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알고주알
발음 : [미주알고주알 ]
부사 副詞
あれやこれやと。ねほりはほり【根掘り葉掘り】
아주 사소한 일까지 속속들이.
とても細かい点までしつこく。
  • 미주알고주알 간섭하다.
  • 미주알고주알 말이 많다.
  • 미주알고주알 이르다.
  • 미주알고주알 참견하다.
  • 미주알고주알 캐다.
  • 지수는 엄마한테 동생의 거짓말을 미주알고주알 모두 일러바쳤다.
  • 딸아이는 수업을 마치고 집에 가면 엄마와 미주알고주알 학교 이야기를 한다.
  • 가: 미주알고주알 무슨 말이 그렇게 많니?
  • 나: 오늘 학교에서 재미있는 일이 있었단 말이에요.
미증유 (未曾有)
발음 : [미ː증유 ]
명사 名詞
みぞう【未曾有】
지금까지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
これまで一度もなかったこと。
  • 미증유의 사건.
  • 미증유의 사태.
  • 미증유의 수난.
  • 미증유의 위기.
  • 미증유의 파문.
  • See More
  •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 훼손으로 미증유의 환경 파괴가 우려된다.
  • 이번 지진의 엄청난 인명 피해는 미증유의 자연재해로 기록될 것이다.
  • 미증유의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으로 서민들의 삶은 나날이 어려워지고 있다.
미지 (未知)
발음 : [미ː지 ]
명사 名詞
みち【未知】
아직 알지 못함.
まだ知らないこと。
  • 미지의 나라.
  • 미지의 땅.
  • 미지의 섬.
  • 미지의 세계.
  • 미지의 세상.
  • See More
  • 탐험가들은 여기저기를 떠돌다가 미지의 원시 세계를 발견하였다.
  • 소년은 어디로 가겠다는 계획도 없이, 미지의 땅으로 무작정 떠나갔다.
  • 이십 년 전에는 아무도 몰랐던 미지의 섬이 지금은 인기 여행지가 되었다.
미지근하다 ★★
발음 : [미지근하다 ]
활용 : 미지근한[미지근한], 미지근하여[미지근하여](미지근해[미지근해]), 미지근하니[미지근하니], 미지근합니다[미지근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ぬるい。なまぬるい【生ぬるい】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은 더운 기운이 약간 있는 듯하다.
    冷たくも熱くもない暖かさがやや感じられる。
    • 미지근한 물.
    • 미지근한 음식.
    • 미지근한 찌개.
    • 국물이 미지근하다.
    • 밥이 미지근하다.
    • 보일러를 껐더니 방이 금방 미지근하게 식었다.
    • 커피가 식어서 미지근했다.
    • 가: 날씨가 추워서 국이 빨리 식네.
    • 나: 미지근하면 다시 데울까요?
  2. 2. ぬるい。なまぬるい【生ぬるい】。にえきらない【煮え切らない】
    행동, 태도, 관계 등이 분명하지 않고 흐리다.
    行動・態度・関係などがはっきりせず中途半端である。
    • 미지근한 대답.
    • 미지근한 자세.
    • 미지근한 태도.
    • 미지근한 표정.
    • 미지근하게 반응하다.
    • 잘못을 하고도 사과하지 않고 피하기만 하는 친구의 미지근한 태도에 화가 났다.
    • 남편은 깜짝 생일 파티를 준비했는데도 미지근한 반응인 아내의 모습에 실망했다.
    • 가: 요새 여자 친구랑 사이가 좋지도 않고 그렇다고 싸우지도 않고 미지근한 것 같아.
    • 나: 그럴 때일수록 서로 재미있는 일도 하고 여행도 다녀오고 노력해 봐.
미지수 (未知數)
발음 : [미ː지수 ]
명사 名詞
  1. 1. みちすう【未知数】
    수학에서, 아직 값이 밝혀지지 않은 수.
    数学で、まだ値が分かっていない数。
    • 미지수를 구하다.
    • 미지수를 찾다.
    • 미지수로 하다.
    • 수학의 방정식에서 미지수는 보통 알파벳 'x'로 표기한다.
    • 두 개의 미지수 값을 구하려면 방정식도 두 개가 있어야 한다.
    • 가: 수학 시험에 서술형 문제도 나오나요?
    • 나: 네. 미지수를 구하는 풀이 과정을 쓰는 문제예요.
  2. 2. みちすう【未知数】
    어떻게 될지 예상하기 어려운 일.
    どうなるか予想のつかないこと。
    • 결과가 미지수이다.
    • 결론은 미지수이다.
    • 가능할지 미지수이다.
    • 할 수 있을지 미지수이다.
    • 민준이가 과연 지수의 마음을 받아 줄지 미지수이다.
    • 태풍이 거세서 내일 비행기가 이륙할 수 있을지 미지수이다.
    • 가: 회사 면접시험은 잘 봤니?
    • 나: 응. 그런데 중간에 말실수를 해서 합격할 수 있을지 미지수야.
    • ※ 주로 '미지수이다'로 쓴다.
미진 (微塵)
발음 : [미진 ]
명사 名詞
みじん【微塵】
아주 작은 티끌이나 먼지. 또는 작고 변변치 못한 물건.
非常にこまかいちり。また、小さくてつまらないもの。
  • 미진 같은 존재.
  • 미진과 다름없다.
  • 미진에 불과하다.
  • 미진처럼 떠다니다.
  • 미진처럼 보잘것없다.
  • 우주에서 본 인간 세상은 한낱 미진에 불과할 것이다.
  • 부부의 사이는 점점 더 나빠져 남편은 아내에게 무관심하였고, 그에게 아내는 미진과도 다름없었다.
미진하다 (未盡 하다)
발음 : [미ː진하다 ]
활용 : 미진한[미ː진한], 미진하여[미ː진하여](미진해[미ː진해]), 미진하니[미ː진하니], 미진합니다[미ː진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つきない【尽きない】。ふじゅうぶんだ【不十分だ】
아직 다하지 못하거나 충분하지 못하다.
まだ終わっていないか、不十分である。
  • 미진한 느낌.
  • 미진한 상태.
  • 미진한 상황.
  • 준비가 미진하다.
  • 지원이 미진하다.
  • 노인 복지에 대한 정부의 예산 지원은 여전히 미진한 편이다.
  • 지수는 준비가 미진한 상태에서 학위 논문 심사를 받게 되어 많은 지적을 받았다.
  • 가: 귀한 손님이 오셨는데 대접이 미진하여 죄송합니다.
  • 나: 아닙니다, 정말 맛있게 먹었습니다.
  • 문형 : 1이 미진하다
미처 ★★
발음 : [미처 ]
부사 副詞
いまだ【未だ】。まだ。かつて。まえもって【前もって】。あらかじめ【予め】
행동, 동작, 생각 등이 아직 어떠한 정도 또는 상황에 이르기 그 전에 미리.
行動・動作・考えなどがまだ一定の水準や状況に至らないうちに。
  • 미처 모르다.
  • 미처 못 보다.
  • 미처 생각하지 못하다.
  • 미처 알지 못하다.
  • 미처 하지 못하다.
  • 나는 부모가 되기 전에는 부모가 얼마나 어려운 역할인지 미처 몰랐다.
  • 어릴 때에는 미처 알지 못했던 사실을 어른이 되고 나니 이제 알 것 같다.
  • 가: 우리가 조금 일찍 가서 지수가 준비하는 걸 도와 주자.
  • 나: 어머, 나는 미처 거기까지 생각하지 못했는데 좋은 생각이다.
  • ※ 주로 ' 못하다', '않다', '없다' 등과 같은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쓴다.
미천하다 (微賤 하다)
발음 : [미천하다 ]
활용 : 미천한[미천한], 미천하여[미천하여](미천해[미천해]), 미천하니[미천하니], 미천합니다[미천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びせん【微賤・微賎】。ひせん【卑賤】
신분이나 지위가 낮고 보잘것없다.
身分や地位が低くて卑しい。
  • 미천한 가문.
  • 미천한 사람.
  • 미천한 신분.
  • 미천한 신세.
  • 미천한 지위.
  • See More
  • 김 회장은 미천한 집안에서 태어나 혼자 힘으로 사업을 시작하여 성공하였다.
  • 이 사상가는 인간은 모두 존엄하며 평등한 존재로, 미천한 사람은 없다고 강조했다.
  • 가: 옛날에는 신분 차별이 엄격히 지켜져서 귀족 가문과 미천한 집안의 결혼은 상상조차 힘들었지.
  • 나: 지금도 집안이 차이가 너무 나면 결혼하기 어려운 건 똑같아.
  • 문형 : 1이 미천하다
미쳐-
(미쳐, 미쳐서, 미쳤다, 미쳐라)→미치다¹, 미치다²
미치다1 ★★
발음 : [미치다 ]
활용 : 미치어[미치어/ 미치여](미쳐[미처]), 미치니
동사 動詞
  1. 1. くるう【狂う】。きがちがう【気が違う】
    정신에 이상이 생겨 보통 사람과 다른 말과 행동을 하다.
    精神に異常が発生し、普通の人とは違う言動をする。
    • 미친 사람.
    • 미친 여자.
    • 갑자기 미치다.
    • 끝내 미치다.
    • 완전히 미치다.
    • 사람들은 이모가 딸을 교통사고로 잃은 뒤로 미쳤다고 했다.
    • 유민은 미친 사람처럼 잃어버린 반지를 정신없이 찾아 헤맸다.
    • 가: 옆집 아저씨가 정신이 좀 이상해졌다면서요?
    • 나: 네, 사업이 망하고 나서 저렇게 미쳤다네요.
    • 문형 : 1이 미치다
  2. 2. はっきょうする【発狂する】
    (낮잡는 말로) 일반적이지 않은 말이나 행동을 하다.
    普通でない言動をすることを卑しめていう語。
    • 미친 생각.
    • 미친 소리.
    • 미친 짓.
    • 미친 행동.
    • 형이 자본도 없이 창업을 하겠다고 했을 때 사람들은 미친 소리라고 비웃었다.
    • 아버지는 남들이 한 번도 시도하지 않은 것을 시도하는 건 미친 짓이라고 생각했다.
    • 가: 매일 사기만 치고 다니던 김 씨가 큰돈을 벌어서 떵떵거리며 산대.
    • 나: 그런 사람이 성공하다니 세상이 미친 거야.
    • 문형 : 1이 미치다
  3. 3. くるう【狂う】
    어떤 상태가 너무 심해서 정신이 없어질 정도로 괴로워하다.
    ある状態がひどすぎて、正気を失うほど苦しむ。
    • 미치게 가렵다.
    • 미치게 그립다.
    • 미치도록 보고 싶다.
    • 지겨워 미치다.
    • 화가 나서 미치다.
    • 승규는 매일 똑같은 일상이 지겨워 미치겠다고 생각했다.
    • 민준은 오늘 따라 웬일인지 여자 친구가 미치도록 보고 싶었다.
    • 가: 아이한테 그렇게 소리를 지르면 아이가 놀라잖아.
    • 나: 화가 나서 미칠 것 같아서 그랬어.
    • 문형 : 1이 미치다
  4. 4. むちゅうになる【夢中になる】。はまる。やみつきになる【病み付きになる】
    지나칠 정도로 심하게 빠지다.
    度が過ぎるほどひどく熱中する。
    • 공부에 미치다.
    • 노래에 미치다.
    • 도박에 미치다.
    • 사랑에 미치다.
    • 연극에 미치다.
    • See More
    • 언니는 요즘 신인 영화배우한테 미쳐서 모든 스케줄을 따라다닌다.
    • 아버지가 도박에 미쳐 있는 동안 우리 가족은 월세도 못 낼 정도로 어렵게 생활했다.
    • 가: 민준이가 여자 친구를 사귀어서 그런지 요즘 연락이 잘 안 돼.
    • 나: 민준이는 한번 여자에 미치면 일이고 뭐고 연애만 하잖아.
    • 문형 : 1이 2에/에게 미치다
관용구 · 속담(1)
미치다2 ★★
발음 : [미치다 ]
활용 : 미치어[미치어/ 미치여](미쳐[미처]), 미치니
동사 動詞
  1. 1. およぶ【及ぶ】
    어떤 기준이나 수준 등에 닿거나 이르다.
    ある基準や水準などに達する。
    • 생각이 미치다.
    • 실력이 미치다.
    • 손이 미치다.
    • 기대에 미치다.
    • 기록에 미치다.
    • See More
    • 아이에게 무슨 일이 생겼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미치자 나는 갑자기 불안해졌다.
    • 나는 내 실력이 지수에게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지만 지수를 따라잡기 위해 노력했다.
    • 가: 부모님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 같아서 죄송합니다.
    • 나: 아니다, 시험 성적은 그렇게 중요한 게 아니란다.
    • 문형 : 1이 2에/에게/로 미치다
  2. 2. およぶ【及ぶ】 。およぼす【及ぼす】
    영향이나 작용 등이 대상에 가해지다. 또는 그것을 가하다.
    影響や作用などが対象に加わる。また、それを加える。
    • 압력이 미치다.
    • 영향력이 미치다.
    • 작용이 미치다.
    • 힘이 미치다.
    • 영향을 미치다.
    • 아무리 나를 위협하는 압력이 나에게 미쳐 와도 나는 잘 이겨 낼 것이다.
    • 내 선택은 나의 삶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삶에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가: 부모는 정말 아이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존재인 것 같아.
    • 나: 맞아, 부모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한 거야.
    • 문형 : 1이 2에/에게 미치다, 1이 2에/에게 3을 미치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