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성 (文學性)
발음 : [문학썽 ]
명사 名詞
ぶんがくせい【文学性】
문학 작품으로서의 가치나 예술성.
文学作品としての価値や芸術性。
- 문학성이 높다.
- 문학성이 떨어지다.
- 문학성이 뛰어나다.
- 문학성을 인정받다.
- 문학성을 잃다.
- 이 작품은 재미와 문학성을 겸비해 독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 비록 그가 정식 작가는 아니었지만, 그의 글은 문학성이 뛰어나 문학계의 인정을 받았다.
- 가: 당신의 글에는 예술성과 문학성은 없고 상업성만 존재해.
- 나: 그럼 내가 돈을 벌 목적으로만 글을 쓴다는 말이요?
문학인 (文學人)
발음 : [문하긴 ]
명사 名詞
ぶんがくしゃ【文学者】
문학을 창작하거나 연구하는 사람.
文学を創作したり、研究する人。
- 여성 문학인.
- 대표적인 문학인.
- 유명한 문학인.
- 젊은 문학인.
- 문학인의 길. See More
- 당대의 문학인들은 사회의 현실을 문학 작품에 고스란히 반영하려 했다.
- 나는 비록 가난한 문학인이지만 작품을 쓸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사했다.
- 몇몇 문학인들은 문예 잡지를 중심으로 현실 비판적인 문학 활동을 펼쳐 나갔다.
- 유의어 문학가
문학 작품 (文學作品)
참고 : 붙여쓰기를 허용한다.
ぶんがくさくひん【文学作品】
시, 소설, 희곡 등 문학에 속하는 예술 작품.
詩・小説・戯曲など、文学ジャンルに属する芸術作品。
- 문학 작품을 감상하다.
- 문학 작품을 보다.
- 문학 작품을 쓰다.
- 문학 작품을 읽다.
- 문학 작품을 창작하다.
- 내 유일한 취미는 다양한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이다.
- 국어 교과서에는 학생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문학 작품들이 실려 있다.
- 가: 중학생인 아들이 읽을 만한 문학 작품 좀 추천해 주세요.
- 나: 아직 중학생이니 시나 단편 소설부터 시작하는 게 어떨까요?
문학적1 (文學的) ★
발음 : [문학쩍 ]
명사 名詞
ぶんがくてき【文学的】
문학의 특성을 가진 것. 또는 문학과 관련된 것.
文学の特性をもったこと。または、文学にかかわること。
- 문학적인 가치.
- 문학적인 글.
- 문학적인 의미.
- 문학적인 작품.
- 문학적인 제목. See More
- 이 책은 문학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문학적인 감성을 키우기 위해 다양한 책을 읽는 것이 필요하다.
문학적2 (文化的) ★
발음 : [문학쩍 ]
관형사 冠形詞
ぶんがくてき【文学的】
문학의 특성을 가진. 또는 문학과 관련된.
文学の特性をもったさま。または、文学にかかわるさま。
- 문학적 가치.
- 문학적 감수성.
- 문학적 연구.
- 문학적 유산.
- 문학적 의의. See More
- 승규가 써 준 편지는 문학적 표현들로 넘쳤다.
- 유명한 시인인 김 교수는 어릴 적부터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보였다고 한다.
- 가: 이번에 발표하신 소설에서 가장 신경 쓰신 부분이 무엇인가요?
- 나: 이번 작품은 문학적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것에 힘을 많이 기울였어요.
문항 (問項) ★
발음 : [문ː항 ]
명사 名詞
문제의 항목.
問題の項目。
- 객관식 문항.
- 일 번 문항.
- 주관식 문항.
- 총 백 문항.
- 이번 수학 능력 시험의 언어 영역에는 총 육십 문항이 출제된다.
- 그 시험은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과 창의성을 묻는 문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 내가 지금 설문 조사를 하고 있으니까 이 설문지 좀 작성해 줘.
- 나: 그런데 여기 삼 번 문항과 오 번 문항은 설문 조사의 목적과는 좀 맞지 않는 것 같은데?
문헌 (文獻) ★
발음 : [문헌 ]
명사 名詞
- 1. ぶんけん【文献】옛날의 제도나 문물을 아는 데 증거가 되는 자료나 기록.昔の制度や文物を知るために証拠となる資料や記録。
- 문헌 기록.
- 문헌 자료.
- 문헌이 존재하다.
- 문헌을 분석하다.
- 문헌을 살펴보다. See More
- 조선 시대의 문헌 자료를 통해 우리는 그 시대의 문화와 생활상을 알 수 있다.
- 이번에 발굴된 유물은 그 어떤 문헌 기록에도 등장하지 않아 가치가 높은 것이었다.
- 가: 전통적인 제조법으로 술을 담그신다고 들었습니다.
- 나: 네, 저희는 조선 시대 문헌 속에 나오는 대로 술을 담그고 있어요.
- 2. ぶんけん【文献】연구의 자료가 되는 책이나 문서.研究の資料になる書物や文書。
- 참고 문헌.
- 문헌을 모으다.
- 문헌을 인용하다.
- 문헌을 참고하다.
- 문헌을 찾다.
- 나는 논문을 쓸 때 많은 문헌들을 참고했다.
- 김 교수는 학생들에게 항상 다양한 문헌들을 검토할 것을 권했다.
- 가: 이번 보고서를 쓸 때 어떤 책들과 논문을 참고해서 쓴 거야?
- 나: 보고서 제일 뒤에 참고 문헌 목록이 있으니까 그 목록을 봐.
문헌 정보학 (文獻情報學)
참고 : 붙여쓰기를 허용한다.
としょかんじょうほうがく【図書館情報学】
다양한 정보 자료의 가공, 검색, 수집, 이용, 조작 등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
多様な情報資料の加工・検索・収集・利用・造作などについて研究する学問。
- 문헌 정보학 분야.
- 문헌 정보학 전공.
- 문헌 정보학을 공부하다.
- 문헌 정보학을 연구하다.
- 문헌 정보학을 전공하다.
- 나는 대학에서 문헌 정보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국립 도서관에 사서로 취직했다.
- 문헌 정보학의 목표는 정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 가: 도서관에서 일하고 싶은데 그러려면 문헌 정보학을 전공해야겠지?
- 나: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문헌 정보학을 전공하면 도움이 되겠지.
문헌학 (文獻學)
발음 : [문헌학 ]
활용 : 문헌학이[문헌하기], 문헌학도[문헌학또], 문헌학만[문헌항만]
명사 名詞
ぶんけんがく【文献学】
문헌 자료를 통해 한 민족이나 시대의 문화를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文献資料を通じて、ある民族や時代の文化を歴史的に研究する学問。
- 문헌학 분야.
- 문헌학을 공부하다.
- 문헌학을 전공하다.
- 문헌학에 관심을 갖다.
- 고전 문헌학은 문헌 자료를 통해 과거의 역사와 철학, 문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문헌학에 관심이 많은 강 교수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자료들을 수집해 분석했다.
- 문헌학을 전공하는 나는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며 그 시대의 모습을 알아보려 했다.
- 유의어 서지학
문형 (文型) ★
발음 : [문형 ]
명사 名詞
ぶんけい【文型】
문장의 구조, 종류, 기능 등에 의해 나누어진 문장의 유형.
文の構造・種類・機能などによって分けられた文の類型。
- 기본 문형.
- 복잡한 문형.
- 문형 연습.
- 문형을 이루다.
- 문형을 익히다. See More
- 가장 기본적인 문형은 ‘주어-서술어’의 구조라고 할 수 있다.
- 한국에 유학을 온 외국인 학생들이 다양한 한국어 문형을 연습하며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 가: 어떻게 하면 영어를 잘할 수 있을까?
- 나: 우선 영어의 기본적인 문형을 익힌 다음에 기본 문형들을 다양하게 응용해 봐.
'한국어기초사전 > 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어, 문화용품, 문화원, 문화유산, 문화인, 문화 인류학, 문화재, 문화적¹, 문화적², 묻-¹, 묻-², 묻다¹, 묻다², 묻다³ (0) | 2020.02.06 |
---|---|
문호¹, 문호², 문화, 문화계, 문화권, 문화부, 문화비, 문화사, 문화생활, 문화 시설 (0) | 2020.02.06 |
문풍지, 문필, 문필가, 문하, 문하생, 문학, 문학가, 문학계, 문학도, 문학상 (0) | 2020.02.06 |
문짝, 문책, 문책하다, 문체, 문초, 문초하다, 문턱, 문틀, 문틈, 문패 (0) | 2020.02.06 |
문제집, 문제화하다, 문젯거리, 문중, 문지기, 문지르다, 문지방, 문진, 문진하다, 문집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