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쳐-
(거쳐, 거쳐서, 거쳤다, 거쳐라)→거치다
거쳐가다
발음 : [거쳐가다]
활용 : 거쳐가[거처가], 거쳐가니[거처가니], 거쳐가거라[거처가거라]
동사 動詞
  1. 1. へる【経る】。けいゆする【経由する】
    어떤 곳에 가는 길에 다른 곳에 잠시 들르거나 머무르고 지나가다.
    目的地に行く途中で、他のところに立ち寄ったり通ったりして行く。
    • 길을 거쳐가다.
    • 동네를 거쳐가다.
    • 마을을 거쳐가다.
    • 산을 거쳐가다.
    • 역을 거쳐가다.
    • See More
    • 내가 가려는 도시는 직항이 없어 도쿄를 거쳐갔다.
    • 내가 탄 기차는 여러 역들을 거쳐가서 시간이 오래 걸렸다.
    • 가: 벌써 공항에 가?
    • 나: 응. 수속도 밟아야 하고 출국 심사도 거쳐가야 하니까 빨리 가야 해.
    • 문형 : 1이 2를 거쳐가다
  2. 2. へる【経る】
    어떤 과정이나 단계를 겪고 지나가다.
    ある過程や段階を通っていく。
    • 과정을 거쳐가다.
    • 단계를 거쳐가다.
    • 시대를 거쳐가다.
    • 자리를 거쳐가다.
    • 절차를 거쳐가다.
    • 김 박사는 새로운 발명을 하기까지 수많은 실패를 거쳐갔다.
    • 지수는 세계적인 화가들이 거쳐간 곳으로 유명한 미술 학교에 입학하였다.
    • 가: 이번에 부사장 자리에 오른 분 경력이 매우 화려하던데?
    • 나: 응. 해외에서 명문대를 졸업해 여러 대기업들을 거쳐간 분이래.
    • 문형 : 1이 2를 거쳐가다
거쳐오다
발음 : [거쳐오다]
활용 : 거쳐와[거처와], 거쳐오니[거처오니], 거쳐오너라[거처오너라]
동사 動詞
  1. 1. へる【経る】。けいゆする【経由する】
    어떤 곳에 오는 길에 다른 곳에 잠시 들르거나 머무르고 지나오다.
    目的地に来る途中で、他のところに立ち寄ったり通ったりしてくる。
    • 길을 거쳐오다.
    • 마을을 거쳐오다.
    • 방을 거쳐오다.
    • 산을 거쳐오다.
    • 시골을 거쳐오다.
    • See More
    • 산을 거쳐온 아저씨의 신발은 흙투성이였다.
    •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는 여러 나라를 거쳐오면서 조금씩 변형되어서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 가: 오늘은 평상시보다 열차가 조금 늦게 도착한 것 같네.
    • 나: 응. 보통 때보다 역 두 개를 더 거쳐왔거든.
    • 문형 : 1이 2를 거쳐오다
  2. 2. へる【経る】
    어떤 과정이나 단계를 겪고 지나오다.
    ある過程や段階を通っていく。
    • 과정을 거쳐오다.
    • 관행을 거쳐오다.
    • 단계를 거쳐오다.
    • 변화를 거쳐오다.
    • 세월을 거쳐오다.
    • See More
    • 유민이는 지금까지 여러 힘든 시기를 거쳐왔지만 여전히 성격이 밝다.
    • 신입 사원들은 엄격한 심사 절차를 거쳐온 사람들인 만큼 실력이 좋았다.
    • 가: 자네는 사업이 잘 풀려서 걱정이 없겠군.
    • 나: 저도 얼마 전까지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왔어요. 이제 좀 사업이 자리를 잡았어요.
    • 문형 : 1이 2를 거쳐오다
거추장스럽다
발음 : [거ː추장스럽따 ]
활용 : 거추장스러운[거ː추장스러운], 거추장스러워[거ː추장스러워], 거추장스러우니[거ː추장스러우니], 거추장스럽습니다[거ː추장스럽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うっとうしい。めんどうだ【面倒だ】
    물건 등이 크거나 무거워서 다루기가 어렵고 불편하다.
    品物などが大きかったり重かったりして、扱いにくく不便だ。
    • 머리카락이 거추장스럽다.
    • 복장이 거추장스럽다.
    • 옷이 거추장스럽다.
    • 장식이 거추장스럽다.
    • 짐이 거추장스럽다.
    • 주렁주렁 장식이 달린 옷은 운동을 할 때 거추장스럽다.
    • 안경을 며칠 써 보니 어지럽고 거추장스러워 매우 불편했다.
    • 가: 공부하는데 고개가 숙여지니까 머리카락이 거추장스럽게 느껴지네.
    • 나: 그럼. 묶어 봐.
    • 문형 : 1이 2가 거추장스럽다
  2. 2. うっとうしい。めんどうだ【面倒だ】
    일이나 사람 등이 귀찮고 싫다.
    仕事や人などが面倒でいやだ。
    • 거추장스러운 사람.
    • 격식이 거추장스럽다.
    • 과정이 거추장스럽다.
    • 일이 거추장스럽다.
    • 존재가 거추장스럽다.
    • 피곤한 민준이는 재롱을 부리는 애완견이 거추장스러웠다.
    • 그는 일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해 직원들로부터 거추장스러운 존재로 여겨졌다.
    • 가: 너는 집에서 요리 안 해 먹어?
    • 나: 회사 일로 바쁘니까 거추장스러워서 사 먹어.
    • 문형 : 1이 2가 거추장스럽다
거취 (去就)
발음 : [거ː취 ]
명사 名詞
  1. 1. きょしゅう【去就】
    어떤 사람이 간 곳이나 가야 할 방향.
    ある人の行き場あるいは行くべき方向。
    • 거취가 알려지다.
    • 거취가 정해지다.
    • 거취를 모르다.
    • 거취를 알다.
    • 거취를 옮기다.
    • See More
    • 김 선수는 구단과 계약 기간이 끝나서 다른 구단으로 거취를 옮겼다.
    • 그는 모든 사람들과의 연락을 끊어 그의 거취를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 가: 우리 동네에서 강도 짓을 하던 범인을 아직도 못 잡았다며?
    • 나: 응. 그래서 경찰들이 거취를 알아내기 위해 전국적으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대.
  2. 2. きょしゅう【去就】
    어떤 일에 대한 입장이나 태도.
    あることに対する立場や態度。
    • 장래 거취.
    • 향후 거취.
    • 거취가 궁금하다.
    • 거취를 묻다.
    • 거취를 정하다.
    • See More
    • 이번 사태에 대해 정부는 모호한 거취를 표명해 국민들에게 실망감을 안겼다.
    • 사장은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직원들의 거취를 들어 본 후 결정을 내렸다.
    • 가: 김 과장님은 타 지역으로 전근 가기로 하신 거야?
    • 나: 아직 과장님이 거취를 분명히 하지 않으셨대요.
거치 (据置)
발음 : [거치 ]
명사 名詞
  1. 1. すえおき【据え置き】
    어떤 것을 어디에 그대로 둠.
    あるものを元のところにそのままおくこと。
    • 거치 방식.
    • 거치 장치.
    • 거치가 되다.
    • 거치가 쉽다.
    • 거치가 용이하다.
    • See More
    • 바닥이 둥글둥글한 장식품은 거치가 쉽지 않다.
    • 선수들은 사격에 앞서 거치 장치에 소총을 올려 놓았다.
    • 가: 스키를 벽에 세워 두자니 혹시나 넘어져서 부러질까 걱정이야.
    • 나: 맞아. 스키는 거치가 어려워.
  2. 2. すえおき【据え置き】
    예금하거나 대출한 돈을 일정한 기간 동안 찾거나 갚지 않고 그대로 둠.
    預金したり、貸し出したお金を一定期間の間に引き出したり、返さずにそのまま置くこと。
    • 예금 거치.
    • 거치 기간.
    • 거치 자금.
    • 거치 조건.
    • 거치 투자.
    • See More
    • 나는 거치 기간이 끝나자마자 대출금을 갚기 시작했다.
    • 은행에서 일 년 거치, 삼 년 이내 갚는 조건으로 돈을 빌렸다.
    • 가: 삼 년 거치로 돈을 대출 받으면 돈은 어떤 방식으로 갚으면 되나요?
    • 나: 삼 년 동안은 이자를 내고 삼 년 후부터는 원금과 이자를 함께 내면 됩니다.
거치-1
(거치고, 거치는데, 거치니, 거치면, 거친, 거치는, 거칠, 거칩니다, 거치니)→거치다
거치-2
(거친데, 거치니, 거친, 거칠, 거칩니다)→거칠다
거칠다 ★★
발음 : [거칠다 ]
활용 : 거친[거친], 거칠어[거치러], 거치니[거치니], 거칩니다[거침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あらい【荒い】
    표면이 곱거나 부드럽지 않다.
    表面がきめ細かくないか、または、やわらかくない。
    • 거친 손.
    • 거친 피부.
    • 나무가 거칠다.
    • 살결이 거칠다.
    • 얼굴이 거칠다.
    • 어머니의 거친 손을 볼 때면 늘 마음이 아프다.
    •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예전에 비해 내 피부가 훨씬 거친 것 같다.
    • 가: 목재를 잘 다듬어서 의자를 만들어 봐야겠어.
    • 나: 나무가 거칠어서 손을 다칠 수도 있으니까 장갑을 끼고 해.
    • 문형 : 1이 거칠다
  2. 2. あらい【荒い】
    정확하거나 꼼꼼하지 않고 대충 함부로 하는 모습이다.
    正確でもなく、几帳面でもなく、適当で、振舞いが大雑把だ。
    • 거칠게 만들다.
    • 거칠게 처리하다.
    • 솜씨가 거칠다.
    • 운전이 거칠다.
    • 일 처리가 거칠다.
    • 그는 일 처리가 꼼꼼하지 못하고 좀 거친 편이다.
    • 아직은 뜨개질 솜씨가 거칠어서 다른 사람에게 선물하기에는 부끄럽다.
    • 가: 당신이 하도 거칠게 운전을 하니까 차 타기가 겁나요. 차라리 내가 할게요.
    • 나: 당신은 운전을 너무 느리게 하잖아.
    • 문형 : 1이 거칠다
  3. 3. あれる【荒れる】
    땅이 기름지지 않고 메마르다.
    土地が豊かではなく干からびている。
    • 땅이 거칠다.
    • 우리 가족은 버려져 있던 거친 땅을 일구어 논밭을 만들었다.
    • 이 지역은 땅이 너무 거칠어서 농사를 짓는 사람이 거의 없다.
    • 문형 : 1이 거칠다
  4. 4. あらい【荒い】
    행동이나 성격이 몹시 강하고 세다.
    行動や性格が大変きつくて強い。
    • 거친 몸짓.
    • 거친 손길.
    • 거칠게 끌어내다.
    • 거칠게 흔들다.
    • 성격이 거칠다.
    • See More
    • 지수는 어린 시절에 정신적인 상처를 많이 입어서 성격이 좀 거친 편이다.
    • 화가 난 승규는 유민이의 팔을 잡고 거칠게 흔들며 다그쳤다.
    • 문형 : 1이 거칠다
  5. 5. あらい【荒い】
    바람, 파도 등의 자연 현상이 거세고 강하다.
    風や波などの自然現象が荒くて強い。
    • 거친 바다.
    • 거친 파도.
    • 바람이 거칠다.
    • 배가 거친 바다를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 이 지역은 여름보다 겨울에 파도가 더 거칠다.
    • 문형 : 1이 거칠다
  6. 6. きびしい【厳しい】
    인정이 없고 살기에 험하다.
    人情がなく、暮らすのが厳しい。
    • 거친 세상.
    • 거친 세파.
    • 거친 속세.
    • 님은 거친 속세에서 부대끼며 사는 것이 싫어서 출가를 결심하셨다.
    • 지수는 마음이 너무 약해서 거친 세상을 어떻게 살아갈지 걱정된다.
    • 거친 세파에 시달리며 살다 보니 내 자신도 점점 이기적으로 변해 가는 것 같다.
    • 문형 : 1이 거칠다
  7. 7. あらい【粗い】
    알갱이가 고르지 못하고 굵다.
    粒子が均一ではなく粗い。
    • 가루가 거칠다.
    • 모래가 거칠다.
    • 입자가 거칠다.
    • 요즘 건강을 위해 알갱이가 거친 곡식들을 선식으로 만들어 먹고 있다.
    • 시장에서 사온 고춧가루가 너무 거칠어서 곱게 다시 빻았다.
    • 문형 : 1이 거칠다
  8. 8. あらい【荒い】
    말이나 글이 점잖거나 세련되지 못하다.
    言葉や文章に品がなく、洗練されてない。
    • 거친 문체.
    • 거친 욕설.
    • 말투가 거칠다.
    • 문장이 거칠다.
    • 표현이 거칠다.
    • 우리 딸은 다 큰 여자아이가 말을 얌전히 하지 않고 말투가 너무 거칠어서 걱정이다.
    • 가: 너에게 그런 심한 말을 들고 크게 상처 받았어.
    • 나: 그때는 너무 흥분해서 나도 모르게 거친 말이 나왔어. 정말 미안해.
    • 문형 : 1이 거칠다
  9. 9. あらい【荒い】
    숨이나 기침이 고르지 않고 세거나 심하다.
    息や咳が一定でなく、激しいかひどい。
    • 거친 숨결.
    • 거친 숨소리.
    • 거칠게 기침하다.
    • 바람이 거칠다.
    • 호흡이 거칠다.
    • 지각을 한 승규는 교실로 뛰어들어 와서는 거친 숨을 내쉬었다.
    • 가: 유민이의 열이 내리지 않아서 걱정이에요. 기침 소리도 점점 거칠어지고.
    • 나: 잠에서 깨어나면 어떻게든 병원에 데려가야겠어.
    • 문형 : 1이 거칠다
  10. 10. するどい【鋭い】
    돌이 날카롭다.
    石がとがっている。
    • 돌이 거칠다.
    • 거칠고 모가 난 돌도 오랜 세월이 지나면 곱게 다듬어지기 마련이다.
    • 가: 왜 발에 붕대를 감고 있어?
    • 나: 계곡에서 노는데 돌이 거칠어서 발을 다쳤어
    • 문형 : 1이 거칠다
  11. 11. きつい
    일이 육체적으로 힘들다.
    仕事が肉体的に大変である。
    • 거친 농사일.
    • 일이 거칠다.
    • 체력이 좋은 그에게는 막노동도 생각만큼 거칠지 않았다.
    • 농사일이 거칠기는 하지만 그만큼 수확의 기쁨과 보람도 크다.
    • 가: 여자의 몸으로 그런 거친 일을 어떻게 하려는 거야?
    • 나: 걱정 마세요. 아무리 힘든 일이라도 남자랑 똑같이 할 수 있어요.
    • 문형 : 1이 거칠다
거치다 ★★
발음 : [거치다 ]
활용 : 거치어[거치어/ 거치여], 거쳐[거처], 거치니
동사 動詞
  1. 1. じゃまになる【邪魔になる】
    무엇에 걸리거나 막히다.
    何かに引っかかったり遮られたりする。
    • 돌이 거치다.
    • 문턱이 거치다.
    • 덫에 거치다.
    • 발에 거치다.
    • 토끼 한 마리가 사냥꾼의 덫에 거쳐 꼼짝 못 하게 되었다.
    • 방 안으로 뛰어 들어가다가 문턱이 발에 거쳐서 넘어지고 말았다.
    • 가: 산에 돌이 많아서 길이 울퉁불퉁해요.
    • 나: 걷다가 돌부리에 거치지 않도록 조심하렴.
    • 문형 : 1이 거치다
  2. 2. はばかる【憚る】
    마음에 걸려 꺼려지다.
    差し障りをおぼえてためらう。
    • 거치는 일.
    • 거칠 것.
    • 마음속에 거치다.
    • 혼자 살면 거칠 일 없이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어서 좋다.
    • 막상 이사를 하려니 거치는 것도 많고 번거로워서 내키지 않는다.
    • 가: 아들이 힘든 일을 해서 마음이 불편하신가 봐요.
    • 나: 좀 거치긴 하지만 본인이 좋아하니까 할 수 없죠.
    • 문형 : 1이 거치다
  3. 3. へる【経る】。たちよる【立ち寄る】
    오가는 길에 어디를 지나거나 들르다.
    行き来する途中で、どこかを通ったり寄ったりする。
    • 거쳐 가다.
    • 도시를 거치다.
    • 나라를 거치다.
    • 지방을 거치다.
    • 잠깐 거치다.
    • 4호선 열차는 사당역을 거쳐 오이도역까지 간다.
    • 학교 갈 때 좋아하는 아이의 집 앞을 거쳐 가려고 먼 길을 돌아가곤 했다.
    • 가: 유럽 여행할 때 스위스도 가 봤니?
    • 나: 응. 그런데 프랑스를 가면서 잠깐 거쳐 간 곳이라 기억이 잘 안 나.
    • 문형 : 1이 2를 거치다
  4. 4. へる【経る】
    어떤 과정을 겪거나 단계를 밟다.
    ある過程を通ったり段階を踏んだりする。
    • 고비를 거치다.
    • 과정을 거치다.
    • 기간을 거치다.
    • 논의를 거치다.
    • 단계를 거치다.
    • See More
    •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고등학교 과정을 거친 후에 대학교에 진학한다.
    • 그는 가난한 시절을 거쳐 성공해 부자가 되었기 때문에 무엇이든 절약하는 습관이 있다.
    • 가: 옷을 만드는 방법이 이렇게 복잡한지 몰랐어요.
    • 나: 다른 분들도 이 옷 한 벌이 복잡한 제작 과정을 거쳐서 완성된다는 걸 알고 놀라시더라고요.
    • 문형 : 1이 2를 거치다
  5. 5. へる【経る】
    검사를 받거나 살펴보다.
    検査を受けたり調べたりする。
    • 검색대를 거치다.
    • 상부를 거치다.
    • 손을 거치다.
    • 윗사람을 거치다.
    • 외부에서 온 소포나 편지는 그의 손을 거쳐 부대 내 장병들에게 전달된다.
    • 비행기에 탈 때 가지고 가는 물건들은 반드시 검색대를 거치게 되어 있다.
    • 가: 옷값이 좀 비싼데 깎아 주시면 안 되나요?
    • 나: 죄송하지만 사장님을 거치지 않고 마음대로 결정할 수가 없어요.
    • ※ 주로 '손을 거치다'로 쓴다.
    • 문형 : 1이 2를 거치다
관용구 · 속담(1)
거치적거리다
발음 : [거치적꺼리다 ]
동사 動詞
  1. 1. まつわりつく【纏わり付く】
    거추장스럽게 여기저기 자꾸 걸리거나 닿다.
    煩くひっかかったり、触れたりする。
    • 물건이 거치적거리다.
    • 선이 거치적거리다.
    • 장애물이 거치적거리다.
    • 나는 공부하는데 앞머리가 거치적거려서 머리핀으로 고정시켰다.
    • 가: 친구한테 선물 받은 목걸이 예쁘던데 왜 안 하고 다녀?
    • 나: 너무 길어서 거치적거리고 불편해.
  2. 2. あしでまといになる【足手まといになる】。じゃまになる【邪魔になる】
    거추장스러워서 거슬리거나 자꾸 방해가 되다.
    邪魔臭くて気になったり、妨げになったりする。
    • 눈앞에 거치적거리다.
    • 마음에 거치적거리다.
    • 나는 일이 서툴러서 함께 일하는 직원들에게 거치적거리지 않을까 걱정했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