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 못하다
  1. 1. (ら)れない。えない【得ない】。ことができない
    앞의 말이 나타내는 행동을 할 능력이 없거나 주어의 의지대로 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する能力に欠けていたり主語の意志通りにはならない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승규는 심한 감기에 걸려 밥도 잘 먹지 못했다.
    • 유민이와 함께 여행을 가지 못해 너무 아쉽다.
    • 우리 팀의 패배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충격적인 결과였다.
    • 가: 지수가 결국 시험에 떨어졌대.
    • 나: 그렇게 노력했는데도 합격하지 못했다니 시험이 정말 어려웠나 봐.
    • ※ 동사나 '-으시-' 뒤에 붙여 쓴다.
  2. 2. くない。ではない
    앞의 말이 나타내는 상태에 이를 수 없음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状態には及ばない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자기보다 약한 동물을 괴롭히다니 사람답지 못하다.
    • 어린 시절의 기억은 그에게 그렇게 아름답지 못했다.
    • 밤에 과식을 하면 속이 편하지 못해 깊은 잠에 들기 어렵다.
    • 가: 너무 화가 나서 유민이한테 꺼져 버리라고 했어요. 유민이가 많이 속상했을까요?
    • 나: 그럼. 친구한테 그렇게 좋지 못한 말을 하면 안 돼.
    • ※ 일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지모 (智謀)
발음 : [지모 ]
명사 名詞
ちぼう【知謀】
슬기로운 꾀.
巧みな計略。
  • 뛰어난 지모.
  • 지모가 많다.
  • 지모가 비상하다.
  • 지모가 출중하다.
  • 지모를 짜다.
  • 김 장군은 용맹과 지모를 갖춘 장군이다.
  • 민준의 지모로 우리 팀은 상대 팀과의 경기에서 큰 점수 차이로 이겼다.
  • 승규는 지모가 뛰어나 어떤 어려움이 생겨도 지혜롭게 해결했다.
지목 (指目)
발음 : [지목 ]
활용 : 지목이[지모기], 지목도[지목또], 지목만[지몽만]
명사 名詞
しもく【指目】
특정 사람이나 사물이 어떠하다고 꼭 집어서 가리킴.
特定の人や物の特徴を取り上げ、指差すこと。
  • 지목이 되다.
  • 지목을 당하다.
  • 지목을 받다.
  • 지목을 피하다.
  • 지목을 하다.
  • 그 남자는 이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이 되었다.
  • 박 선수는 각 팀에서 가장 영입하고 싶은 선수로 지목을 받았다.
  • 승규는 친구의 지갑을 훔친 범인으로 지목을 받았다.
지목되다 (指目 되다)
발음 : [지목뙤다 /지목뛔다]
동사 動詞
しもくされる【指目される】
특정 사람이나 사물이 어떠하다고 가리켜지다.
特定の人や物の特徴が取り上げられ、指差されること。
  • 지목된 문제.
  • 강점으로 지목되다.
  • 범인으로 지목되다.
  • 용의자로 지목되다.
  • 원인으로 지목되다.
  • See More
  • 인기 가수 임 씨는 이 프로그램의 새 출연자로 지목되었다.
  • 이 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된 김 씨는 오늘 경찰에게 붙잡혔다.
  • 최 의원은 이번 선거에 우리 당의 후보로 지목되었다.
  • 문형 : 1이 2로 지목되다
지목하다 (指目 하다)
발음 : [지모카다 ]
동사 動詞
しもくする【指目する】
특정 사람이나 사물을 어떠하다고 꼭 집어서 가리키다.
特定の人や物の特徴を取り上げ、指差す。
  • 지목한 사람.
  • 방식을 지목하다.
  • 상대를 지목하다.
  • 후계자를 지목하다.
  • 범인으로 지목하다.
  • See More
  • 교수님은 이번 행사의 총 책임자로 나를 지목했다.
  • 복싱 챔피언 김 선수는 다음에 자신과 싸울 상대로 최 선수를 지목하였다.
  • 사건의 목격자는 박 씨를 범인으로 지목하였다.
  • 승규는 자신의 이상형으로 영화배우 김 씨를 지목했다.
  • 문형 : 1이 2를 지목하다, 1이 2를 3으로 지목하다
지문1 (地文)
발음 : [지문 ]
명사 名詞
  1. 1. ぶんしょう【文章】
    교과서나 시험 문제 등에서 주어진 내용의 글.
    教科書や試験問題などで、与えられた内容の文章。
    • 교과서의 지문.
    • 문제의 지문.
    • 지문의 형식.
    • 지문이 길다.
    • 지문이 짧다.
    • See More
    • 선생님은 교과서에 나온 글을 뽑아 문제의 지문으로 선택하였다.
    • 이번 시험에서는 교과서에 나오는 작품이 지문으로 나왔다.
    • 지수는 문제와 함께 지문을 읽었다.
  2. 2. じのぶん【地の文】。とがき【ト書き】
    희곡에서 해설과 대사를 제외한, 인물의 동작이나 표정, 심리 등을 서술한 글.
    戯曲で解説と台詞を除いた、登場人物の動きや表情、心理などを叙述した部分。
    • 대본의 지문.
    • 자세한 지문.
    • 지문이 많다.
    • 지문을 확인하다.
    • 지문에 표시하다.
    • 배우 김 씨는 대본의 지문을 연필로 표시하며 연습에 열중했다.
    • 승규는 대본에 나온 지문을 꼼꼼하게 확인하였다.
    • 지수는 연극 연습을 하며 지문에서 표현하고 있는 표정을 지으려고 애썼다.
지문2 (指紋)
발음 : [지문 ]
명사 名詞
しもん【指紋】
손가락 끝의 안쪽에 있는 살갗의 무늬. 또는 사물에 묻은 그것의 흔적.
手の指先の内側にある紋様。また、物についている指紋の痕跡。
  • 뚜렷한 지문.
  • 지문이 남다.
  • 지문을 닦다.
  • 지문을 지우다.
  • 지문을 찍다.
  • See More
  • 경찰은 사건 현장에서 범인의 지문을 채취하였다.
  • 과학 선생님은 사람들은 모두 자신만의 독특한 지문을 가지고 있다고 말씀하셨다.
  • 유리창에 지수의 지문이 남았다.
지물포 (紙物鋪)
발음 : [지물포 ]
명사 名詞
かみや【紙屋】
벽지나 장판지 등의 온갖 종이를 파는 가게.
壁紙や、床に張る厚い油紙など、色々な紙を売る店。
  • 오래된 지물포.
  • 지물포를 경영하다.
  • 지물포를 하다.
  • 지물포에 가다.
  • 지물포에 들르다.
  • See More
  • 아버지는 장판을 사려고 지물포에 들렀다.
  • 우리 집을 도배하는 아저씨는 지물포에서 벽지를 가져오셨다.
  • 할아버지는 지물포에서 벽지를 사오셨다.
지반 (地盤)
발음 : [지반 ]
명사 名詞
  1. 1. じばん【地盤】。じめん【地面】
    땅의 표면.
    土地の表面。
    • 단단한 지반.
    • 지반의 균열.
    • 지반이 내려앉다.
    • 지반이 높다.
    • 지반이 단단하다.
    • See More
    • 어젯밤에 폭우가 쏟아져 지반이 내려앉아 도로가 움푹하게 꺼진 곳이 많다.
    • 우리 집은 지반이 높아 유리창 밖으로 동네가 훤히 보인다.
    • 이곳은 지반이 약해 집을 지을 수가 없다.
  2. 2. じばん【地盤】。どだい【土台】
    일을 이루는 기초나 근거가 되는 바탕.
    物事の基礎や根拠になるもと。
    • 활동 지반.
    • 사회적 지반.
    • 확고한 지반.
    • 지반을 넓히다.
    • 지반을 다지다.
    • See More
    • 김 대표는 회사 내에서 자신의 지반을 잃고 반대 세력에 부딪혀 결국 그 일을 해내지 못했다.
    • 삼 년 후에 시장 선거에 나갈 계획이 있는 최 씨는 지금부터 지반을 다지고 있다.
    • 최 회장은 대기업의 회장이라는 지반을 발판으로 이번 국회 의원 선거에 뛰어들었다.
    • 최 의원은 내년에 있을 선거를 위해 기존의 지반을 확고히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지방1 (地方) ★★★
발음 : [지방 ]
명사 名詞
  1. 1. ちほう【地方】
    행정 구획이나 어떤 특징 등에 의해 나누어지는 지역.
    行政区画やある特徴などを基準に分けられる地域。
    • 남쪽 지방.
    • 서울 지방.
    • 중부 지방.
    • 낯선 지방.
    • 다른 지방.
    • See More
    • 서울 지방에 폭우가 쏟아져 도시 일대가 물에 잠기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 올해 여름 중부 지방에 내린 비의 양이 연평균 강수량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우리 가족은 몇십 년 동안 한 지방에서만 살다가 최근 다른 지방으로 이사를 갔다.
  2. 2. ちほう【地方】
    한 나라의 수도 이외의 지역.
    国の首都以外の地域。
    • 지방 도시.
    • 지방 문화.
    • 지방 사람.
    • 지방에 살다.
    • 지방에 있다.
    • See More
    • 나는 서울에 있는 대학은커녕 지방에 있는 대학도 못 갈 정도로 성적이 안 좋았다.
    • 문화 시설이 대부분 수도에 몰려 있어 지방 사람들은 문화 혜택을 누리기가 어려웠다.
    • 가: 서울에서만 살다가 지방으로 내려가 살아 보니 어때?
    • 나: 좀 불편하긴 한데 공기도 좋고 사람들도 좋아서 지낼 만해.
지방2 (紙榜)
발음 : [지방 ]
명사 名詞
かみのいはい【紙の位牌】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에, 종이에 글을 써서 만든 신주.
法事や祭祀を行うとき、紙に文を書いてつくった位牌。
  • 제사의 지방.
  • 지방을 모시다.
  • 지방을 붙이다.
  • 지방을 쓰다.
  • 지방을 태우다.
  • 아버지는 지방을 모셔 놓은 뒤에 향을 피우고 제사를 시작하셨다.
  • 지방을 쓸 때는 깨끗한 한지에 반드시 붓으로 써야 한다.
  • 돌아가신 분의 사진이 있을 때는 지방 대신에 사진을 제사상에 올려도 된다.
지방3 (脂肪) ★★
발음 : [지방 ]
명사 名詞
しぼう【脂肪】
생물체에 함유되어 에너지를 공급하고, 피부 밑이나 근육이나 간 등에 저장되며 비만의 원인이 되는 물질.
生物体に含まれていてエネルギーを供給し、皮下・筋肉・肝臓などに貯蔵され、肥満の原因になる物質。
  • 동물성 지방.
  • 식물성 지방.
  • 지방 함량.
  • 지방이 많다.
  • 지방을 소화하다.
  • 몸 안의 지방을 많이 없애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다.
  • 어머니께서 비만인 아이를 위해 지방이 적은 식단을 짜 주었다.
  • 가: 지수가 얼마 전 배의 지방을 제거하는 수술을 했대.
  • 나: 그래서 지수의 배가 그렇게 날씬하구나.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