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大學院生)
발음 : [대ː하권생 ]
명사 名詞
だいがくいんせい【大学院生】。いんせい【院生】
대학원에 다니는 학생.
大学院に通う学生。
  • 국문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 대학원생이 되다.
  • 대학원생이 논문을 쓰다.
  • 대학원생이 연구하다.
  • 대학원생이 졸업하다.
  • 학술 대회는 대학원생이나 전문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대학의 연구란 교수만 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생과 대학원생들도 함께 하는 것이다.
  • 가: 지수는 아직도 학교를 다니나?
  • 나: 응. 지수는 영문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이야.
대학자 (大學者)
발음 : [대ː학짜 ]
명사 名詞
だいがくしゃ【大学者】
학식이 아주 뛰어나고 훌륭한 학자.
学識が非常に優れていて偉大な学者。
  • 대학자가 나오다.
  • 대학자가 되다.
  • 대학자로 키우다.
  • 뛰어난 학식을 지닌 그녀는 자신의 아들도 대학자로 키워 냈다.
  • 가: 이 책은 어떤 책이야?
  • 나: 한국 불교의 대학자로 꼽히는 사람의 책이야. 불교에 대해 알고 싶으면 너도 한번 읽어 봐.
대학촌 (大學村)
발음 : [대ː학촌 ]
명사 名詞
だいがくむら【大学村】
대학 주변에 대학생들이 이용할 만한 가게나 음식점, 하숙집 등이 몰려 있는 마을.
大学の周辺に大学生が利用する店・飲食店・下宿などが集っている村。
  • 대학촌 개발.
  • 대학촌 상권.
  • 대학촌이 형성되다.
  • 대학촌을 만들다.
  • 새로 생긴 대학교 캠퍼스 주위에 대학촌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 대학촌에서는 학생들이 커피숍이나 아이스크림 가게에 몰려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 가: 우리 고장에 대학교가 생긴대.
  • 나: 학교 앞에 대학촌을 만들면 지역 경제도 좋아질 거야.
대한 (大寒)
발음 : [대ː한 ]
명사 名詞
だいかん【大寒】
일 년 중 가장 추운 때로 이십사절기의 하나. 1월 20일경이다.
1年の中で最も寒い時期で、二十四節気の一。1月20日ごろである。
대한민국 (大韓民國) ★★
발음 : [대ː한민국 ]
활용 : 대한민국이[대ː한민구기], 대한민국도[대ː한민국또], 대한민국만[대ː한민궁만]
명사 名詞
テハンミングク【大韓民国】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있는 나라. 한반도와 그 부속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국이라고도 부른다. 1950년에 일어난 육이오 전쟁 이후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국토가 둘로 나뉘었다. 언어는 한국어이고, 수도는 서울이다.
アジア大陸の東側にある国。韓半島とその周囲の島礁から構成されていて、韓国とも呼ばれている。1950年に起きた韓国戦争以降、休戦ラインを挟んで南北に分断されている。主要言語は韓国語で、首都はソウル。
대한 제국 (大韓帝國)
テハンジェグク・だいかんていこく【大韓帝国】
1897년에 고종이 정한 조선의 새 이름. 1910년 일본에 국권을 빼앗기면서 멸망하였다.
1897年に高宗が定めた朝鮮の新しい国名。1910年に日本に国権を強奪され滅亡した。
대할인 (大割引)
발음 : [대ː하린 ]
명사 名詞
セール。とくばい【特売】
물건의 값을 크게 깎아 주는 것.
商品を大幅に値引きして安く売ること。
  • 추석맞이 대할인.
  • 대할인 가격.
  • 대할인 이벤트.
  • 대할인 판매.
  • 대할인 행사.
  • 개업 기념으로 여러 서비스들이 대할인 가격으로 제공되었다.
  • 우리 가게는 크리스마스를 맞아 가격 대할인을 펼쳐 기존 가격에서 40% 할인된 가격으로 카메라를 판매하고 있다.
  • 가: 저기가 대할인 행사 하는 마트지?
  • 나: 응. 오늘만 과일을 반값에 판대.
대합실 (待合室)
발음 : [대ː합씰 ]
명사 名詞
まちあいしつ【待合室】
공공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손님들이 기다리면서 쉴 수 있는 장소.
公共交通手段を利用する利用客が待ちながら休める所。
  • 고속버스 대합실.
  • 공항 대합실.
  • 대합실.
  • 대합실에 들어가다.
  • 대합실에서 기다리다.
  • See More
  • 열차가 들어오자 그는 가방을 가지고 대합실에서 나왔다.
  • 명절이 되자 서울역 안에 있는 대합실은 고향에 내려가려는 사람들로 가득했다.
  • 가: 명절이 되니까 역이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네.
  • 나: 그러게. 대합실에 앉을 자리도 없어.
대항 (對抗)
발음 : [대ː항 ]
명사 名詞
  1. 1. たいこう【対抗】
    지지 않으려고 맞서서 버팀.
    負けまいと立ち向かうこと。
    • 대항 세력.
    • 대항 운동.
    • 대항 훈련.
    • 대항을 하다.
    • 언제나 강력한 주도 세력이 있으면, 그에 대한 대항 세력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 한 할아버지가 그의 멱살을 잡으며 화를 냈지만 그는 별 대항 없이 그대로 잡혀 있었다.
    • 국가는 지금 우리를 폭력으로 제압하려고 하지만, 이에 대한 대항 운동은 비폭력이어야 합니다.
    • 가: 이 나라는 독재자의 횡포가 심한데도 아무도 대항을 하지 않는 이유가 뭐야?
    • 나: 독재자가 막강한 군사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야.
  2. 2. たいこう【対抗】
    서로 맞서서 승부를 겨룸.
    互いに競り合うこと。
    • 국가 대항.
    • 대항.
    • 학교 대항.
    • 대항 경기.
    • 대항 시합.
    • 지수는 반 대항 달리기 대회에서 일 등을 했다.
    • 오늘 아시아 국가 대항 어린이 축구 대회가 열렸다.
    • 가: 오늘 나 좀 도와줄 사람 있나?
    • 나: 오늘 교육학과랑 과 대항 축구 시합이 있어요. 죄송합니다, 교수님.
    • ※ 주로 '~ 대항'으로 쓴다.
대항전 (對抗戰)
발음 : [대ː항전 ]
명사 名詞
たいこうせん【対抗戦】
운동 경기에서 서로 맞서서 승부를 겨루는 시합.
スポーツ試合で1対1で戦って勝敗を競う試合。
  • 국가 대항전.
  • 대항전.
  • 대항전.
  • 대항전이 열리다.
  • 대항전에 나가다.
  • See More
  • 한일 국가 대항전을 앞두고 선수들이 훈련에 열심이다.
  • 감독은 다음 달 열리는 국가 대항전에 출전할 선수들을 선발했다.
  • 가: 어제 과 대항전으로 한 농구 시합에서 누가 이겼어?
  • 나: 영문학과의 승리로 끝났어.
  • ※ 주로 '~ 대항전'으로 쓴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