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죠
참고 :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そうですね。とききました【と聞きました】。んですって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여 물을 때 쓰는 표현.
(略待上称)話し手がすでに知っている事実について確認を要求するのに用いる表現。
  • 유민 씨는 공포 영화를 싫어한다죠?
  • 요즘 취업하려면 면접이 중요하다죠?
  • 지수 씨 딸은 초등학생치고 키가 크다죠?
  • 승규 씨가 키우는 강아지가 귀엽다죠?
  • 우체국은 여기에서 가깝다죠?
  • 지수 씨는 대학원 진학에 필요한 서류 준비로 바쁘다죠?
  • 가: 날씨가 좋아서 공원에 놀러 나오는 사람들이 많다죠?
  • 나: 네, 어제 가니까 가족 단위로 나온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 가: 유민 씨 딸이 엄마 닮아서 키도 크고 예쁘다죠?
  • 나: 예쁘긴요. 그냥 귀여운 정도죠.
-다지1
참고 :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そうだね。って。だってな。だと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여 물을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下称) 話し手がすでに知っている事実について聞き手に確認を要求す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너희 학교 농구 팀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우승했다지?
  • 자네 어릴 때 잃어버린 여동생을 몇십 년 만에 만났다지?
  • 승규네 삼촌은 나이가 마흔인데 아직 결혼할 생각이 없다지?
  • 가: 옆집 총각은 젊은 나이에 성공해서 재산이 많다지?
  • 나: 응. 그렇다나 봐.
-다지2
참고 :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そうだね。ときいたよ【と聞いたよ】。んだって。
(두루낮춤으로) 이전에 들은 어떤 사실을 듣는 사람에게 다시 묻거나 확인하여 말할 때 쓰는 표현.
(略待下称)過去に聞いた事実について聞き手に再び質問したり確認を要求するのに用いる表現。
  • 꽃샘추위 때문에 이번 주에는 춥다지?
  • 민준이는 우등상을 받아서 요즘 기분이 좋다지?
  • 지수 조카가 인형처럼 귀엽다지?
  • 가: 아이들이 입는 색동저고리는 색이 참 곱다지?
  • 나: 네, 여러 가지 색이 들어가 있어서 보기에 좋아요.
-다지만
というが【と言うが】。ときいたが【と聞いたが】。そうだが
들어서 알고 있거나 인정하는 사실이지만 뒤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실제의 상황이나 생각과는 차이가 있을 때 쓰는 표현.
聞いて知っているか認めている事実ではあるが、それが後に述べる実際の状況や考えとは違いがある時に用いる表現。
  • 일이 바쁘다지만 얼굴은 한 번 볼 수 있는 거 아냐?
  • 그가 실력은 있다지만 그것만으로는 성공하기 힘들지.
  • 본인은 스스로 하겠다지만 주변 사람의 도움 없이는 힘들 거예요.
  • 가: 유민 씨는 한국어를 할 줄 알아요?
  • 나: 외국에서 자랐다지만 한국어를 잘하던걸요.
  • ※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다고 하지만’이 줄어든 말이다.
  • 참고어 -ㄴ다지만, -는다지만, -라지만
다종다양하다 (多種多樣 하다)
발음 : [다종다양하다 ]
활용 : 다종다양한[다종다양한], 다종다양하여[다종다양하여](다종다양해[다종다양해]), 다종다양하니[다종다양하니], 다종다양합니다[다종다양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たしゅたようだ【多種多様だ】
모양이나 색깔, 종류 등이 여러 가지로 많다.
模様や色、種類などが様々で、多い。
  • 다종다양한 모델.
  • 다종다양한 상품.
  • 다종다양한 생물.
  • 다종다양하게 갖추다.
  • 동물이 다종다양하다.
  • See More
  • 명절을 맞아 정부에서는 다종다양한 문화 행사를 마련했다.
  • 그 와인 가게에는 내가 알지도 못하는 다종다양한 와인들이 진열되어 있었다.
  • 가: 메뉴가 참 다양하네요.
  • 나: 네, 손님들의 취향에 맞춰 다종다양하게 준비해 놓고 있어요.
  • 문형 : 1이 다종다양하다
다중 (多重)
발음 : [다중 ]
명사 名詞
たじゅう【多重】
여러 겹.
いくつもの重ね。
  • 다중 방음벽.
  • 다중 방수.
  • 다중 보온.
  • 다중 안전장치.
  • 다중 포장.
  • See More
  • 산에 모기가 많아서 별장의 모기장을 다중으로 쳤다.
  • 방음을 완벽하게 하기 위해서 드럼 연습실의 방음벽을 다중으로 설치했다.
  • 가: 이 물건은 깨지기 쉬우니까 다중으로 포장을 해 주세요.
  • 나: 네. 여러 겹으로 쌀 테니 걱정하지 마세요.
다지-
(다지고, 다지는데, 다지니, 다지면, 다진, 다지는, 다질, 다집니다)→다지다¹, 다지다²
다지기
발음 : [다지기 ]
명사 名詞
  1. 1. みじんぎり【微塵切り】
    고기나 채소 등을 여러 번 칼질하여 잘게 자르는 일.
    肉や野菜などを包丁でごく細かく切ること。
    • 고기 다지기.
    • 양파 다지기.
    • 마늘 다지기.
    • 야채 다지기.
    • 다지기를 하다.
    • 요리사는 다지기를 한 야채를 넣어서 죽을 만들었다.
    • 나는 갈비를 재우기 위해 통마늘 대신 곱게 다지기를 한 마늘을 넣었다.
    • 가: 고기 다지기가 이렇게 힘든지 몰랐어.
    • 나: 이 많은 고기를 잘게 자르는 게 쉽지 않지.
  2. 2. タジギ
    잘게 썬 파, 고추, 마늘 등을 섞은 양념.
    切り刻んだ葱、唐辛子、ニンニクなどを交ぜた薬味。
    • 다지기 한 숟가락.
    • 다지기를 건네다.
    • 다지기를 넣다.
    • 다지기를 만들다.
    • 다지기를 풀다.
    • 민준이는 설렁탕에 다지기를 풀어 얼큰하게 만들어서 먹었다.
    • 칼국수에 다지기를 많이 넣었더니 땀이 절로 흐를 만큼 맛이 매웠다.
    • 가: 국이 좀 심심한 것 같아. 거기 다지기 좀 줘.
    • 나: 너무 많이 넣으면 매우니까 조금만 넣어.
  3. 3. じがため【地固め】
    흙이나 바닥 등을 누르거나 밟아서 평평하고 단단하게 하는 일.
    土や地面などを押したり踏んだりして平らで固くすること。
    • 기반 다지기.
    • 바닥 다지기.
    • 집터 다지기.
    • 다지기 공사.
    • 다지기를 하다.
    • 인부들은 본격적으로 건물을 올리기 위해 집터 다지기를 시작했다.
    • 축구 경기가 끝나면 다음 경기를 위해서 흐트러진 잔디를 꽉꽉 눌러 다지기를 해 준다.
    • 가: 여기에 수영장을 만든다면서요?
    • 나: 네, 아직은 바닥 다지기 공사를 하는 중이에요.
  4. 4. じがため【地固め】
    바탕이 되는 것을 튼튼하고 확실하게 하는 일.
    土台になることを丈夫で確実なものにすること。
    • 기반 다지기.
    • 기본기 다지기.
    • 기초 다지기.
    • 내실 다지기.
    • 실력 다지기.
    • 우리 회사는 창립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확장보다는 내실 다지기에 열중하고 있다.
    • 수학 기본기 다지기를 단단히 하면 나중에는 어려운 응용 문제도 잘 풀 수 있을 것이다.
    • 가: 검도는 잘 배우고 있어?
    • 나: 응, 아직은 배운 지 얼마 안 되어서 기초 다지기에 집중하고 있어.
다지다1
발음 : [다지다 ]
활용 : 다지어[다지어/ 다지여](다져[다저]), 다지니
동사 動詞
  1. 1. かためる【固める】。ふみかためる【踏み固める】
    들떠 있는 것을 누르거나 밟거나 쳐서 단단하게 하다.
    浮いているものを押したり踏んだり叩いたりして固くする。
    • 땅을 다지다.
    • 논둑을 다지다.
    • 바닥을 다지다.
    • 아스팔트를 다지다.
    • 흙을 다지다.
    • 꽃씨를 뿌린 후 땅을 밟아 단단하게 다졌다.
    • 할머니는 항아리에 김치를 돌로 꾹꾹 다져 놓으셨다.
    • 바닥을 다지지 않고서는 그 위에 집을 튼튼히 지을 수 없다.
    • 문형 : 1이 2를 다지다
  2. 2. かためる【固める】
    마음이나 뜻을 굳게 하다.
    心や意志をしっかりしたものにする。
    • 각오를 다지다.
    • 결의를 다지다.
    • 마음을 다지다.
    • 의지를 다지다.
    • 굳게 다지다.
    • 나는 열심히 공부하기로 새롭게 의지를 다졌다.
    • 아버지는 힘들 때 마음을 다지기 위해 가족 사진을 꺼내 보셨다.
    • 가: 이번 달부터 금연을 하고 있는데 너무 힘들어서 포기하고 싶어.
    • 나: 포기하고 싶을 때일수록 마음을 굳게 다져야 돼.
    • 문형 : 1이 2를 다지다
  3. 3. かためる【固める】
    구조나 체제의 기본을 튼튼히 하다.
    構造や体制の基本を強固にする。
    • 기반을 다지다.
    • 기본을 다지다.
    • 기초를 다지다.
    • 기틀을 다지다.
    • 실력을 다지다.
    • See More
    • 나는 취업의 발판을 다지기 위해 기술을 익히고 있다.
    • 남한과 북한은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통일의 기반을 다져야 한다.
    • 가: 승규의 수학 실력이 부쩍 늘었어요.
    • 나: 방학 동안 기초 개념을 튼튼하게 다진 게 큰 도움이 되었어요.
    • 문형 : 1이 2를 다지다
  4. 4. ふかめる【深める】
    관계를 더욱 두텁게 하다.
    関係をさらに深くする。
    • 관계를 다지다.
    • 결속을 다지다.
    • 우애를 다지다.
    • 우정을 다지다.
    • 친분을 다지다.
    • 우리는 힘든 일을 서로 도우며 우애를 다져 왔다.
    • 동네 사람들은 한 달에 한 번씩 모임을 통해 친분을 다지고 있다.
    • 가: 설날인데 가족끼리 윷놀이를 하는 게 어떨까?
    • 나: 그래, 가족끼리 친목도 다지고 좋겠다.
    • 문형 : 1이 2를 다지다
  5. 5. たしかめる【確かめる】。ねんをおす【念を押す】
    뒷말이 없도록 강조하거나 확인하다.
    後で問題にならないように強調したり確認したりする。
    • 다져 둔 말.
    • 약속을 다지다.
    • 한마디를 다지다.
    • 굳게 다지다.
    • 단단히 다지다.
    • 나는 부하 직원에게 내일까지 보고서를 마감하라고 단단히 다져 놓았다.
    • 선생은 다시는 지각을 하지 말라고 한마디를 더 다진 후에야 학생을 돌려 보냈다.
    • 가: 승규가 뒤에 가서 딴소리 하는 거 아니겠지?
    • 나: 약속을 꼭 지키라고 다져 두었으니 지키겠죠.
    • 문형 : 1이 2에게 3을 다지다, 1이 2에게 3-고 다지다
다지다2 ★★
발음 : [다지다 ]
활용 : 다지어[다지어/ 다지여](다져[다저]), 다지니
동사 動詞
みじんぎりにする【微塵切りにする】。きりきざむ【切り刻む】
고기나 채소 등을 여러 번 칼질하여 잘게 만들다.
肉や野菜などを包丁でごく細かく切る。
  • 다진 양념.
  • 고기를 다지다.
  • 마늘을 다지다.
  • 생강을 다지다.
  • 쇠고기를 다지다.
  • 요리사는 고기와 채소들을 다지고 계란을 넣어 전을 부쳤다.
  • 어머니는 나에게 불고기 양념으로 들어갈 마늘을 다지라고 하셨다.
  • 가: 여기 돈가스 정말 맛있다.
  • 나: 응, 여기는 고기를 다지는 일부터 모두 요리사가 직접 한대.
  • 문형 : 1이 2를 다지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