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음 : [니은 ]
명사 名詞
한글 자모의 둘째 글자. 이름은 ‘니은’으로 소리를 낼 때 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ハングル字母の2番目の文字。名称は「ニウン」で、音を出すとき舌先が上歯茎につく模様をまねして作った文字。
2
조사 助詞
  1. 1.
    어떤 대상이 다른 것과 대조됨을 나타내는 조사.
    在る対象が他のものと対照することを表す助詞。
    • 바나난 괜찮은데 포돈 씨가 있어서 먹기 불편해.
    • 주말엔 백화점에 사람이 너무 많아요.
    • 영화관에선 핸드폰을 끄는 게 좋아요.
    • 가: 4월에 갑자기 눈이 오다니 요즘 날씨가 참 이상해.
    • 나: 거기 어제 눈 왔어? 우리 동네엔 비 왔는데.
    • ※ 받침 없는 명사나 부사어, '-아', '-게', '-지', '-고' 등의 뒤에 붙여 쓴다. 주로 구어에서 쓴다.
    • 참고어 , 은¹
  2. 2.
    문장 속에서 어떤 대상이 화제임을 나타내는 조사.
    文章の中で在る対象が話題になっていることを表す助詞。
    • 승균 오늘 피곤해서 일찍 집에 간대.
    • 난 한국인인 게 자랑스럽다.
    • 우린 내일 일찍 만나기로 했어요.
    • 가: 우리 저 식당에서 점심 먹을까?
    • 나: 거긴 가격에 비해 맛이 별로야.
    • ※ 받침 없는 명사 뒤에 붙여 쓴다. 주로 구어에서 쓴다.
    • 참고어 , 은¹
  3. 3.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強調の意を表す助詞。
    • 일을 그렇게 급하게 처리해선 안 돼.
    • 오늘은 바쁘니깐 간단히 빵 먹자.
    • 지수는 편지를 남기곤 떠나 버렸어요.
    • 가: 승규 씨는 좀 무뚝뚝한 사람인 것 같아요.
    • 나: 사람을 한번 보곤 어떻게 아니?
    • ※ 받침 없는 명사나 부사어, 연결 어미 뒤에 붙여 쓴다. 주로 구어에서 쓴다.
    • 참고어 , 은¹
-ㄴ2
어미 語尾
なさい
(아주낮춤으로) 친근하게 명령할 때 쓰는 종결 어미.
(下称) 親しみをこめて命令す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까꿍! 어서 온.
  • 나비야, 이리 날아온.
  • 아가야, 이리 온.
  • 야옹아, 천천히 내려온.
  • 지수야, 빨리 돌아온.
  • ※ 구어에서 어른이 아이나 크기가 작은 동물에게 말할 때 쓰고, ‘오다’나 ‘오다’가 붙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ㄴ3
어미 語尾
  1. 1. た。ている
    앞의 말이 관형어의 기능을 하게 만들고 사건이나 동작이 과거에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어미.
    前の言葉に連体修飾語の機能を持たせ、出来事や動作が過去にあったという意を表す「語尾」。
    • 어제 본 영화는 정말 감동적이었다.
    • 어릴 적 선생님께서 해 주신 말씀이 내 인생을 바꾸어 놓았다.
    • 이 스웨터는 내가 털실로 직접 짠 것이다.
    • 가: 이 옷은 처음 보는데 새로 샀니?
    • 나: 아니. 작년에 산 건데 아껴서 가끔씩만 입었거든.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ㄹ, -는², -던², -은¹, -을
  2. 2. た。ている
    앞의 말이 관형어의 기능을 하게 만들고 사건이나 동작이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어미.
    前の言葉に連体修飾語の機能を持たせ、出来事や動作が完了してその状態が続いているという意を表す語尾。
    • 밤새 쌓인 눈 때문에 길이 막혔다.
    • 안경을 쓴 아이가 손을 들고 질문을 했다.
    • 전화벨이 울리자 어머니는 고무장갑을 낀 손으로 전화를 받으셨다.
    • 나는 남편과 결혼한 지가 벌써 십년이 되었다.
    • 가: 우리가 내릴 정류장이 이미 지난 것 아닌가요?
    • 나: 맞아요. 우리가 탄 버스가 방금 정류장을 지나쳐 버렸어요.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ㄹ, -는², -던², -은¹, -을
  3. 3. た
    앞의 말이 관형어의 기능을 하게 만들고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미.
    前の言葉に連体修飾語の機能を持たせ、現在の状態を表す「語尾」。
    • 지수는 미소가 예쁜 소녀였다.
    • 나는 선생님이신 부모님 밑에서 자랐다.
    • 승규는 큰 키에 출중한 외모를 가졌다.
    • 민준이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려고 항상 노력한다.
    • 가: 너 눈이 왜 이렇게 부었어?
    • 나: 어제 슬픈 영화를 보다가 잤거든. 너무 슬퍼서 잠자리에 누워서도 계속 울었어.
    •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ㄹ, -는², -던², -은¹, -을
-ㄴ-1
어미 語尾
…い。…な。である。…の
어떤 일이나 동작이 현재 일어남을 나타내는 어미.
ある出来事や動作が現在のこと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語尾」。
  • 아버지는 아침에 항상 운동을 하신다.
  • 지수는 요즘 취미로 비누를 만든다고 했다.
  • 나는 친구가 외국어 학원에 다닌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 가: 언니는 언제 온대요?
  • 나: 아까 친구를 만나러 나간다던데 잘 모르겠어.
  •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다른 어미 앞에 붙여 쓰고, 주로 ‘-ㄴ다’, ‘-ㄴ다고’, ‘-ㄴ다나’ 등으로 쓴다.
  • 참고어 -는-¹
-ㄴ가
참고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1. 1. のか。なのか
    (예사 낮춤으로) 현재의 사실에 대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等称) 現在の事柄に対する質問の意を表す「終結語尾」。
    • 요즘도 많이 바쁜가?
    • 자네는 어디가 아픈가?
    • 회사를 그만둔다는 것이 사실인가?
    • 가: 여보게, 새로 시작한 일이 힘든가?
    • 나: 음. 생각처럼 쉽지는 않네.
  2. 2. だろうか。であろうか
    말하는 사람이 스스로에게 묻거나 추측할 때 쓰는 종결 어미.
    話し手が自問したり推量す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민준이가 요즘 연락이 뜸한 걸 보니 많이 바쁜가 보네.
    • 난 네가 시험이 끝났다고 하길래 이제 좀 한가한가 했지.
    • 누나의 결혼 문제는 먼저 부모님께 알려 드리는 게 순서가 아닌가 싶어.
    • 가: 승규가 얼굴이 많이 안 좋던데.
    • 나: 어디가 아픈가 보다.
    • ※ 주로 ‘-ㄴ가 하다’, ‘-ㄴ가 싶다’, ‘-ㄴ가 보다’로 쓴다.
    • 참고어 -는가, -던가, -은가
-ㄴ가 보다
ようだ。らしい。みたいだ
앞의 말이 나타내는 사실을 추측함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事実を推測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어머, 딸인가 봐요. 엄마랑 많이 닮았네.
  • 모두들 연락이 뜸한 걸 보니 바쁜가 보다.
  • 며칠째 학교에도 못 나오는 걸 보니 지수가 많이 아픈가 봐.
  • 가: 이 식당은 무지 화려하기는 한데 맛은 별로네요.
  • 나: 그러게요. 비싸다고 다 맛있는 것은 아닌가 봅니다.
  •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참고어 -는가 보다, -은가 보다
-ㄴ감
참고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かよ。ものか
(예사 낮춤으로) 어떤 사실에 대하여 가볍게 반박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等称) ある事実に対して軽く反駁する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무슨 날씨가 이리도 더운감.
  • 아직 가을인데 왜 이렇게 추운감.
  • 일이 잘 안 풀리는 게 다 내 탓인감?
  • 가: 여기가 어딘감? 도착하려면 멀었남?
  • 나: 할머니, 금방 도착할 거예요.
-ㄴ걸
참고 : 주로 구어에서, '이다', '아니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1. 1. のだ。ものだ。だったのだ。だったものだ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감탄하듯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話し手が新しく認識した事実について感嘆するように述べる意を表す「終結語尾」。
    • 할머니께서 벌써 도착하시다니 정말 빨리 오신걸.
    • 거리가 여기에서 상당히 먼걸.
    • 이제 보니 유민이 그림 솜씨가 보통이 아닌걸.
    • 가: 엄마 나 수학 경시 대회에서 우수상 받았어요.
    • 나: 와! 우리 민준이 정말 대단한걸?
  2. 2. のだ。だもの
    (두루낮춤으로) 자기 생각이나 주장을 설명하듯 말하거나 그 근거를 댈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自分の考えや主張を説明するように述べたり、その根拠を示す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시험을 앞두고 떨리기는 우리도 마찬가진걸.
    • 민준이가 사과는 했지만 나는 아직도 기분이 나쁜걸.
    • 아팠던 기억은 이미 내 마음 속에서 지운걸.
    • 커다란 자동차도 얼마 가지도 못하고 눈길에 멈춘걸.
    • 가: 민준아, 그동안 많이 힘들었지?
    • 나: 괜찮아. 이제는 다 끝난걸.
-ㄴ걸요
참고 :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나 형용사 어간, '이다', '아니다' 어간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1. 1. ですね。ますね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감탄하듯이 말함을 나타내는 표현.
    (略待上称)話し手が新しく知った事実を感嘆するように述べ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이 약은 너무 쓴걸요.
    • 그건 제 물건이 아닌걸요.
    • 난로를 끄니까 사무실 안이 꽤 추운걸요.
    • 가: 너 왜 그렇게 울고 있니?
    • 나: 이 드라마 정말 슬픈걸요.
  2. 2. ですよ。ですもの
    (두루높임으로) 자기 생각이나 주장을 설명하듯 말하거나 그 근거를 댈 때 쓰는 표현.
    (略待上称)自分の考えや主張を説明するように述べたりその根拠を示すのに用いる表現。
    • 시청은 걸어가기에 좀 먼걸요.
    • 저는 어른이 아니라 학생인걸요.
    • 아침을 안 먹었더니 벌써 배가 고픈걸요.
    • 가: 걷기 힘들어요?
    • 나: 새 구두를 신었더니 발이 좀 아픈걸요.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