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내1
발음 : [군ː내 ]
명사 Danh từ
mùi thức ăn thối
음식이 상해서 나는 좋지 않은 냄새.
Mùi không tốt phát ra do thức ăn bị thối.
  • 군내 나는 김치.
  • 군내가 나다.
  • 군내를 맡다.
  • 군내를 제거하다.
  • 군내를 풍기다.
  • 민준이는 음식에서 군내가 나자 먹지 않고 버렸다.
  • 며칠 동안 양치질을 하지 않았더니 입에서 군내가 났다.
  • 가: 하루 종일 바깥에 두었던 떡인데 먹어도 될까?
  • 나: 냄새를 맡아 보고 군내가 나면 버리는 게 좋을 거야.
군내2 (郡內)
발음 : [군ː내 ]
명사 Danh từ
trong quận
행정 구역인 군의 담당 지역 안.
Trong khu vực quản lý của một khu vực hành chính cấp quận (Gun).
  • 군내 버스.
  • 군내 병원.
  • 군내 지역.
  • 군내 학교.
  • 군내에서 생산되다.
  • 우리 동네는 시골이라 군내에 쇼핑센터도 하나 없다.
  • 우리 군내 주민이 점점 줄어들어서 초등학교가 폐교를 했다.
  • 농업 협동조합에서는 군내에서 생산되는 우수 농산물들을 농민들 대신 좋은 값으로 팔아 주고 있다.
  • 가: 우리 군내에 공장이 들어선다는 이야기 들으셨어요?
  • 나: 일자리가 생기는 대신에 공기가 오염될 것 같아서 걱정이에요.
군단 (軍團)
발음 : [군단 ]
명사 Danh từ
quân đoàn
사단 이상의 병력으로 이루어진, 군과 사단의 중간에 해당하는 전술 부대.
Đơn vị quân đội chiến thuật ở mức giữa quân và sư đoàn, có binh lực trên sư đoàn.
  • 군단 병력.
  • 군단을 배치하다.
  • 군단을 이끌다.
  • 군단을 지휘하다.
  • 그 장군은 전쟁 중에 여러 군단을 지휘하며 작전을 명령했다.
  • 이웃 나라와 대치 중인 우리나라는 특별 군사 훈련을 시킨 군단을 국경 지대에 배치하여 침범에 대비했다.
  • 가: 김 사병은 왜 강제로 제대하게 된 거야?
  • 나: 군단의 명령에 따르지 않고 개인 행동을 했대.
군대 (軍隊) ★★
발음 : [군대 ]
명사 Danh từ
quân đội, bộ đội, quân ngũ
일정한 규율과 질서가 있는 군인들의 집단.
Tập thể của những quân nhân có trật tự và kỷ luật nhất định.
  • 군대 생활.
  • 군대를 보내다.
  • 군대를 파견하다.
  • 군대에 가다.
  • 군대에 들어가다.
  • 국경 근처에서 양쪽 군대 간에 전투가 벌어졌다.
  • 유엔이 평화 유지를 위해 아프리카에 군대를 파견했다.
  • 가: 승규 씨는 군대에 다녀오셨어요?
  • 나: 그럼요. 제대한 지 아직 반 년밖에 안 됐어요.
군대식 (軍隊式)
발음 : [군대식 ]
활용 : 군대식이[군대시기], 군대식도[군대식또], 군대식만[군대싱만]
명사 Danh từ
kiểu quân đội
규율이나 집단 질서 등을 중시하는 군대에서 하는 것과 같은 방식.
Phương cách giống với những điều thực hiện trong quân đội, nơi xem trọng trật tự tập thể hay quy luật v.v...
  • 군대식 말투.
  • 군대식 사고.
  • 군대식 조직.
  • 군대식 훈련.
  • 군대식으로 다루다.
  • See More
  • 갓 제대를 한 민준이는 가족과 대화를 할 때도 군대식 말투를 사용했다.
  • 기숙사는 군대식으로 운영되어 취침 시간과 기상 시간이 정해져 있었다.
  • 가: 김 과장님은 너무 엄하셔서 금방 친해지기 어려운 분인 것 같아요.
  • 나: 맞아요. 김 과장님은 부서를 군대식으로 관리하시는 분이라 규칙을 지나치게 중시하고 융통성이 없으세요.
군더더기
발음 : [군ː더더기 ]
명사 Danh từ
điều không cần thiết, cái không đáng, vật thừa
쓸데없이 덧붙어 있는 것.
Cái được gắn thêm một cách không cần thiết.
  • 군더더기 표현.
  • 군더더기가 많다.
  • 군더더기가 없다.
  • 군더더기를 붙이다.
  • 군더더기를 빼다.
  • See More
  • 수식어가 너무 많은 문장은 군더더기가 잔뜩 붙은 것처럼 어색하다.
  • 줄거리는 이야기에서 군더더기를 다 떼어 버리고 중요한 것만을 남겨 놓은 것이다.
  • 가: 선생님, 제가 글을 써 보았는데요, 어때요?
  • 나: 군더더기 표현을 없애면 좀 더 좋은 글이 되겠구나.
군데 ★★
발음 : [군데 ]
의존 명사 Danh từ phụ thuộc
nơi, chỗ
장소의 수를 세는 단위.
Đơn vị đếm số nơi.
  • 군데.
  • 군데.
  • 여러 군데.
  • 군데.
  • 그의 몸에는 여러 군데 파란 멍이 들어 있었다.
  • 그 시골 마을의 집들은 몇 군데를 제외하고는 모두 기와집이었다.
  • 가: 이 밤에 문을 연 식당이 있을까?
  • 나: 찾아보면 그래도 한두 군데 있을 거야.
군데군데1
발음 : [군데군데 ]
명사 Danh từ
nhiều chỗ, nhiều nơi
여기저기의 여러 곳.
Nhiều chỗ của chỗ này chỗ kia.
  • 군데군데를 둘러보다.
  • 군데군데를 뒤지다.
  • 군데군데를 살피다.
  • 군데군데를 점검하다.
  • 군데군데를 확인하다.
  • See More
  • 폭우로 둑의 군데군데가 무너져서 논으로 강물이 범람했다.
  • 언니가 여행지에서 사온 그 옷은 군데군데 구멍이 뚫려 있어서 입고 싶지 않았다.
  • 가: 손님, 이 옷으로 하시겠어요?
  • 나: 네. 그런데 이 옷은 군데군데에 실밥이 풀려 있으니 새 옷으로 주세요.
군데군데2
발음 : [군데군데 ]
부사 Phó từ
ở khắp nơi
여기저기 여러 곳에.
Ở nhiều chỗ, chỗ này chỗ kia.
  • 군데군데 가리다.
  • 군데군데 보이다.
  • 군데군데 있다.
  • 군데군데 흘리다.
  • 군데군데 흩어져 있다.
  • 시에서는 산책로 군데군데 벤치를 만들어 사람들이 쉴 수 있도록 했다.
  • 이 동네는 군데군데 맛있는 음식점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동네이다.
  • 가: 선생님, 청소 다 했어요. 이제 집에 가도 될까요?
  • 나: 다 하긴 뭘 다 해. 아직도 교실 군데군데 먼지가 잔뜩 쌓여 있구만.
군락 (群落)
발음 : [굴락 ]
활용 : 군락이[굴라기], 군락도[굴락또], 군락만[굴랑만]
명사 Danh từ
  1. 1. khóm, cụm, quần thể
    같은 범위 안에 함께 생활하는 식물의 집단.
    Nhóm thực vật cùng sống trong cùng phạm vi.
    • 나무 군락.
    • 군락을 만들다.
    • 군락을 이루다.
    • 군락을 형성하다.
    • 군락에 속하다.
    • 산에는 수백 년이나 된 소나무 군락이 이루어져 있었다.
    • 국립 공원에서 멸종 위기에 놓인 나무들이 군락을 이룬 채 발견되었다.
    • 육지와 기후과 다른 섬에는 육지에서 볼 수 없는 식물들의 군락이 형성된다.
    • 가: 이 식물들은 제가 아시아 여행을 갔을 때에도 본 것 같아요.
    • 나: 이곳은 아시아의 남부와 기후가 비슷해서 같은 군락에 속한 식물들을 많이 볼 수 있을 거야.
  2. 2. khu làng
    같은 지역에 모여 있는 여러 마을.
    Nhiều làng xóm tập trung ở cùng khu vực.
    • 군락이 존재하다.
    • 군락을 만들다.
    • 군락을 이루다.
    • 군락을 형성하다.
    • 군락에 속하다.
    • 사람들은 불모지에 이주하면서 마을과 군락을 형성하였다.
    • 산 위에 오르니 마을들이 듬성듬성 군락을 이룬 것이 보였다.
    • 제주도에는 물을 구하기 쉬운 바닷가 근처에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 가: 이 부근의 땅속에서 조상들이 쓰던 그릇, 농기구 등이 많이 발굴되었어요.
    • 나: 이곳은 옛날에 군락이 있던 곳인가 보네요.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