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금강산도 식후경기는 놈 위에 나는 놈이 있다길이 아니거든[아니면] 가지 말고 말이 아니거든[아니면] 듣지[탓하지] 말라길고 짧은 것은 대어 보아야 안다김칫국부터 마신다까마귀 고기를 먹었나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깨물어서 아프지 않은 손가락 없다꼬리가 길면 밟힌다꾸어다[꿔다] 놓은 보릿자루꿀 먹은 벙어리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
속담 금강산도 식후경
金剛山も食後の景色。花より団子
아무리 재미있는 일이라도 배가 불러야 흥이 남을 뜻하는 말.
いくら楽しい事でも、腹が空いていたら楽しくないということを意味する語。
- 가: 서둘러. 공연 시간에 늦겠어.
- 나: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데 아무리 바빠도 우리 일단 밥부터 먹고 가자.
속담 기는 놈 위에 나는 놈이 있다
這う者の上に飛ぶ者がいる。上には上がある
아무리 재주가 뛰어나도 그보다 더 나은 사람이 있다.
いくら優れていると思っても、さらに優れた者がいる。
- 네가 일 등인 줄 알았는데 기는 놈 위에 나는 놈이 있다고 네 짝이 수학을 그렇게 잘할 줄은 생각도 못했구나.
속담 길이 아니거든[아니면] 가지 말고 말이 아니거든[아니면] 듣지[탓하지] 말라
道でないなら進まず、言葉でないなら聞くな
올바르지 않은 일이면 아예 처음부터 하지 말라.
正しくない事は初めからすべきではない。
- 아무리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해도 길이 아니면 가지 말고 말이 아니면 듣지 말아야 한다.
- 가: 경쟁 회사에서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는데 우리 회사의 정보를 빼내려고 해서 거절했어.
- 나: 그래. 길이 아니거든 가지 말고 말이 아니거든 듣지 말라는 말도 있잖아.
속담 길고 짧은 것은 대어 보아야 안다
長いか短いかは比べてみないとわからない
크고 작고, 이기고 지고, 잘하고 못하는 것은 실제로 해 보거나 겪어 보아야 알 수 있다.
大小、勝ち負け、上手下手は、実際やってみるか経験してみないとわからない。
- 길고 짧은 것은 대어 보아야 안다고 했듯이 아직은 누가 이길지 쉽게 말하기 어려웠다.
- 가: 우리가 그 팀을 이길 수 있을까?
- 나: 그런 말 하지 마. 길고 짧은 것은 대어 보아야 안다고 하잖아.
속담 김칫국부터 마신다
キムチククから飲む。捕らぬ狸の皮算用
아직 일어날지 안 일어날지 모르는 일인데 미리부터 다 된 일로 알고 행동한다.
まだ起こるかどうかも分からないのに、早くから確かなものであるように振舞う。
- 가: 아, 시험에 합격하면 뭐부터 할까?
- 나: 김칫국부터 마시지 말고 공부나 열심히 해.
속담 까마귀 고기를 먹었나
カラスの肉でも食ったのか
잘 잊어버리는 사람을 꾸짖거나 놀리는 말.
物忘れの激しい人を叱ったりあざけっていう語。
- 가: 깜박 잊고 열쇠를 또 안 가져왔지 뭐야.
- 나: 얘가 까마귀 고기를 먹었나, 만날 잊어버리는 게 일상이니 내가 다 답답하다.
속담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カラスが飛び立つや否や梨が落ちる
우연히 동시에 일이 생겨서 아무 관계없는 사람이 관계가 있는 것으로 의심을 받게 되다.
偶然に同時に発生して、何の関係もない人が疑われる。
- 가: 오늘 시험 중에 고개가 아파서 잠깐 고개를 들었는데 선생님과 눈이 마주쳐서 부정행위로 오해 받았잖아.
- 나: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더니 하필이면 그때 선생님이 보셨구나.
속담 깨물어서 아프지 않은 손가락 없다
噛んで痛くない指はない
자식이 아무리 많아도 부모에게는 모두 똑같이 소중하다.
いくら子が多くても、親には同じく大事だ。
- 가: 엄마는 왜 공부 잘하는 형만 좋아해요?
- 나: 깨물어서 아프지 않은 손가락 없다고, 엄마가 우리 승규를 얼마나 사랑하는데!
속담 꼬리가 길면 밟힌다
尻尾が長いと踏まれる
비밀스러운 일을 오랫동안 계속하면 결국 들키게 되어 있다.
人に内緒にして長くやり続けても、結局はばれるものだ。
- 꼬리가 길면 밟힌다더니, 십 년이나 저질러 오던 남편의 불륜이 결국 들통났다.
속담 꾸어다[꿔다] 놓은 보릿자루
借りて来た麦袋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같이 어울리거나 말을 하지 않고 한쪽에 가만히 있는 사람.
周りの雰囲気に溶け込むことができず、独りで黙っている人。
- 가: 어제 만난 남자 어땠어요?
- 나: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말이 없는 사람이어서 별로 마음에 안 들었어요.
속담 꿀 먹은 벙어리
蜂蜜を食べた唖
하고 싶은 말이나 자신의 생각을 말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
言いたい事や自分の考えを口に出せずにいる人。
- 너는 왜 꿀 먹은 벙어리처럼 말을 안 해?
- 관계자에게 이번 사태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자 꿀 먹은 벙어리처럼 아무 말도 못했다.
- 가: 평소에 말도 잘하는 애가 오늘은 왜 꿀 먹은 벙어리가 됐어?
- 나: 사람들이 많은 데서 말을 하려니 못하겠어요.
속담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
木を見て森を見ず
어떤 일의 부분만 보고 전체를 보지 못한다.
事物の一部分だけを見て、全体を見渡せない。
- 무슨 일이든 멀리 내다보지 않고 눈앞의 이익만 쫓아가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 가: 난 항상 작고 사소한 것에 얽매여서 정작 중요한 걸 놓친단 말이야.
- 나: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해서 그래.
'한국어기초사전 > 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¹, 남편, 낫, 낮말, 낳다, 내⁵, 내밀다, 냉수 (0) | 2020.02.07 |
---|---|
꿈, 꿩, 나¹, 나이, 날다, 날아가다 (0) | 2020.02.07 |
귀머거리, 귀신, 귀엽다, 그², 그물, 긁다, 금³ (0) | 2020.02.07 |
구렁이, 구르다¹, 구슬, 굴러오다, 굶다, 굼벵이, 굿, 궁지, 귀¹ (0) | 2020.02.07 |
공것, 공자, 광¹, 구관¹, 구더기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