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웃대다
발음 : [기욷때다 ]
기웃하다1
발음 : [기우타다 ]
동사 動詞
のぞく【覗く】
무엇을 보거나 찾기 위해 고개나 몸을 조금 기울이다.
何かを見たり探したりするために首や体を少し傾ける。
- 방 안을 기웃하다.
- 집을 기웃하다.
- 여기저기 기웃하다.
- 이곳저곳 기웃하다.
- 이리저리 기웃하다.
- 나는 상점 안을 기웃하면서 찾는 물건이 있는지 보았다.
- 김 대리는 동료의 서류 내용이 궁금해서 몸을 기웃하며 그 내용을 보려고 애썼다.
- 가: 무엇을 찾기에 이리저리 기웃하는 거니?
- 나: 아, 아까 여기에 내 휴대폰을 두고 간 것 같아서 말이야.
- 문형 : 1이 2를 기웃하다
기웃하다2
발음 : [기우타다 ]
활용 : 기웃한[기우탄], 기웃하여[기우타여](기웃해[기우태]), 기웃하니[기우타니], 기웃합니다[기우탐니다]
형용사 形容詞
ぐらりとする。ぐらっとする
물체가 한 방향으로 조금 기울어져 있다.
物が一方へやや斜めに傾いている。
- 기웃하게 서다.
- 기웃하게 숙이다.
- 기웃하게 앉다.
- 왼쪽으로 기웃하다.
- 한쪽으로 기웃하다.
- 나는 오른쪽으로 기웃한 액자가 수평이 되게 고쳐 달았다.
- 지수는 머리를 기웃하고서 깊은 생각에 잠겼다.
- 가: 영수 씨 몸이 좀 기웃하네요.
- 나: 네? 제 몸이 비뚤어져 있어요?
- 문형 : 1이 기웃하다
기원1 (祈願) ★
발음 : [기원 ]
명사 名詞
きがん【祈願】。きねん【祈念】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빎.
願うことが叶うことを祈ること。
- 성공 기원.
- 장수 기원.
- 통일 기원.
- 합격 기원.
- 간절한 기원. See More
- 신도들은 예배당에서 정성을 다해 기원을 올렸다.
- 나는 두 손을 모으고 시험에 꼭 합격하게 해 달라고 신에게 간절한 기원을 드렸다.
- 가: 아까 전에 어떤 기원을 올리셨어요?
- 나: 가족들이 건강하게 해 달라고 기도를 드렸어요.
- 유의어 기도²
기원2 (紀元) ★★
발음 : [기원 ]
명사 名詞
- 1. きげん【紀元】역사에서 연대를 세는 시작점이 되는 해.歴史で年代を数える基準となる最初の年。
- 기원 이전.
- 기원 이후.
- 기원 전후.
- 우리는 예수가 탄생한 해를 기원 년으로 삼아 역사를 기록한다.
- 가: 서기 2012년이 무슨 뜻이에요?
- 나: 예수가 태어난 해를 기원으로 해서 2012년이 되었다는 말이에요.
- 2. きげん【紀元】새로운 일이나 사건의 출발점이 되는 시대나 시기.新しい事や事件の出発点となる時代・時期。
- 산업 시대의 기원.
- 새 기원.
- 획기적인 기원.
- 기원이 되다.
- 기원을 열다. See More
- 그 장군은 나라를 강대국으로 만드는 데 새로운 기원을 이룩한 위인이었다.
- 김 사장은 취임식에서 자신의 취임이 이 회사의 새로운 기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가: 인간의 달 착륙은 정말 획기적인 사건이었어요.
- 나: 네. 우주 시대의 기원을 여는 놀라운 일이었다고 생각해요.
- 3. きげん【紀元】처음으로 나라를 세우거나 종교가 만들어진 해.初めて国が建てられたり、宗教ができた年。
- 국가의 기원.
- 신라의 기원.
- 기독교의 기원.
- 종교의 기원.
- 기원을 조사하다.
- 역사학자가 고서에 있는 기록을 바탕으로 발해의 기원을 추정했다.
- 불교의 기원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기원전 오 세기 정도로 알려져 있다.
- 가: 이 나라의 기원은 언제입니까?
- 나: 대략 기원후 삼백 년 무렵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원3 (起源/起原)
발음 : [기원 ]
명사 名詞
きげん【起源・起原】。おこり【起こり】。はじまり【始まり】
사물이나 현상이 처음으로 생김. 또는 그 처음.
物事が初めてできること。また、その始まり。
- 생명의 기원.
- 민주주의의 기원.
- 연극의 기원.
- 인류의 기원.
- 종교의 기원. See More
- 우주의 기원에 대한 학설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 언어학자들은 언어의 기원을 밝혀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 고대 그리스의 행사가 올림픽의 기원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기원4 (棋院/碁院)
발음 : [기원 ]
명사 名詞
きいん【棋院】
사람들이 모여 돈을 내고 바둑을 두는 곳.
人が集まって金を出して囲碁を打つ所。
- 기원에 가다.
- 기원에 나가다.
- 기원에서 바둑을 두다.
- 기원에서 시간을 보내다.
- 할아버지께서는 오후에 친구분들과 동네 기원에서 내기 바둑을 두셨다.
- 아버지는 종종 집 앞의 기원에 나가 바둑을 두시며 시간을 보내신다.
- 가: 시간 괜찮으면 기원에 가서 바둑이나 한 판 둘래요?
- 나: 네, 좋아요. 한 수 가르쳐 주세요.
기원전 (紀元前) ★
발음 : [기원전 ]
명사 名詞
きげんぜん【紀元前】
예수가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한 달력에서 기준 연도의 이전.
キリストが生まれた年を基準とした暦で、基準年度より以前。
- 기원전 일 세기.
- 기원전에 발생하다.
-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다.
- 기원전 칠 세기 경은 철기 시대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부터 군사 무용이 발달하였다.
- 우리나라는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구한 역사를 지녔다.
- 가: 선생님, 우리나라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됐어요?
- 나: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된 것으로 추정된답니다.
- 참고어 기원후
기원하다1 (起源/起原 하다)
발음 : [기원하다 ]
동사 動詞
おこる【起こる】。はじまる【始まる】
어떤 일이나 사물이 처음으로 시작되다.
物事が初めて発生する。
- 문자가 기원하다.
- 인류가 기원하다.
- 제도가 기원하다.
- 문명이 기원하다.
- 풍습이 기원하다. See More
- 최면은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한 것으로 오늘날까지도 신비스러운 현상 중 하나이다.
- 이 풍습은 오랜 옛날 위대한 왕을 기리던 행위에서 기원하여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 가: 이 고대 문명은 어디에서 기원했습니까?
- 나: 이곳의 큰 강 유역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 문형 : 1이 2에서 기원하다
기원하다2 (祈願 하다)
발음 : [기원하다 ]
동사 動詞
きがんする【祈願する】。きねんする【祈念する】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빌다.
願うことが叶うことを祈る。
- 건강을 기원하다.
- 장수를 기원하다.
- 평화를 기원하다.
- 풍년을 기원하다.
- 합격을 기원하다. See More
- 온 국민은 하나 된 마음으로 국가 대표 팀의 승리를 기원했다.
- 영수의 어머니는 아들의 시험 합격을 기원하며 간절히 기도를 올렸다.
- 가: 사람들이 하늘에 연을 날리네요.
- 나: 네. 한 해의 행복을 기원하는 뜻으로 연을 날리는 거예요.
- 문형 : 1이 2를 기원하다
- 유의어 기도하다²
'한국어기초사전 > 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입, 기입되다, 기입하다, 기자, 기자단, 기자실, 기자재, 기자 회견, 기장¹, 기장² (0) | 2020.02.06 |
---|---|
-기 위한, -기 위해서, -기 일쑤이다, 기원후, 기이하다, 기인, 기인되다, 기인하다, 기일¹, 기일² (0) | 2020.02.06 |
기울다, 기울어지다, 기울여-, 기울이-, 기울이다, 기웃, 기웃거리다, 기웃기웃, 기웃기웃하다¹, 기웃기웃하다² (0) | 2020.02.06 |
기우뚱기우뚱, 기우뚱기우뚱하다¹, 기우뚱기우뚱하다², 기우뚱대다, 기우뚱하다¹, 기우뚱하다², 기우제, 기운¹, 기운², 기울- (0) | 2020.02.06 |
기왕에, 기왕이면, 기왕지사, 기용, 기용되다, 기용하다, 기우, 기우-, 기우뚱, 기우뚱거리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