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 (南方)
발음 : [남방 ]
명사 名詞
  1. 1. なんぽう【南方】
    동서남북 중 남의 방향.
    東西南北の中で南の方角。
    • 남방 건물.
    • 남방 집.
    • 남방과 북방.
    • 남방을 향하다.
    • 남방으로 떠나다.
    • 우리 일행은 배에 몸을 싣고 남방으로 여정을 떠났다.
    • 우리 집은 남방을 향하고 있어서 햇빛이 잘 들고 따뜻하다.
    • 승규는 무전여행을 한다며 목적지도 없이 남방으로 떠났다.
  2. 2. なんぽう【南方】。みなみ【南】
    남쪽 지방.
    南の地方。
    • 남방 사람.
    • 남방의 기온.
    • 남방과 북방.
    • 남방에 가다.
    • 남방으로 옮기다.
    • 한반도는 대체로 남방이 북방보다 따뜻하다.
    • 철새들이 추운 지방으로부터 따뜻한 남방으로 이동하였다.
    • 추운 데서 너무 오래 살았더니 이제 따뜻한 남방 지역에서 살고 싶다.
  3. 3. シャツ
    칼라가 달려 있으며 앞 부분의 단추를 채워 입는 셔츠.
    襟が付いていて、前の部分のボタンをはめて着るシャツ。
    • 긴팔 남방.
    • 반팔 남방.
    • 줄무늬 남방.
    • 체크 남방.
    • 남방을 입다.
    • See More
    • 뚱뚱한 민준이는 남방을 입고 싶어도 맞는 옷이 없어 티셔츠만 입게 된다.
    • 우리 회사는 금요일에 양복 대신 청바지와 남방을 입어도 된다.
    • 가: 나는 남방만 입으면 목이 너무 답답해.
    • 나: 그러면 단추 한두 개를 풀어서 입지 그래?
남방셔츠 (南方 ←shirt)
발음 : []
명사 名詞
칼라가 달려 있고 단추를 채워서 입는 셔츠.
カラーがついていてボタンをかけて着るシャツ。
  • 줄무늬 남방셔츠.
  • 깨끗한 남방셔츠.
  • 남방셔츠.
  • 남방셔츠가 멋있다.
  • 남방셔츠를 빨다.
  • See More
  • 남방셔츠와 청바지를 입은 그의 모습이 참 멋있었다.
  • 남편이 살이 쪄서 작년에 산 남방셔츠의 배 부분 단추가 채워지지 않았다.
  • 가: 엄마, 저 오늘 이 남방셔츠 입을 건데 너무 구겨졌어요.
  • 나: 이리 줘 봐. 엄마가 다림질해 줄게.
남부 (南部) ★★
발음 : [남부 ]
명사 名詞
なんぶ【南部】
어떤 지역의 남쪽.
ある地域の南側。
  • 강원도 남부.
  • 경기도 남부.
  • 한국의 남부.
  • 남부 지방.
  • 남부 지역.
  • 이 생선은 동해 남부와 남해에서 잘 잡힌다.
  • 태풍이 남서쪽에서 다가와 서해 남부는 오늘 밤 파도가 심할 것이다.
  • 가: 내일 부산으로 여행 갈 건데 비가 온다니!
  • 나: 서울에만 오고 남부 지방에는 안 올지도 모른다니 너무 걱정하지 마.
남부끄럽다
발음 : [남부끄럽따 ]
활용 : 남부끄러운[남부끄러운], 남부끄러워[남부끄러워], 남부끄러우니[남부끄러우니], 남부끄럽습니다[남부끄럽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ひとめにはずかしい【人目に恥かしい】
창피하여 남을 대하기가 부끄럽다.
恥ずかしくて他人と接するのに気がひける。
  • 남부끄러운 과거.
  • 남부끄러운 사실.
  • 남부끄러운 일.
  • 말하기가 남부끄럽다.
  • 소문이 남부끄럽다.
  • 나는 초등학생 때 바지에 오줌을 싼 남부끄러운 기억이 있다.
  • 그 여자는 자신에 대한 소문이 남부끄러워서 밖에 나다니지 못했다.
  • 문형 : 1이 2가 남부끄럽다
남부럽다
발음 : [남부럽따 ]
활용 : 남부러운[남부러운], 남부러워[남부러워], 남부러우니[남부러우니], 남부럽습니다[남부럽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うらやましい【羨ましい】
다른 사람의 좋은 점이나 훌륭한 점이 부럽다.
他人のよい点や素晴らしい点を羨ましがる。
  • 남부럽지 않다.
  • 남부러울 것 없다.
  • 그는 평생을 열심히 일하여 남부럽지 않은 부자가 되었다.
  • 그는 가난했지만 그를 사랑하는 아내 덕분에 남부럽지 않게 행복했다.
  • ※ 주로 '없다', '않다' 등과 같은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쓴다.
  • 문형 : 1이 2가 남부럽다
남북 (南北) ★★
발음 : [남북 ]
활용 : 남북이[남부기], 남북도[남북또], 남북만[남붕만]
명사 名詞
  1. 1. なんぼく【南北】
    남쪽과 북쪽.
    南側と北側。
    • 남북 종단.
    • 남북을 가로지르다.
    • 남북을 잇다.
    • 남북으로 뻗다.
    • 남북으로 연결되다.
    • 태백산맥은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다.
    • 나는 걸어서 우리나라 남북 종단을 했다.
    • 기후는 동서보다 남북으로 더 큰 차이를 보인다.
  2. 2.
    남한과 북한.
    韓国と北韓。
    • 남북 간 합의.
    • 남북 관계.
    • 남북 대화.
    • 남북 회담.
    • 남북으로 갈리다.
    • 1953년 전쟁이 끝난 후 우리나라는 또다시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 남북은 대화와 왕래를 통해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
    • 가: 남한에서 쓰는 말과 북한에서 쓰는 말이 점점 달라지고 있는 것 같아.
    • 나: 분단 상황이 오래 지속되면서 남북 간의 언어도 많이 달라졌지.
남북통일 (南北統一)
발음 : [남북통일 ]
명사 名詞
なんぼくとういつ【南北統一】。ちょうせんとういつ【朝鮮統一】
남한과 북한으로 갈라져 있는 한반도가 다시 하나가 되는 일.
韓国と北韓に分断されている韓半島が再び一つになること。
  • 남북통일 방안.
  • 남북통일의 염원.
  • 남북통일을 위한 회담.
  • 남북통일을 원하다.
  • 남북통일을 이루다.
  • 남북통일은 우리 민족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과제 중 하나이다.
  • 노인은 북한에 있는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하며 남북통일이 평생의 소원이라고 하였다.
  • 가: 우리 할머니는 아직도 북한에 두고 온 동생 이야기를 하시며 우셔.
  • 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서라도 빨리 남북통일이 돼야 할 텐데.
남북한 (南北韓)
발음 : [남부칸 ]
명사 名詞
남한과 북한.
韓国と北韓。
  • 남북한 대화.
  • 남북한 문제.
  • 남북한 차이.
  • 남북한 협상.
  • 남북한의 입장.
  • 온 국민은 남북한의 평화적인 통일을 원한다.
  • 분단의 세월 동안 남북한의 언어는 서로 조금씩 달라졌다.
남비
명사
냄비 ★★★
발음 : [냄비 ]
명사 名詞
なべ【鍋】
음식을 끓이는 데 쓰는, 솥보다 작고 뚜껑과 손잡이가 있는 그릇.
食べ物を沸かすときに使う窯より小さく、蓋と取っ手のある容器。
  • 양은 냄비.
  • 냄비 뚜껑.
  • 냄비 받침.
  • 냄비를 쓰다.
  • 냄비를 태우다.
  • See More
  • 공부를 하다 출출해진 승규는 야식으로 냄비에 라면을 끓여 먹었다.
  • 방금까지 끓인 뜨거운 냄비를 냄비 받침도 없이 상에 놓았더니 상이 까맣게 타 버렸다.
  • 가: 승규야, 냄비를 써야 하니 설거지 좀 하거라.
  • 나: 예, 엄마.
남빛 (藍 빛)
발음 : [남삗 ]
활용 : 남빛이[남삐치], 남빛도[남삗또], 남빛만[남삔만]
명사 名詞
あい【藍】。あいいろ【藍色】
파란빛과 보랏빛의 중간인 짙은 푸른빛.
青色と紫色の中間の濃い青色。
  • 짙은 남빛.
  • 남빛 하늘.
  • 남빛을 좋아하다.
  • 남빛으로 물들이다.
  • 남빛으로 보이다.
  • 밤이 되자 짙은 남빛 하늘에 별이 아름답게 빛났다.
  • 나는 어머니의 한복 중 분홍빛 저고리와 남빛 치마를 제일 좋아한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