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식 (戴冠式)
발음 : [대ː관식 ]
활용 : 대관식이[대ː관시기], 대관식도[대ː관식또], 대관식만[대ː관싱만]
명사 名詞
たいかんしき【戴冠式】。そくいしき【即位式】
서양에서, 새로 왕위에 오른 임금이 백성들 앞에서 처음으로 왕관을 쓰며 임금이 되었음을 알리는 의식.
西洋で、新しく即位した王が、民の前で初めて王冠をかぶり、王になったことを知らせる儀式。
- 왕의 대관식.
- 황제의 대관식.
- 대관식을 거행하다.
- 대관식을 보다.
- 대관식을 치르다. See More
- 그녀는 성당에서 성대한 대관식을 치르고 왕국의 여왕이 되었다.
- 그곳은 이 나라 역대 왕들의 대관식이 거행된 역사적인 곳이다.
대관절 (大關節)
발음 : [대ː관절 ]
대괄호 (大括弧)
발음 : [대ː괄호 ]
명사 名詞
- 1. だいかっこ【大括弧】。かくかっこ【角括弧】。ブラケット언어에서,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때 바깥쪽의 괄호 대신 쓰거나,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이거나,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쓰는 문장 부호.言語で、括弧の中にさらに括弧を入れ子にする場合外側の括弧の代わりに使ったり、固有語に対応する漢語を一緒に表示したり、原文の理解を助けるための補足説明などを入れたりするのに用いられる。
- 대괄호가 들어가다.
- 대괄호를 넣다.
- 대괄호를 치다.
- 대괄호로 묶다.
- 대괄호에 적다.
- 단어의 발음 기호는 문장 부호 중 대괄호 안에 적는다.
- ‘학교’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을 때에는 대괄호를 쳐서 ‘[학꾜]’라고 쓴다.
- 가: 나는 소리 나는 대로 잘 적은 것 같은데 뭐가 잘못된 거지?
- 나: 발음을 쓸 때는 대괄호에 적어야 되는데 그걸 깜빡했나 보네.
- 2. だいかっこ【大括弧】。かくかっこ【角括弧】수학에서, 어떤 식의 계산을 가장 나중에 할 것을 나타내는 부호.数学で、ある式の計算を最後にすることを示す符号。
- 대괄호 계산.
- 대괄호 문제.
- 대괄호 밖.
- 대괄호 식.
- 대괄호 안. See More
- 승규는 곱셈 문제에서 대괄호 식을 먼저 계산하는 바람에 답을 틀렸다.
- 수학 문제를 풀 때에는 소괄호와 중괄호, 대괄호의 순서로 식을 계산한다.
- 가: 대괄호 계산 문제가 항상 헷갈려.
- 나: 어떤 순서대로 계산해야 하는지만 외워 두면 별로 어렵지 않아.
대교 (大橋)
발음 : [대ː교 ]
명사 名詞
おおはし・たいきょう【大橋】
큰 다리.
大きな橋。
- 대교를 건너다.
- 대교를 건설하다.
- 대교를 짓다.
- 대교에 들어서다.
- 대교에 진입하다.
- 서해에는 국내에서 가장 긴 대교가 있다.
- 밤의 한강에서는 아름다운 대교들이 장관을 만들어 내고 있었다.
- 가: 아직도 그 섬에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하나?
- 나: 아니야. 이제 대교가 놓여서 차로 들어갈 수 있어.
대구1 (大口)
발음 : [대구 ]
명사 名詞
たら【鱈】
엷은 회갈색에 배는 흰색이고 입이 크며 비늘이 작고 둥근 바닷물고기.
体色は薄い灰褐色で、白い腹と大きな口、小さくて丸い鱗をもっている海水魚。
- 대구탕.
- 대구 한 마리.
- 대구를 먹다.
- 대구가 아주 싱싱하다.
- 가: 여보, 오늘 저녁은 무엇을 먹을까요?
- 나: 오늘 저녁은 시장에서 대구를 사다가 탕을 끓여 먹는 거 어때요?
대구2 (大邱) ★★★
발음 : [대구 ]
명사 名詞
テグ【大邱】
영남 지방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 섬유 공업 등 각종 공업이 발달하였고 사과 산지로도 유명하다.
韓国の嶺南(ヨンナム)地方の中央に位置する広域市。繊維工業をはじめ各種の工業が発達し、リンゴの産地としても有名である。
대국화 (大國化)
발음 : [대ː구콰 ]
명사 名詞
たいこくか【大国化】
강한 힘을 가진 나라로 변화함.
強い力を持った国へ変わる。
- 군사 대국화.
- 경제 대국화.
- 정치 대국화.
- 대국화의 조짐이 보이다.
- 대국화를 추진하다.
- 이십 세기 후반 일본의 경제 대국화는 근대 역사에서 아주 놀라운 기록이다.
- 중국의 대국화는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사상의 확산을 통해 기존의 세계 질서를 위협할 수도 있다.
- 가: 군사 대국화는 어떤 점에서 문제가 됩니까?
- 나: 우선 이웃 나라들과의 갈등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군1 (大君)
발음 : [대ː군 ]
명사 名詞
テグン【大君】
(옛날에) 왕의 정식 부인이 낳은 아들.
親王:昔、王の嫡室が産んだ息子。
- 대군이 권력을 잡다.
- 대군이 왕이 되다.
- 대군이 왕위를 빼앗다.
- 대군을 낳다.
- 대군으로 책봉되다.
- 대군들 중에서 보통 맏아들이 왕위를 이었다.
- 중전이 대군을 낳으면 다른 빈들의 아들은 임금의 자리에 오르기 힘들었다.
- 가: 주상의 건강 상태가 점점 악화되어 왕위를 오래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나: 이제 곧 대군들의 왕좌 탈환 싸움이 벌어지겠군.
대군2 (大軍)
발음 : [대ː군 ]
명사 名詞
たいぐん【大軍】
병사의 수가 많은 군대.
兵の数が多い軍隊。
- 백만 대군.
- 대군의 침략.
- 대군을 거느리다.
- 대군을 물리치다.
- 대군을 이끌다. See More
- 장군은 오십만 대군을 이끌고 이웃 나라로 쳐들어갔다.
- 농민들은 힘을 합하여 다른 나라의 대군과 맞서 싸웠다.
- 가: 이순신 장군은 오늘날까지 후손들에게 존경을 받는 위인이셔.
- 나: 적은 병력으로 적의 대군과 맞서 싸워 큰 승리를 거둔 대단한 분이시지.
대굴대굴
발음 : [대굴대굴 ]
부사 副詞
- 1. ころころ。ごろごろ작은 물건이 계속 구르는 모양.小さい物が続けて転がる様子。
- 대굴대굴 구르다.
- 대굴대굴 굴러가다.
- 대굴대굴 나뒹굴다.
- 대굴대굴 뒹굴다.
- 눈알을 대굴대굴 굴리다.
- 나는 콩을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대굴대굴 굴려 보았다.
- 진주 목걸이를 떨어뜨려 진주들이 여기저기로 대굴대굴 굴러갔다.
- 바닥에 있던 바구니를 발로 차자 바구니는 대굴대굴 굴러 문 앞까지 갔다.
- 가: 여기 경사가 져서 힘드니까 우리 평지에서 공놀이를 하자.
- 나: 그래, 공이 아래로 자꾸 대굴대굴 굴러가니까 힘들다.
- 큰말 데굴데굴
- 2. ごろごろ사람이 누워서 이리저리 마구 구르는 모양.人があちらこちらに寝転んでいる様子。
- 대굴대굴 구르다.
- 대굴대굴 나뒹굴다.
- 대굴대굴 뒹굴다.
- 동생은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더니 대굴대굴 구르며 웃었다.
- 환자는 고통을 참지 못하고 대굴대굴 뒹굴며 소리를 질렀다.
- 가: 주말에 뭐 했어?
- 나: 방 안에서 대굴대굴 구르면서 텔레비전만 봤어.
- 큰말 데굴데굴
'한국어기초사전 > 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시키다, 대기실, 대기업, 대기 오염, 대기층, 대기하다, 대길하다, 대꾸, 대꾸하다, 대나무 (0) | 2020.02.06 |
---|---|
대권, 대궐, 대규모, 대극장, 대금¹, 대금², 대기¹, 대기², 대기권, 대기만성 (0) | 2020.02.06 |
대계¹, 대계², 대공, 대공사, 대공원, 대공황, 대과업, 대관, 대관령, 대관료 (0) | 2020.02.06 |
대게, 대견스럽다, 대견하다, 대결, 대결산, 대결상, 대결장, 대결하다, 대경실색, 대경실색하다 (0) | 2020.02.06 |
대강¹, 대강², 대강당, 대강대강, 대개¹, 대개², 대거¹, 대거², 대걸레, 대검¹, 대검², 대검찰청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