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리-
(차리고, 차리는데, 차리니, 차리면, 차리는, 차린, 차릴, 차립니다)→차리다
차리다 ★★
발음 : [차리다 ]
활용 : 차리어[차리어/ 차리여], 차리니
동사 動詞
  1. 1. じゅんびする【準備する】。ととのえる【整える・調える】。そろえる【揃える】。したくする【支度する】
    준비한 음식 등을 먹을 수 있게 상 위에 놓다.
    用意した料理などを食べられるようにテーブルの上に並べる。
    • 생일상을 차리다.
    • 술상을 차리다.
    • 음식을 차리다.
    • 잔칫상을 차리다.
    • 저녁을 차리다.
    • 아내는 여러 요리를 만들어 상을 차렸다.
    • 나는 과일과 파전 등이 놓인 술상을 차려 손님들께 대접했다.
    • 가: 차린 음식은 별로 없지만 맛있게 드세요.
    • 나: 차린 게 없다니요, 이렇게 먹을 게 많은데. 맛있게 먹을게요.
    • 문형 : 1이 2를 차리다
  2. 2. つける【付ける】。とりもどす【取り戻す】
    기운이나 정신 등을 가다듬어 되찾다.
    気力や精神などを集中して取り戻す。
    • 기운을 차리다.
    • 정신을 차리다.
    • 문득 정신을 차리고 주변을 둘러보니 공항 안은 어느새 사람들이 줄어 한산했다.
    • 찬 수건으로 찜질을 하고 굳어진 몸을 주무르자 비로소 그 사내는 정신을 차렸다.
    • 가: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나니 세상이 무너지는 느낌이야.
    • 나: 힘들어도 이럴 때일수록 기운을 차려서 열심히 살아야지.
    • 문형 : 1이 2를 차리다
  3. 3. ととのえる【整える・調える】。わきまえる【弁える】。そなえる【備える】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나 예절, 격식 등을 갖추다.
    守るべき礼儀作法や格式などを取り揃える。
    • 격식을 차리다.
    • 예를 차리다.
    • 예의를 차리다.
    • 의식을 차리다.
    • 체면을 차리다.
    • 우리 측은 예의를 차려서 국빈을 대접했다.
    • 나는 어른들에게 말을 할 때 최대한 격식을 차렸다.
    • 문형 : 1이 2를 차리다
  4. 4. かんづく【勘付く】。わかる【分かる】
    어떤 조짐을 보고 미리 짐작하여 알다.
    ある兆しを見て推し量って分かる。
    • 기미를 차리다.
    • 낌새를 차리다.
    • 눈치를 차리다.
    • 건물 안에 들어선 그는 수상한 낌새를 차렸다.
    • 가족들은 이상한 눈치를 차리고 그에게 무슨 일을 있는지 묻기 시작했다.
    • 가: 범인이 도망갔어!
    • 나: 경찰들이 잠복하고 있다는 낌새를 차리기라도 한걸까?
    • ※ 1이 2를 차리다
  5. 5. じゅんびする【準備する】。よういする【用意する】。したくする【支度する】
    어떤 일을 하려고 준비를 하거나 방법을 찾다.
    ある事をしようと準備したり方法を探す。
    • 방법을 차리다.
    • 준비를 차리다.
    • 채비를 차리다.
    • 몰래 돈을 빼돌린 그들은 서둘러 도망갈 준비를 차렸다.
    • 아버지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들은 그는 급히 채비를 차려 병원으로 향했다.
    • 문형 : 1이 2를 차리다
  6. 6. かまえる【構える】。もうける【設ける】。ひらく【開く】
    살림이나 가게, 회사 등을 새로 마련하다.
    世帯や店、会社などを新たに作る。
    • 가게를 차리다.
    • 가정을 차리다.
    • 살림을 차리다.
    • 음식점을 차리다.
    • 회사를 차리다.
    • 자식들은 결혼을 한 뒤 모두 살림을 차려 나갔다.
    • 회사를 그만두고 나서 나는 조그마한 가게를 하나 차렸다.
    • 그는 함께 일하던 동료들과 함께 투자 회사를 차리기로 했다.
    • 가: 지수가 식당을 차렸는데 장사가 잘돼서 돈을 꽤 벌었나 봐.
    • 나: 식당을 한 지 얼마 안 된 것 같은데 대단하네.
    • 문형 : 1이 2를 차리다
  7. 7. よくばる【欲張る】。はかる【図る】
    자기의 이익을 따져서 챙기다.
    自分の利を図って欲を満たそうとする。
    • 실속을 차리다.
    • 욕심을 차리다.
    • 잇속을 차리다.
    • 나는 상사에게 아부를 하며 자신의 잇속만 차리는 그가 얄밉게 느껴졌다.
    • 두 국가가 전쟁을 하고 있을 때 미국은 두 나라에 무기를 팔면서 실속을 차렸다.
    • 문형 : 1이 2를 차리다
차림
발음 : [차림 ]
명사 名詞
みなり【身形】。すがた【姿】。ふくそう【服装】
옷이나 물건 등으로 꾸며서 갖춘 상태.
衣服や物などで着飾って装っている状態。
  • 운동복 차림.
  • 정장 차림.
  • 간편한 차림.
  • 단정한 차림.
  • 요란한 차림.
  • See More
  • 지수는 옷이며 신발이며 항상 단정한 차림으로 다녀 깔끔한 인상을 준다.
  • 매일 청바지에 티셔츠만 입고 다니던 그가 정장 차림을 하자 평소와 달리 멋있어 보였다.
  • 가: 자, 얼른 나가자.
  • 나: 잠깐만 기다려 봐. 나 지금 실내복 차림이야.
차림새
발음 : [차림새 ]
명사 名詞
みなり【身形】。すがた【姿】。ふくそう【服装】。よそおい【装い】。かっこう【格好】
꾸미고 갖추어서 차린 모양.
着飾って装っている様子。
  • 검소한 차림새.
  • 음식 차림새.
  • 차림새가 심상치 않다.
  • 차림새를 보다.
  • 차림새에 신경 쓰다.
  • 차림새를 보아 그 사내는 경찰인 듯했다.
  • 화려한 차림새를 한 여인이 들어서자 모두의 관심이 쏠렸다.
  • 가: 음식 차림새가 꽤 훌륭하군.
  • 나: 그러게. 아주 먹음직스러워.
차림표 (차림 表) ★★
발음 : [차림표 ]
명사 名詞
メニュー。こんだてひょう【献立表】。こんだて【献立】。おしながき【お品書き】
음식점 등에서 파는 음식의 종류와 가격을 적은 표.
飲食店などで、販売中の料理の種類と値段を示した表。
  • 차림표를 가져오다.
  • 차림표를 보다.
  • 차림표를 주다.
  • 가게의 한쪽 벽에는 차림표가 걸려 있었다.
  • 나는 차림표에 적힌 음식 중에서 무엇을 시키면 좋을지 고민했다.
  • 가: 여기 차림표 좀 갖다 주시겠어요?
  • 나: 네, 여기 있어요. 천천히 보신 후 주문하실 때 불러주세요.
차마 ★★
발음 : [차마 ]
부사 副詞
とても。とうてい【到底】。どうしても
부끄럽거나 안타까워서 도저히.
恥ずかしかったり残念に思われてどうしても。
  • 차마 거절할 수가 없다.
  • 차마 떠날 수가 없다.
  • 차마 먹을 수가 없다.
  • 차마 쳐다볼 수가 없다.
  • 차마 헤어질 수가 없다.
  • 그녀는 핏덩이같이 어린 것을 두고 차마 발길이 떨어지지 않았다.
  • 지수는 그동안 짝사랑해 오던 승규가 눈앞에 앉아 있는데도 너무 수줍어 차마 마주볼 수가 없었다.
  • 가: 너 오늘도 당직이야?
  • 나: 응, 김 선배가 너무 간절하게 부탁해서 차마 거절할 수가 없었어.
  • ※ 주로 '없다', '않다', '못하다' 등과 같은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쓴다.
차명 (借名)
발음 : [차ː명 ]
명사 名詞
しゃくめい【借名】
남의 이름을 빌려 씀. 또는 빌려 쓴 이름.
他人の名前を借りること。また、借りた名前。
  • 차명 거래.
  • 차명 계좌.
  • 차명 저금.
  • 차명을 사용하다.
  • 차명으로 보유하다.
  • 차명 계좌로 부당하게 재산을 쌓아 온 일당이 검찰에 적발됐다.
  • 정부는 실명 대신 차명을 사용해 금융 거래를 하는 것을 금지했다.
  • 가: 계약은 본인의 이름으로 해야 해요.
  • 나: 차명으로 계약하면 안 되는 거였군요.
차반 (茶盤)
발음 : [차반 ]
명사 名詞
ちゃぼん【茶盆】。ちゃばん【茶盤】
차를 달여 마시는 데에 쓰는 그릇이나 숟가락 등을 담는 조그마한 쟁반.
お茶をたてるのに用いる茶碗や茶杓などの茶道具をのせる小さい盆。
  • 차반을 들다.
  • 차반에 받치다.
  • 차반에 얹다.
  • 나는 커피 두 잔을 차반에 담아 손님방에 들고 들어갔다.
  • 어머니는 과일을 담은 접시를 차반에 얹어 가지고 오셨다.
  • 가: 손님께 차를 대접해야지.
  • 나: 응, 차반에 차를 준비해서 가지고 나갈게.
차별 (差別) ★★
발음 : [차별 ]
명사 名詞
さべつ【差別】
둘 이상을 차등을 두어 구별함.
二つ以上を比べ、等級をつけて区別すること。
  • 남녀 차별.
  • 인종 차별.
  • 차별 대우.
  • 차별을 당하다.
  • 차별을 두다.
  • See More
  • 흑인들은 피부색이 검다는 이유로 심한 차별을 받아 왔다.
  • 요즘 여성의 사회적 목소리가 커지면서 과거와는 반대로 남성이 차별을 당한다고 느끼기도 한다.
  • 가: 나 저 선생님 정말 싫어. 오늘도 지수랑 나랑 둘 다 숙제를 안 했는데 나만 혼났어.
  • 나: 어머, 정말? 차별이 심하다고는 들었는데 그 정도일 줄은 몰랐네.
차별하다 (差別 하다)
발음 : [차별하다 ]
동사 動詞
さべつする【差別する】
둘 이상을 차등을 두어 구별하다.
二つ以上を比べ、等級をつけて区別する。
  • 가치를 차별하다.
  • 아들과 딸을 차별하다.
  • 학생을 차별하다.
  • 계급에 따라 차별하다.
  • 실력에 따라 차별하다.
  • 할머니는 아들인 오빠와 딸인 나를 차별했다.
  • 백인들이 흑인을 차별하자 곳곳에서 차별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 가: 우리 선생님은 학생들을 차별하고 반장만 예뻐하는 것 같아.
  • 나: 글쎄, 내가 보기엔 차별하지 않고 모두를 똑같이 아끼시는 것 같은데.
  • 문형 : 1이 2를 차별하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