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하다 ★★
발음 : [바람지카다 ]
활용 : 바람직한[바람지칸], 바람직하여[바람지카여](바람직해[바람지캐]), 바람직하니[바람지카니], 바람직합니다[바람지캄니다]
형용사 形容詞
のぞましい【望ましい】
좋다고 생각할 만하다.
良いと思われる。
- 바람직한 방법.
- 바람직한 방향.
- 바람직한 사회.
- 바람직한 생각.
- 바람직한 자세. See More
- 방송사는 시청자와의 대화 모임을 적극적으로 주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오늘은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논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특정한 생각만을 강요하는 문학 수업은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 가: 저는 일주일에 세 번씩 자전거를 타고 있어요.
- 나: 그렇게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건 아주 바람직해요.
- 문형 : 1이 바람직하다
- 유의어 바람직스럽다
바람피우다
발음 : [바람피우다 ]
활용 : 바람피우어, 바람피우니
동사 動詞
うわきする【浮気する】
배우자나 애인 몰래 다른 이성과 애정 관계를 가지다.
配偶者や恋人を騙して他の異性と愛情関係を持つ。
- 바람피우는 장면.
- 바람피우는 현장.
- 바람피운 혐의.
- 다른 여자와 바람피우다.
- 몰래 바람피우다.
- 김 부장은 아내 몰래 바람피운 것이 걸려 얼마 전 이혼을 당했다.
- 그녀는 남편이 해외로 출장을 간 사이에 다른 남자를 만나 바람피웠다.
- 가: 요즘 아내가 수상해. 나 말고 다른 남자가 있는 것 같아.
- 나: 설마. 아닐 거야. 형수님이 바람피우실 분은 아니니까 무슨 일이 있는지 잘 얘기해 봐.
- 문형 : 1이 바람피우다
바랑
발음 : [바ː랑 ]
명사 名詞
스님들이 등에 지고 다니는 자루 모양의 큰 주머니.
僧侶が背負う大きな袋。
- 잿빛 바랑.
- 바랑을 메다.
- 바랑을 지다.
- 바랑을 챙기다.
- 바랑에 넣다.
- 할머니는 시주를 받으러 온 스님의 바랑에 쌀을 부어 주었다.
- 스님은 메고 있던 바랑을 내려놓고 의자에 앉아서 쉬고 있었다.
- 스님 한 분이 우리 집의 대문 밖에서 바랑을 진 채 목탁을 두드리고 있었다.
바래다1 ★
발음 : [바ː래다 ]
활용 : 바래어[바ː래어](바래[바ː래]), 바래니[바ː래니]
동사 動詞
あせる【褪せる】。さめる【褪める】
볕이나 습기 때문에 색이 희미해지거나 누렇게 변하다.
日差しや湿気によって、色が薄くなったり黄色くなったりする。
- 바랜 사진.
- 빛이 바래다.
- 색이 바래다.
- 햇빛에 바래다.
- 누렇게 바래다.
- 나는 색이 누렇게 바랜 옛 일기장을 들여다보며 추억에 잠겼다.
- 오래 입어 색이 바랜 셔츠는 식초를 넣고 삶으면 하얗게 변한다.
- 아버지의 지갑 속에 있는 할머니의 사진은 오래되어 색이 누렇게 바랬다.
- 가: 누렇게 바랜 그 사진 뭐야?
- 나: 우리 엄마 젊은 시절 사진이야.
- 문형 : 1이 바래다
바래다2
발음 : [바래다 ]
활용 : 바래어, 바래니
동사 動詞
みおくる【見送る】
가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배웅하거나 바라보다.
帰る人をある所まで行って送ったり見守ったりする。
- 바래고 있다.
- 바래다 드리다.
- 집까지 바래다.
- 나는 거동이 불편하신 할머니를 집으로 바래다 드리고 돌아왔다.
- 승규는 이 동네 지리에 어두운 고모를 버스 정류장까지 바래다 드렸다.
- 가: 제가 집까지 바래다 드릴까요?
- 나: 아니요, 괜찮아요. 그냥 저 혼자 갈게요.
- 문형 : 1이 2를 바래다
바래다주다 ★★
발음 : [바래다주다 ]
활용 : 바래다주어, 바래다주니
동사 動詞
みおくる【見送る】
가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배웅해 주다.
帰る人をある所まで行って送る。
- 공항에 바래다주다.
- 역에 바래다주다.
- 정류장에 바래다주다.
- 집에 바래다주다.
- 학교로 바래다주다.
- 나는 친구를 보내기가 아쉬워서 근처 버스 정거장에 바래다주었다.
- 애인을 집까지 바래다주고 집에 돌아오니 벌써 밤 1시가 되어 있었다.
- 가: 택시 타고 왔니? 버스는 끊겼을 텐데.
- 나: 아니요. 친구가 차로 바래다줬어요.
- 문형 : 1이 2를 바래다주다
바레인 (Bahrain)
명사 名詞
バーレーン
아시아 서남부의 페르시아만에 있는 섬나라. 여덟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생산물로는 석유가 있다. 공용어는 아랍어와 영어이고 수도는 마나마이다.
アジア西南部のペルシア湾にある島国。8つの島からなり、主要生産物としては石油がある。公用語はアラブ語と英語で、首都はマナーマ。
바로 ★★★
발음 : [바로 ]
부사 副詞
- 1. まっすぐに【真っ直ぐに】。いっちょくせんに【一直線に】모양이 비뚤어지거나 굽은 데가 없이 곧게.曲がったり歪んだりせずまっすぐに。
- 바로 그리다.
- 바로 긋다.
- 바로 쌓다.
- 바로 자라다.
- 바로 자르다.
- 미술 수업 시간에는 선을 바로 긋는 연습부터 했다.
- 어머니는 화초가 위로 바로 자라도록 화분에 나무 막대를 꽂았다.
- 가: 앞머리가 조금 비뚤어진 것 같아요.
- 나: 다시 바로 잘라 드릴게요.
- 2. せいかくに【正確に】。きちんと。ただしく【正しく】거짓이나 꾸밈이 없이 사실 그대로.嘘や偽りがなく、ありのままに。
- 바로 대다.
- 바로 대답하다.
- 바로 말하다.
- 아이의 눈빛을 보니 사실을 바로 말하는 것 같지 않았다.
- 남자는 아버지가 어디 있는지 바로 대지 않으면 때리겠다고 협박했다.
- 가: 언제까지 경찰서에 있어야 됩니까?
- 나: 묻는 말에 바로 대답하실 때까지 여기서 나갈 수 없습니다.
- 3. ただしく【正しく】일의 이치나 원리 등에 맞게.物事の道理や原理などに合うように。
- 바로 고치다.
- 바로 맞히다.
- 바로 세우다.
- 바로 쓰다.
- 바로 알다. See More
- 할머니는 늘 마음을 바로 써야 복을 받는다고 말씀하셨다.
- 얼마나 빨리 목표를 이루느냐보다 목표를 바로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 가: 이번 사건은 그냥 넘어갈 수가 없군요. 어떻게 처리할 거죠?
- 나: 이 사건의 진실을 바로 알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4. ただしく【正しく】。きちんと정해진 방법이나 기준 등에 맞게.決められた方法や基準などに合うように。
- 바로 달다.
- 바로 사용하다.
- 바로 쓰다.
- 바로 앉다.
- 바로 입다.
- 민준이는 언제나 모자를 바로 쓰지 않고 기울여 썼다.
- 선생님들은 아침마다 교문 앞에서 교복을 바로 입지 않는 학생들을 잡았다.
- 가: 승규야, 바로 앉아서 공부해야지.
- 나: 잠깐 피곤해서 엎드려 있었어요.
- 5. すぐ【直ぐ】。ただちに【直ちに】。さっそく【早速】시간 차를 두지 않고 곧장.間を置かずにすぐ。
- 바로 가다.
- 바로 나가다.
- 바로 들어오다.
- 바로 시작하다.
- 바로 연락하다. See More
- 민준이는 밖에서 무슨 소리가 들리자 전화를 바로 끊었다.
- 지수는 너무 피곤해서 침대에 눕자마자 바로 잠이 들었다.
- 가: 수학 여행 잘 다녀올게요.
- 나: 거기 도착하면 바로 집에 연락해.
- 6. すぐ【直ぐ】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아주 가까이.時間的・空間的にとても近く。
- 바로 눈앞.
- 바로 다음.
- 바로 뒤.
- 바로 앞.
- 바로 옆.
- 할아버지는 안경을 바로 눈앞에 두고도 찾지 못하셨다.
- 승규는 비가 와서 택시를 타고 바로 집 앞까지 가서 내렸다.
- 가: 이 근처에 은행이 어디 있어요?
- 나: 바로 저 건물 앞에서 오른쪽으로 가세요.
- 7. まさに。まちがいなく【間違いなく】。ほかならない。ちょうど다름이 아니라 곧.他でもなくまさに。
- 바로 거기.
- 바로 그것.
- 바로 그때.
- 바로 너.
- 바로 오늘. See More
- 그토록 기다렸던 소풍 날이 바로 오늘이다.
- 문을 열고 들어온 사람은 내가 찾던 바로 그 사람이었다.
- 가: 유민이네 집이 이 근처였던 것 같은데.
- 나: 바로 저기야.
바로미터 (barometer)
명사 名詞
- 1. バロメーター。しひょう【指標】수준이나 변화의 정도를 알고 판단하는 기준.水準や変化の程度を知って判断する基準。
- 건강의 바로미터.
- 시장의 바로미터.
- 바로미터 역할.
- 바로미터가 되다.
- 바로미터로 삼다.
- 대변은 건강 상태를 보여 주는 바로미터이다.
- 과자는 충동구매 경향이 강하여 경기 회복의 바로미터로 여겨진다.
- 과거 몇 년간의 추세를 보여주는 기업의 회계는 성장과 쇠퇴를 나타내는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 가: 몸이 피곤하거나 과로한 날에는 입술이 보랏빛이 돼요.
- 나: 네, 그래서 입술은 건강의 바로미터라고도 하죠.
- 2. バロメーター。きあつけい【気圧計】대기의 압력을 재는 장치.大気の圧力を測る装置。
- 간이 바로미터.
- 선박용 바로미터.
- 휴대용 바로미터.
- 바로미터를 설치하다.
- 바로미터로 측정하다.
- 낚시꾼들은 바로미터를 사용하여 기후 변동에 민감한 물고기의 이동을 추적하기도 한다.
- 바로미터로 기압 변화를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하면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 가: 선생님, 날씨는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 거예요?
- 나: 기상청에서 바로미터로 대기의 압력을 측정해서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날씨를 예측합니다.
바로바로
발음 : [바로바로 ]
부사 副詞
すぐに【直ぐに】。ただちに【直ちに】。さっそく【早速】
그때그때 곧.
その都度に早速。
- 바로바로 만들다.
- 바로바로 이야기하다.
- 바로바로 치우다.
- 바로바로 해결하다.
- 바로바로 해치우다.
- 오해가 생기면 즉시 대화를 해서 바로바로 푸는 것이 좋다.
- 나는 어떤 임무가 주어지면 미루지 않고 바로바로 해치워 버리는 성격이다.
- 가: 무슨 일 있으면 엄마한테 바로바로 전화해.
- 나: 네, 걱정하지 마세요. 도착하면 연락할게요.
'한국어기초사전 > ㅂ'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른길, 바른대로, 바른말, 바른손, 바른쪽, 바른편, 바리바리, 바리케이드, 바리톤, 바바리 (0) | 2020.02.06 |
---|---|
바로잡다, 바로잡히다, 바로크, 바르-¹, 바르-², 바르다¹, 바르다², 바르다³, 바르르, 바른 (0) | 2020.02.06 |
바람개비, 바람결, 바람기, 바람나다, 바람둥이, 바람막이, 바람맞다, 바람맞히다, 바람잡이, 바람직스럽다 (0) | 2020.02.06 |
바라다보다, 바라보-, 바라보다, 바라보이다, 바라봐-, 바라지다¹, 바라지다², 바락, 바락바락, 바람¹, 바람², 바람³ (0) | 2020.02.06 |
바둥거리다, 바둥대다, 바둥바둥, 바둥바둥하다, 바드득바드득, 바득바득, 바들바들, 바들바들하다, 바라-, 바라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