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화되다 (可視化 되다)
발음 : [가ː시화되다 /가ː시화뒈다 ]
동사 動詞
かしかする【可視化する】。めにみえる【目に見える】
어떤 현상이나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다.
ある現象や事件が実際に起こる。
- 가시화될 전망.
- 가시화될 징후.
- 계획이 가시화되다.
- 꿈이 가시화되다.
- 가능성이 가시화되다.
- 새로 출시된 자동차가 좋은 반응을 얻어 매출 목표 달성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 은퇴를 했던 여배우가 새로 제작할 드라마의 주인공 제의를 받아 컴백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 가: 정권이 교체되며 정부 부처의 개편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 나: 네, 정부는 통폐합을 통해 대대적인 개편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 문형 : 1이 가시화되다
가시화하다 (可視化 하다)
발음 : [가ː시화하다 ]
동사 動詞
かしかする【可視化する】
어떤 현상이나 사건이 실제로 드러나다. 또는 실제로 드러나게 하다.
ある現象や事件が実際に起こる。 または、起こさせる。
- 가시화할 방법.
- 가시화할 방안.
- 개념을 가시화하다.
- 계획을 가시화하다.
- 사업을 가시화하다. See More
- 새로운 사업 계획이 가시화하였다.
- 정부는 환경 오염 문제 해결을 가시화할 방안을 공모했다.
- 대기업들이 새로운 시장 진출을 구체적으로 가시화하였다.
- 프로젝트의 팀장은 아이디어를 가시화하기 위해 회의를 소집했다.
- 문형 : 1이 가시화하다, 1이 2를 가시화하다
가식 (假飾)
발음 : [가ː식 ]
활용 : 가식이[가ː시기], 가식도[가ː식또], 가식만[가ː싱만]
명사 名詞
かざりけ【飾り気】。きょしょく【虚飾】。うわべだけのかざり【上辺だけの飾り】
말이나 행동을 거짓으로 꾸밈.
言葉や行動を見栄で飾ること。
- 가식의 말.
- 가식이 되다.
- 가식이 없다.
- 가식을 떨다.
- 가식을 버리다. See More
- 이 작가의 이야기에는 가식이라는 거품이 없다.
- 승규는 언제나 솔직하고 가식이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아이의 가식이 없는 천진난만함은 우리 모두를 웃음 짓게 만들었다.
- 가: 민준아, 너는 항상 사람을 진심으로 대하는 것 같아.
- 나: 우리 부모님께서 사람을 대할 때는 가식으로 대하지 말라고 가르치셨거든.
- 유의어 가장²
가식적1 (假飾的) ★
발음 : [가ː식쩍 ]
명사 名詞
かざりけ【飾り気】。きょしょくてき【虚飾的】。みえ【見栄】。いつわり【偽り】。みせかけ【見せかけ】。ぎぜん【偽善】
말이나 행동을 거짓으로 꾸미는 것.
言葉や行動を見栄で飾ること。
- 가식적인 눈물.
- 가식적인 말투.
- 가식적인 모습.
- 가식적인 사람.
- 가식적인 웃음. See More
- 나는 진실성이 없고 가식적으로 행동하는 사람과는 가깝게 지내고 싶지 않다.
- 김 씨는 성공을 위해 실제와는 전혀 다른 가식적인 모습으로 자신을 포장했다.
- 가: 그 사람이 나한테 웬일로 칭찬을 하는데 나는 그게 가식적인 말로 들리더라.
- 나: 워낙 남의 칭찬에 인색한 사람이라 더 그렇게 들렸나 보다.
가식적2 (假飾的) ★
발음 : [가ː식쩍 ]
관형사 冠形詞
かざりけのある【飾り気のある】。いつわりの【偽りの】。みせかけの【見せかけの】。きょしょくきょえいの【虚飾虚栄の】
말이나 행동을 거짓으로 꾸미는.
言葉や行動を見栄で飾るさま。
- 가식적 말투.
- 가식적 모습.
- 가식적 몸짓.
- 가식적 성격.
- 가식적 웃음. See More
- 박 씨는 싫어하는 사람과 함께 있을 때에도 가식적 미소를 잘 짓는다.
- 유권자는 일부 정치인들의 정치적 이익을 얻기 위한 가식적 행동에 속지 않는다.
- 가: 저는 가식적 칭찬은 성격상 못하는 사람이니 이해하십시오.
- 나: 알고 있습니다. 선생님의 말씀 새겨듣도록 하겠습니다.
가십 (gossip)
명사 名詞
ゴシップ。うわさ【噂】
흥미를 위해 개인의 소문이나 험담 등을 다룬 기사 또는 그런 이야기.
個人的な事情についてのうわさや悪口などを扱った興味本位の記事、またはその話。
- 악성 가십.
- 연예계 가십.
- 정치권 가십.
- 가십 기사.
- 가십이 넘치다. See More
- 신문에는 스캔들을 일으킨 여배우에 대한 가십으로 넘쳐났다.
- 이 과장은 다른 사람들의 가십을 회사에 퍼뜨려 상사로부터 주의를 받았다.
- 가: 지수 씨는 사람들에게 가십을 퍼뜨리는 게 취미인가 봐.
- 나: 요즘은 또 누가 회사를 그만둘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하고 다니는 것 같더라.
가십거리 (gossip 거리)
명사 名詞
ゴシップのたね【ゴシップの種】
사람들 사이에서 가벼운 화제가 될 만한 일이나 사건.
人々の間で、軽く話題になりうるようなことや事件。
- 단골 가십거리.
- 가십거리를 들추다.
- 가십거리를 이야기하다.
- 가십거리를 찾다.
- 가십거리를 캐내다. See More
- 기자는 유명인과 관련된 가십거리를 찾는 데 혈안이 되어 있었다.
- 민준이는 나쁜 행실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종종 가십거리가 되기도 했다.
- 승규가 가십거리로 나에 대해서 좋지 않은 이야기를 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김 작가는 시청자의 흥미와 끌기 위해 유명 정치인의 가십거리를 드라마 첫 회에 삽입했다.
- 가: 글쎄, 한 유명 여배우가 곧 재벌가로 시집을 간대요.
- 나: 그저 단골 가십거리에 지나지 않는 이야기네요.
가야 (伽倻/伽耶/加耶)
발음 : [가야 ]
명사 名詞
かや【伽耶】。からしょこく【加羅諸国】
한반도의 낙동강 하류에 있던 나라. 42년에 김수로왕과 그 형제들이 세운 여섯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562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 가락국이라고도 한다.
韓半島の洛東江(ナクドンガン)の下流に存在していた国。西暦42年に首露(スロ)王とその兄弟が建てた六つの国からなる小国家群を指す。562年に新羅に併合された。駕洛国(カラクコク)とも呼ぶ。
가야금 (伽倻琴) ★
발음 : [가야금 ]
명사 名詞
カヤグム【伽耶琴】
열두 줄의 현을 손가락으로 뜯어 소리를 내는 한국의 전통 현악기 중 하나.
12本の弦を指ではじいて音を出す韓国の伝統絃楽器の一。日本の琴のような楽器。
- 가야금 가락.
- 가야금 소리.
- 가야금 연주.
- 가야금의 현.
- 가야금을 뜯다. See More
- 김 양은 어린 시절부터 익힌 가야금 솜씨가 수준급이다.
- 가야금의 열두 줄은 각기 그 굵기가 다른데 굵은 줄일수록 낮은 소리가 난다.
- 어린이 국악 교실에 참가한 초등학생들이 가야금을 연주하며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 가: 유민아, 네가 가야금을 탈 줄 안다며?
- 나: 취미로 배우고 있는 거라 어디 내놓고 연주하기엔 부끄러운 실력이야.
가업 (家業)
발음 : [가업 ]
활용 : 가업이[가어비], 가업도[가업또], 가업만[가엄만]
명사 名詞
かぎょう【家業】
한 집안에서 대대로 이어서 하는 사업.
代々その家に伝わってきた事業。
- 선대의 가업.
- 가업 상속.
- 가업 승계.
- 가업을 물려받다.
- 가업을 물려주다. See More
- 나는 삼 대째 내려온 가업을 이어 의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 박 씨는 아버지로부터 가업을 물려받아 식당의 음식 맛을 지켜 나가기로 했다.
- 가: 젊은 분이 어떻게 많은 것을 포기하고 시골에서 된장을 담가 파는 일을 하게 되셨나요?
- 나: 형제들이 각자 제 갈 길을 가는 것을 보고 제가 가업을 이어야겠다고 생각했거든요.
'한국어기초사전 > 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오리, 가옥, 가외, 가욋돈, 가요, 가요계, 가요제, 가용, 가운¹, 가운² (0) | 2020.02.06 |
---|---|
가없이, 가연성, 가열, 가열되다, 가열차다, 가열하다¹, 가열하다², 가엽다, 가엾다, 가엾이 (0) | 2020.02.06 |
가시고기, 가시광선, 가시권, 가시다, 가시덤불, 가시방석, 가시밭길, 가시적¹, 가시적², 가시화 (0) | 2020.02.06 |
가슴, 가슴둘레, 가슴살, 가슴속, 가슴앓이, 가슴팍, 가슴패기, 가습기, 가시¹, 가시² (0) | 2020.02.06 |
가스, 가스관, 가스레인지, 가스보일러, 가스실, 가스 요금, 가스 중독, 가스총, 가스통, 가슬가슬하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