뿌옇게 흐려진다.
  • 이 지역의 물은 석회수라 정수해서 마시는 것이 좋다.
  • 석회수는 소독약이나 이산화 탄소를 검출하는 시약 등으로 사용된다.
석회암 (石灰巖)
발음 : [서쾨암 /서퀘암 ]
명사 名詞
せっかいがん【石灰岩】
동물의 뼈나 껍질이 물 밑에 쌓여서 생긴,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퇴적암.
動物の骨や殻などが水の下に堆積してできた、炭酸カルシウムを主成分とする堆積岩。
  • 석회암 동굴.
  • 석회암 지대.
  • 석회암 지형.
  • 석회암은 시멘트, 비료 등의 원료로 쓰인다.
  • 탄산이 녹아 있는 물은 석회암을 녹여 석회암 동굴을 만든다.
  • 석회암으로 만들어진 그 동상은 산성비 때문에 손상되었다.
석회질 (石灰質)
발음 : [서쾨질 /서퀘질 ]
명사 名詞
せっかいしつ【石灰質】
석회 성분인 탄산칼슘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물질.
石灰の成分である炭酸カルシウムを多く含んでいる物質。
  • 석회질 물.
  • 석회질 비료.
  • 석회질 성분.
  • 석회질 토양.
  • 석회질이 많다.
  • 이 식물은 석회질이 풍부한 땅에서 잘 자란다.
  • 석회질이 많은 물은 정수 처리를 하고 마셔야 한다.
  • 산성 물질이 많은 흙을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석회질로 된 비료를 줘야 한다.
섞다 ★★★
발음 : [석따 ]
활용 : 섞어[서꺼], 섞으니[서끄니], 섞는[성는]
동사 動詞
  1. 1. まぜる【混ぜる・交ぜる】。こんごうする【混合する】
    두 가지 이상의 것을 한데 합치다.
    二種類以上のものを一緒にする。
    • 물을 섞다.
    • 보리를 섞다.
    • 술을 섞다.
    • 재료를 섞다.
    • 카드를 섞다.
    • See More
    • 맥주에 소주를 조금 섞어 마셨더니 맥주만 마실 때보다 금방 취했다.
    • 나는 남아 있는 밥에 집에 있는 반찬을 섞고 참기름과 고추장을 넣어 비벼 먹었다.
    • 지수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카드를 한데 모아 다시 섞은 뒤에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 가: 선생님, 물과 기름을 아무리 저어도 섞이지 않아요.
    • 나: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그래요.
    • 문형 : 1이 2에 3을 섞다, 1이 2를 (3과) 섞다
    • 문형참고 : '3과'가 없으면 2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2. 2. まぜる【混ぜる・交ぜる】
    어떤 말이나 행동에 다른 말이나 행동을 함께 나타내다.
    ある言葉や行動に加え、違う言葉や行動を表す。
    • 거짓말을 섞다.
    • 농담을 섞다.
    • 동작을 섞다.
    • 영어를 섞다.
    • 콧소리를 섞다.
    • 미국에서 오래 살다 온 지수는 한국말이 아직 서툴러 한국말에 영어를 섞어서 쓴다.
    • 내가 본 연극은 진지한 장면 속에 코믹한 상황을 섞어 넣어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 민준이는 항상 말을 할 때 농담과 진담을 섞어 말해서 뭐가 진담이고 농담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
    • 가: 지영이가 말할 때 왜 이렇게 정신이 없지?
    • 나: 지영이는 항상 말할 때 동작을 섞어 가며 말해서 그럴 거야.
    • 문형 : 1이 2에 3을 섞다, 1이 2를 (3과) 섞다
    • 문형참고 : '3과'가 없으면 2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섞여-
(섞여, 섞여서, 섞였다, 섞여라)→섞이다
섞이다 ★★
발음 : [서끼다 ]
활용 : 섞이어[서끼어/ 서끼여](섞여[서껴]), 섞이니[서끼니]
동사 動詞
  1. 1. まざる【混ざる・交ざる】。まじる【混じる・交じる】
    두 가지 이상의 것이 한데 합쳐지다.
    二種類以上のものが一緒になる。
    • 기름이 섞이다.
    • 냄새가 섞이다.
    • 색깔이 섞이다.
    • 잡곡이 섞이다.
    • 재료가 섞이다.
    • 양부모님은 피가 한 방울도 섞이지 않은 나를 사랑해 주셨다.
    • 나는 매일 아침 북적이는 사람들에 섞여 만원 버스를 타는 것에 지쳤다.
    • 가: 엄마, 이렇게 쌀을 씻어서 밥솥에 안치면 돼요?
    • 나: 흰 쌀에 현미를 좀 더 섞어서 밥을 지으렴.
    • 문형 : 1이 2에 섞이다, 1이 (2와) 섞이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2. 2. まざる【混ざる・交ざる】。まじる【混じる・交じる】
    어떤 말이나 행동에 다른 말이나 행동이 함께 나타나다.
    ある言葉や行動に加え、違う言葉や行動が表れる。
    • 감탄이 섞이다.
    • 걱정이 섞이다.
    • 기대가 섞이다.
    • 애정이 섞이다.
    • 웃음이 섞이다.
    • 두려움이 섞인 동생의 목소리가 가늘게 떨리고 있었다.
    • 동료의 배신을 목격한 사내의 얼굴은 분노와 슬픔이 섞여 일그러졌다.
    • 가: 지영이가 내게 웃음이 섞인 목소리로 말을 걸 때면 가슴이 떨려.
    • 나: 너 지영이 좋아하는구나?
    • 문형 : 1이 2에 섞이다, 1이 (2와) 섞이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