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위 (前衛)
발음 : [저뉘 ]
명사 名詞
  1. 1. ぜんえい【前衛】
    적을 바로 마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어떤 대상을 곁에서 보호하고 지킴.
    敵に近い所で、ある対象を護衛すること。
    • 임금의 전위.
    • 전위를 관찰하다.
    • 전위를 맡다.
    • 전위를 살피다.
    • 전위를 지키다.
    • 호위 병사들은 임금의 전위만을 지키고 살폈다.
    • 경호원들은 대통령의 전위에서 만약의 경우에 철저하게 대비했다.
    • 가: 그의 무공은 정말 대단했나 봐.
    • 나: 임금의 전위를 맡았던 자이니 뛰어난 무사였겠지.
  2. 2. ぜんえい【前衛】
    계급 투쟁 등에서 무리의 가장 앞에서 서서 지도하는 사람이나 집단.
    階級闘争などで、先頭に立って指導する人や集団。
    • 혁명의 전위.
    • 전위 노릇.
    • 전위 역할.
    • 전위가 되다.
    • 전위로 인정하다.
    • 국가는 혁명의 전위를 경계했다.
    • 용감한 시민은 무리의 전위 자리에 서서 투쟁을 했다.
    • 사람들은 자신의 처지를 대변해 주는 이를 전위로 인정했다.
  3. 3. ぜんえい【前衛】
    이미 있는 것과는 매우 다른 새로운 예술.
    既存のものと違う、新しい芸術。
    • 전위 미술.
    • 전위 연극.
    • 전위 예술가.
    • 전위 음악.
    • 전위를 추구하다.
    • 관객들은 색다른 전위 연극의 표현을 이해하느라 고민했다.
    • 전위 작가는 지금까지의 기법과 다른 방법으로 그림을 그려 높이 평가 받았다.
    • 가: 이런 묘사는 처음 읽어보는 걸!
    • 나: 전위 문학이라 그럴 거예요.
전위 예술 (前衛藝術)
참고 : 붙여쓰기를 허용한다.
ぜんえいげいじゅつ【前衛芸術】
이전의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실험적인 예술.
既成の概念を否定し、新しい創作を試みる実験的な芸術。
  • 전위 예술 공연.
  • 전위 예술을 배우다.
  • 전위 예술을 시도하다.
  • 전위 예술을 하다.
  • 전위 예술에 빠지다.
  • 현대 무용가는 규칙을 어기고 새롭고 혁신적인 전위 예술을 펼쳤다.
  • 전위 예술은 눈에 보이는 것보다 예술가가 숨긴 의도를 파악하는 재미가 있다.
  • 가: 나는 전위 예술이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잘 모르겠더라.
  • 나: 아무래도 실험적인 시도를 하다 보니 그만큼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
전위적1 (前衛的)
발음 : [저뉘적 ]
명사 名詞
  1. 1. ぜんえいてき【前衛的】
    계급 투쟁 등에서 무리의 가장 앞에서 서서 지도하는 사람이나 집단으로 알맞은 것.
    階級闘争などで、先頭に立って指導する人や集団に適していること。
    • 전위적인 여성.
    • 전위적인 역할.
    • 전위적인 지식인.
    • 전위적인 투쟁.
    • 전위적인 행위.
    • 상인들은 부르주아 계급의 전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 노예 해방 후 사람들은 계급 투쟁에 전위적으로 나선 사람들을 기억했다.
    • 가: 예전에는 학생들이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었던 것 같아.
    • 나: 맞아, 독립운동 같은 경우에도 대학생들이 전위적인 활동을 하곤 했지.
  2. 2. ぜんえいてき【前衛的】
    사상이나 예술 등이 이미 있는 것과는 매우 다르게 새로운 것.
    思想や芸術などが既存の概念と違って新しいこと。
    • 전위적인 기법.
    • 전위적인 미술.
    • 전위적인 연극.
    • 전위적인 예술가.
    • 전위적인 작가.
    • See More
    • 작가는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소설을 써서 주목을 받았다.
    • 전위 예술가는 파격적이고 전위적인 연출의 연극을 만들었다.
    • 가: 저 무용가가 추는 춤의 의미를 잘 이해 못 하겠어.
    • 나: 아무래도 저런 전위적인 무용은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워.
전위적2 (前衛的)
발음 : [저뉘적 ]
관형사 冠形詞
  1. 1. ぜんえいてき【前衛的】
    계급 투쟁 등에서 무리의 가장 앞에서 서서 지도하는 사람이나 집단으로 알맞은.
    階級闘争などで、先頭に立って指導する人や集団に適しているさま。
    • 전위적 시각.
    • 전위적 운동.
    • 전위적 역할.
    • 전위적 지휘.
    • 전위적 행동.
    • 군중들은 전위적 행동을 하는 사람을 리더로 세웠다.
    • 이 신문 기자들은 독립을 위해 싸우는 일종의 전위적 활동 집단이었다.
    • 가: 그 사람은 어쩌다가 정부에 전위적 인물로 낙인이 찍힌 거야?
    • 나: 혁명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했거든.
  2. 2. ぜんえいてき【前衛的】
    사상이나 예술 등이 이미 있는 것과는 매우 다르게 새로운.
    思想や芸術などが既存の概念と違って新しいさま。
    • 전위적 가치.
    • 전위적 문학.
    • 전위적 미술.
    • 전위적 실험.
    • 전위적 예술가.
    • See More
    • 한 작가는 실험적인 구성의 전위적 소설을 썼다.
    • 전위적 연극은 혁신적인 연출과 내용으로 사람들의 관심이 쏠렸다.
    • 현재의 미술계에 불만을 가진 몇몇 신인 화가들이 전위적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 가: 나는 이런 전위적 예술은 잘 이해가 안 가더라.
    • 나: 조금 난해한 부분이 있지.
전유물 (專有物)
발음 : [저뉴물 ]
명사 名詞
せんゆうぶつ【専有物】
혼자만 차지하여 가지는 물건.
自分ひとりだけのもの。
  • 남성들의 전유물.
  • 부유층의 전유물.
  • 특권층의 전유물.
  • 전유물이 되다.
  • 전유물로 변하다.
  • See More
  • 국가의 보물로 지정된 유물은 특정 개인의 전유물이 될 수 없다.
  • 영화제는 배우와 감독의 전유물이 아니라 영화를 좋아하는 모든 사람들의 축제이다.
  • 가: 예술 영화를 보러 온 사람들이 꽤 많구나.
  • 나: 그러게, 나는 전문가들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는데.
전율 (戰慄)
발음 : [저ː뉼 ]
명사 名詞
  1. 1. せんりつ【戦慄】
    매우 무섭거나 두려워 몸이 떨림.
    恐ろしさや恐怖などで体が震えること。
    • 전율이 몸을 감싸다.
    • 전율이 일어나다.
    • 전율이 흐르다.
    • 전율을 느끼다.
    • 전율을 일으키다.
    • See More
    • 공포 영화가 절정에 이르자 관객들 사이에는 긴장감과 전율이 흘렀다.
    • 나는 자칫 죽을지도 모른다는 공포감 때문에 온몸에 전율이 일어났다.
    • 가: 정말 끔찍하고 무서운 이야기였어.
    • 나: 응. 나는 소름이 돋을 정도로 전율을 느낀걸.
  2. 2. ふるえ【震え】
    (비유적으로) 몸이 떨릴 정도로 감격스러움.
    (比喩的に)体が小刻みに動くほど、感激すべきこと。
    • 전율이 흐르다.
    • 전율을 느끼다.
    • 음악이 절정에 다다르자 사람들은 전율에 휩싸였다.
    • 가: 그 추리 소설 재미있니?
    • 나: 그럼. 주인공이 범인을 찾을 때의 전율이 아직도 생생해.
전율하다 (戰慄 하다)
발음 : [저ː뉼하다 ]
활용 : 전율하는[저ː뉼하는], 전율하여[저ː뉼하여](전율해[저ː뉼해]), 전율하니[저ː뉼하니], 전율합니다[저ː뉼함니다]
동사 動詞
  1. 1. せんりつする【戦慄する】
    매우 무섭거나 두려워 몸이 떨리다.
    恐ろしさや恐怖などで体が震える。
    • 전율하는 느낌.
    • 사람들이 전율하다.
    • 온몸이 전율하다.
    • 공포에 전율하다.
    • 두려움에 전율하다.
    • 나는 그 잔인하고 끔찍한 장면 앞에서 전율하며 눈을 감아 버렸다.
    • 병사들은 거세게 밀려드는 수많은 적군을 보고 두려움에 전율하였다.
    • 가: 다리가 절벽 사이에 아슬아슬하게 걸쳐 있어서 건널 때 무서웠어.
    • 나: 나도 아래로 떨어질 것 같은 두려움에 온몸이 전율했어.
    • 문형 : 1이 전율하다
  2. 2. ふるえる【震える】
    (비유적으로) 매우 감격하여 몸이 떨리다.
    (比喩的に)非常に感激して、体が小刻みに動く。
    • 연극이 절정에 이르자 관객들이 전율했다.
    • 가: 이 오페라가 처음 상영되었을 때 관객들의 반응은 어땠습니까?
    • 나: 오페라 상영 사상 처음 느껴보는 감동으로 극장 안은 전율하는 사람들로 가득 찼습니다.
    • 문형 : 1이 전율하다
전의 (戰意)
발음 : [저ː늬 /저ː니 ]
명사 名詞
せんい【戦意】
싸우려고 하는 마음이나 의지.
戦おうとする意志。
  • 불타는 전의.
  • 전의를 가다듬다.
  • 전의를 꺾다.
  • 전의를 불태우다.
  • 전의를 상실하다.
  • See More
  • 장군은 폐허가 된 마을을 보고 적을 향해 전의를 불태웠다.
  • 우리 부대는 전투가 끝났다고 생각하고 전의가 해이해진 적을 기습했다.
  • 상대방의 실력이 너무 뛰어나서 나는 두려움에 사로잡혀 전의를 상실하고 말았다.
  • 가: 병사들의 사기가 왜 이렇게 떨어졌는가?
  • 나: 적군의 수가 너무 많은 것을 보고 전의를 잃은 것 같습니다.
전이 (轉移)
발음 : [저ː니 ]
명사 名詞
  1. 1. てんい【転移】
    자리나 위치 등을 다른 곳으로 옮김.
    席や位置などを他の所に移すこと。
    • 암의 전이.
    • 전이가 가능하다.
    • 전이가 되다.
    • 전이가 발생하다.
    • 전이가 일어나다.
    • See More
    • 청결한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세균의 전이를 막을 수 있다.
    • 이 영화는 소설의 형식이 영화로 전이가 된 것이라 볼 수 있다.
    • 가: 유감스럽게도 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가 일어난 것 같습니다.
    • 나: 암이 더 번졌다는 말씀이신가요?
  2. 2. てんい【転移】
    사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고 바뀜.
    物事が時間の経過とともに変わること。
    • 의미의 전이.
    • 전이의 결과.
    • 전이가 되다.
    • 전이가 일어나다.
    • 전이를 하다.
    • '법석'과 같이 불교 용어 중 일상적인 용어로 전이가 일어난 어휘들이 많다.
    • 독자는 한 작가의 소설을 모두 읽으며 작가의 생각이 전이를 한 과정을 연구했다.
    • 가: 요새는 영화를 볼 때 진동도 느껴지고 냄새도 느낄 수 있다며?
    • 나: 응, 영화는 보고 듣는 것에서 보고 듣고 만져지는 것으로 전이가 이루어졌지.
전이되다 (轉移 되다)
발음 : [저ː니되다 /저ː니뒈다 ]
동사 動詞
  1. 1. てんいする【転移する】
    자리나 위치 등이 다른 곳으로 옮겨지다.
    席や位置などが他の所に移される。
    • 전이된 곳.
    • 장소가 전이되다.
    • 다른 곳으로 전이되다.
    • 다른 부위로 전이되다.
    • 전신으로 전이되다.
    • 할아버지가 제사를 지내시던 풍습은 부모님 세대로 전이되었다.
    • 암 환자는 꾸준히 항암 치료를 받아 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되는 것을 막았다.
    • 가: 월드컵이 끝나자 열기가 금세 식은 것 같아.
    • 나: 사람들의 관심이 금세 축구에서 일상으로 전이된 거지.
    • 문형 : 1이 2로 전이되다
  2. 2. てんいする【転移する】
    사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고 바뀌다.
    物事が時間の経過とともに変わる。
    • 전이된 의미.
    • 전이된 형식.
    • 내용이 전이되다.
    • 이야기가 전이되다.
    • 다른 의미로 전이되다.
    • 여러 학문에서 담당하던 교육학은 마침내 독립 학문으로 전이되었다.
    •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현대에 와서는 문학의 차원으로 전이되었다.
    • 가: 역사를 보면 고대사일수록 신비한 이야기가 많은 것 같아.
    • 나: 역사적 사실이 시간이 지나면서 전설과 비슷하게 전이된 거지.
    • 문형 : 1이 2로 전이되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