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 (發達) ★★
발음 : [발딸 ]
명사 名詞
  1. 1. はったつ【発達】
    신체, 정서, 지능 등이 성장하거나 성숙함.
    身体、精神、知能などが成長したり成熟したりすること。
    • 시각 발달.
    • 뇌의 발달.
    • 운동 신경의 발달.
    • 이성의 발달.
    • 지능의 발달.
    • See More
    • 적당한 운동은 신체의 발달을 촉진하여 운동 능력을 높여 준다.
    • 아이들의 감수성 발달이 중요한 이유는 사회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 가: 균형 있는 두뇌의 발달을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나: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다양한 경험을 많이 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2. はったつ【発達】
    학문, 기술, 문명, 사회 등의 현상이 보다 높은 수준에 이름.
    学問、技術、文明、社会などの現象がより高い水準になること。
    • 과학 기술의 발달.
    • 문화의 발달.
    • 예술의 발달.
    • 인터넷의 발달.
    • 학문의 발달.
    • See More
    • 문학의 발달이 사람들의 생활을 풍요롭게 만든다.
    • 의학 기술의 발달은 점차 불치병까지도 정복해 나가고 있다.
    • 오늘날은 교통의 발달로 인해 어디든 쉽게 갈 수 있게 되었다.
    • 그는 새로운 시도로 현대 영상 예술의 발달에 한 획을 그은 사람이다.
    • 가: 통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가능하게 됐죠.
    • 나: 통신 기기의 발달도 한몫한 것 같아요.
  3. 3. はったつ【発達】
    어떤 것의 세력이나 규모 등이 점차 커짐.
    勢力や規模などが次第に大きくなること。
    • 고기압의 발달.
    • 저기압의 발달.
    • 태풍의 발달.
    • 발달이 되다.
    • 발달을 하다.
    •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생기는 열이 태풍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 일기 예보에서 비구름의 강한 발달로 이번 주 내내 비가 온다고 했다.
    • 이곳은 옛날부터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살아서 평야가 발달이 되어 있다.
    • 가: 기압골의 발달로 비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 나: 네, 외출하실 때 우산도 챙기시기 바랍니다.
발달되다 (發達 되다)
발음 : [발딸되다 /발딸뒈다 ]
동사 動詞
  1. 1. はったつする【発達する】
    신체, 정서, 지능 등이 성장되거나 성숙되다.
    身体、精神、知能などが成長したり成熟したりする。
    • 감수성이 발달되다.
    • 골격이 발달되다.
    • 근육이 발달되다.
    • 두뇌가 발달되다.
    • 미각이 발달되다.
    • See More
    • 인간은 모든 생물 중에서 가장 지능이 발달되어 있다.
    • 태권도는 조상의 얼이 담긴 우리나라 고유의 운동으로, 신체가 조화롭게 발달되도록 단련하는 전신 운동이다.
    • 가: 양손을 자주 사용하면 양쪽 뇌가 모두 발달된대.
    • 나: 그럼 상대적으로 덜 사용하게 되는 왼손도 많이 써야겠군.
    • 문형 : 1이 발달되다
  2. 2. はったつする【発達する】
    학문, 기술, 문명, 사회 등의 현상이 보다 높은 수준에 이르게 되다.
    学問、技術、文明、社会などの現象がより高い水準になる。
    • 과학이 발달되다.
    • 기술이 발달되다.
    • 문명이 발달되다.
    • 문화가 발달되다.
    • 산업이 발달되다.
    • See More
    •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인쇄술이 발달되어 팔만대장경이나 금속 활자 등 찬란한 인쇄 문화를 남겼다.
    • 노인 복지가 잘 발달된 선진국에서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이 호황을 누리기도 한다.
    • 가: 이렇게 높은 빌딩을 세우는 데 이 년도 채 안 걸렸다니 정말 놀라워.
    • 나: 과학 기술이 발달된 덕분이지.
    • 문형 : 1이 발달되다
  3. 3. はったつする【発達する】
    어떤 것의 세력이나 규모 등이 점차 커지게 되다.
    勢力や規模などが次第に大きくなる。
    • 고기압이 발달되다.
    • 기압골이 발달되다.
    • 산기슭이 발달되다.
    • 저기압이 발달되다.
    • 태풍이 발달되다.
    • 가을에는 대륙성 고기압이 점차 발달되어 기온이 선선해진다.
    • 임진강과 한강이 합쳐지는 서부에는 기름진 평야가 넓게 발달되어 있다.
    • 가: 이 나라는 적도 부근에 위치해서 일 년 내내 무덥단다.
    • 나: 그래서 늪지가 발달됐군요.
    • 문형 : 1이 발달되다
발달사 (發達史)
발음 : [발딸사 ]
명사 名詞
はったつし【発達史】
어떤 분야가 발달해 온 역사.
その分野が発達してきた歴史。
  • 문화 발달사.
  • 항공 발달사.
  • 교육의 발달사.
  • 방송의 발달사.
  • 통신의 발달사.
  • 차 박물관에서는 차 문화의 발달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시를 하고 있다.
  • 이 장에서는 원격 교육의 발달사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 가: 화폐의 사용이 갖는 의의는 무엇입니까?
  • 나: 화폐의 사용은 조선 후기의 자본주의 발달사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 주로 '~(의) 발달사'로 쓴다.
발달시키다 (發達 시키다)
발음 : [발딸시키다 ]
동사 動詞
  1. 1. はったつさせる【発達させる】
    신체, 정서, 지능 등을 성장하거나 성숙하게 하다.
    身体、精神、知能などを成長させたり成熟させたりする。
    • 근육을 발달시키다.
    • 뇌를 발달시키다.
    • 신체를 발달시키다.
    • 정서를 발달시키다.
    • 지능을 발달시키다.
    • 아이들은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사고의 수준을 크게 발달시켰다.
    • 나는 다리가 약한 편이라 하체 근육을 발달시켜 주는 운동을 꾸준히 하고 있다.
    • 가: 저는 매일 아이에게 동화책을 읽어 주고 있어요.
    • 나: 그렇게 하면 아이의 정서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더군요.
    • 문형 : 1이 2를 발달시키다
  2. 2. はったつさせる【発達させる】
    학문, 기술, 문명, 사회 등의 현상을 보다 높은 수준에 이르게 하다.
    学問、技術、文明、社会などの現象をより高い水準にする。
    • 기술을 발달시키다.
    • 문화를 발달시키다.
    • 사회를 발달시키다.
    • 산업을 발달시키다.
    • 의학을 발달시키다.
    • 인간은 문자를 만들어 기록하는 문화를 발달시켜 왔다.
    • 많은 국가들이 전기와 석유를 사용한 여러 산업을 발달시켜 인간 생활을 풍요롭게 했다.
    • 그 나라는 흙의 품질이 우수하고 매장량이 풍부하여 일찍부터 도자기 공업을 발달시켰다.
    • 가: 우리나라는 중국과 문물을 주고받으며 문명과 문화를 발달시켜 왔습니다.
    • 나: 중국뿐만이 아니라 일본과도 교류가 있었죠?
    • 문형 : 1이 2를 발달시키다
  3. 3. はったつさせる【発達させる】
    어떤 것의 세력이나 규모 등을 점차 커지게 하다.
    勢力や規模などを次第に大きくする。
    • 고기압을 발달시키다.
    • 기압골을 발달시키다.
    • 저기압을 발달시키다.
    • 평야를 발달시키다.
    • 태풍을 발달시키다.
    • 태풍이 비구름을 발달시켜 주말 내내 비가 왔다.
    • 이곳에 강이 흐르면서 하류에 커다란 평야를 발달시켰다.
    • 가: 차가운 공기가 서해를 지나면서 구름을 발달시켜 오늘 오후부터 눈이 내린다고 하네요.
    • 나: 그러면 오전에 얼른 바깥일을 마치고 집에 가야겠어요.
    • 문형 : 1이 2를 발달시키다
발달하다 (發達 하다)
발음 : [발딸하다 ]
동사 動詞
  1. 1. はったつする【発達する】
    신체, 정서, 지능 등이 성장하거나 성숙하다.
    身体、精神、知能などが成長したり成熟したりする。
    • 근육이 발달하다.
    • 뇌가 발달하다.
    • 신체가 발달하다.
    • 언어가 발달하다.
    • 지능이 발달하다.
    • 어린아이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울음으로 표현하다가 언어가 발달하면 말로 표현하게 된다.
    • 세 살 이전에 부모에게 심하게 야단을 맞은 아이는 뇌가 덜 발달해 지능이 낮을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가: 나는 턱 근육이 발달해서 턱이 사각 턱이야.
    • 나: 딱딱한 걸 많이 먹으면 턱이 커질 수 있대.
    • 문형 : 1이 발달하다
  2. 2. はったつする【発達する】
    학문, 기술, 문명, 사회 등의 현상이 보다 높은 수준에 이르다.
    学問、技術、文明、社会などの現象がより高い水準になる。
    • 기술이 발달하다.
    • 문명이 발달하다.
    • 복지가 발달하다.
    • 사회가 발달하다.
    • 의학이 발달하다.
    • See More
    • 복지가 잘 발달한 사회는 그렇지 못한 사회보다 행복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 나는 과학이 아무리 발달한다고 해도 시간 여행을 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가: 요즘에는 의학이 발달해서 암이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니래.
    • 나: 의학의 수준이 많이 높아지긴 했어도 암은 여전히 고치기가 어려워.
    • 문형 : 1이 발달하다
  3. 3. はったつする【発達する】
    어떤 것의 세력이나 규모 등이 점차 커지다.
    勢力や規模などが次第に大きくなる。
    • 고기압이 발달하다.
    • 기압골이 발달하다.
    • 저기압이 발달하다.
    • 평야가 발달하다.
    • 태풍이 발달하다.
    • 소나기 구름이 발달하면 구름이 커지면서 물방울이 떨어져 소나기가 내리게 된다.
    • 약했던 태풍이 매우 강한 중형 급으로 발달하면서 피해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 일반적으로 고기압이 발달하는 지역은 날씨가 좋고, 저기압이 발달하는 지역은 비가 올 때가 많다.
    • 가: 오늘은 하늘이 뿌연 게 황사가 나타나는 것 같네요.
    • 나: 일기 예보에서 중국 북부에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황사가 몰려올 수 있댔어요.
    • 문형 : 1이 발달하다
발대식 (發隊式)
발음 : [발때식 ]
활용 : 발대식이[발때시기], 발대식도[발때식또], 발대식만[발때싱만]
명사 名詞
けつだんしき【結団式】。ほっそくしき【発足式】
어떤 단체가 만들어져 활동을 시작함을 알리는 공식적인 행사.
ある団体が作られ活動を始めることを知らせる公式的な行事。
  • 창단 발대식.
  • 사업의 발대식.
  • 발대식을 가지다.
  • 발대식을 개최하다.
  • 발대식을 하다.
  • 구단주는 구단 창단 발대식에서 연설을 했다.
  • 국가 대표 선수들은 올림픽 개최지로 떠나기 전에 발대식을 가졌다.
  • 가: 이 해외 자원봉사 단체는 벌써 활동을 시작한 거야?
  • 나: 아니. 아직 발대식도 하지 않았어.
발돋움
발음 : [발도둠 ]
명사 名詞
  1. 1. せのび【背伸び】
    키를 키우거나 걷는 소리가 나지 않게 하려고 발뒤꿈치를 높이 들고 발끝으로 섬.
    身の丈を高くしたり、歩く時に音を立てなかったりするためにつま先で立つこと。
    • 발돋움 동작.
    • 발돋움을 하다.
    • 아킬레스건이 끊어지면 발뒤꿈치를 들고 걷거나 발돋움 동작은 할 수 없게 된다.
    • 그는 면회를 와 준 친구들과 헤어지는 것이 아쉬워 그들이 돌아가는 뒷모습을 발돋움을 하고 지켜보았다.
    • 가: 앞 사람들 때문에 앞이 하나도 안 보여.
    • 나: 발돋움이라도 해서 봐.
  2. 2. ひやく【飛躍】
    어떤 일이나 상황이 지금보다 좋은 상태로 나아감.
    あることや状況が今より良い状態に進むこと。
    • 발돋움을 시작하다.
    • 발돋움을 하다.
    • 그 나라는 음악, 건축, 예술이 꽃 피는 유럽 문화의 중심지로 발돋움을 시작하였다.
    • 국민의 의식 수준을 높여 간다면 그 나라는 머지않아 세계가 부러워하는 선진국으로 발돋움을 하게 될 것이다.
    • 가: 귀사의 향후 십 년을 전망해 주십시오.
    • 나: 앞으로 십 년 내에 저희 회사는 세계 삼 대 인터넷 업체로 발돋움을 할 것입니다.
발돋움하다
발음 : [발도둠하다 ]
동사 動詞
  1. 1. せのびする【背伸びする】。のびあがる【伸び上がる】
    키를 키우거나 걷는 소리가 나지 않게 하려고 발뒤꿈치를 높이 들고 발끝으로 서다.
    身の丈を高くしたり、歩く時に音を立てなかったりするためにつま先で立つ。
    • 발돋움하고 올라서다.
    • 발돋움한 모습.
    • 놀다가 밤늦게 집에 들어온 그녀는 부모님이 깨지 않게 발돋움하여 방으로 들어갔다.
    • 그는 앞을 가로막고 있는 사람들 때문에 발돋움하여 무대 위에서 공연을 펼치고 있는 가수를 보았다.
    • 가: 내일 신체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키가 입사 원서에 쓴 것보다 작게 나오면 어떡하지?
    • 나: 키 잴 때, 살짝 발돋움해.
    • 문형 : 1이 발돋움하다
  2. 2. ひやくする【飛躍する】
    어떤 일이나 상황이 지금보다 좋은 상태로 나아가다.
    あることや状況が今より良い状態に進む。
    • 국제적 기업으로 발돋움하다.
    • 세계적인 학자로 발돋움하다.
    • 작은 가전 회사에 지나지 않았던 그 회사는 휴대 전화 사업으로 세계 최고 전자 브랜드로 발돋움했다.
    • 경제 위기에서의 실패를 거울삼아 이제 우리 기업도 생존 경쟁력을 향상시켜 초우량 기업으로 발돋움해야 할 것이다.
    • 가: 세계 수십 개 나라에 우리 회사 지점이 생겼어요.
    • 나: 우리 회사 제품은 이제 세계적인 가구로 발돋움했군요.
    • 문형 : 1이 2로 발돋움하다
    • 문형참고 : '2를 향하여'로도 쓴다.
발동 (發動)
발음 : [발똥 ]
명사 名詞
  1. 1. はつどう【発動】
    어떤 일이나 생각 등이 일어나기 시작함.
    あることや考えなどが起き始めること。
    • 오기 발동.
    • 장난기 발동.
    • 호기심 발동.
    • 의지의 발동.
    • 발동이 걸리다.
    • 어린 아이들은 대개 부모님이 칭찬을 해줌으로써 공부에 발동이 걸린다.
    • 큐피트는 날개를 달고 이리저리 돌아다니다가 장난기가 발동을 하면 사랑의 화살을 쏘아 사랑을 심어 주었다.
    • 현대인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단순한 호기심의 발동만이 아니라 살고자 하는 의지의 발동이라고 보아야 한다.
    • 가: 이건 누가 이렇게 다 헤집어 놓은 거야?
    • 나: 민준이의 호기심 발동으로 그렇게 됐어.
  2. 2. はつどう【発動】
    엔진 등의 동력을 일으킴.
    エンジンなどの動力を起すこと。
    • 경운기 발동.
    • 발동이 꺼지다.
    • 발동을 걸다.
    • 발동을 끄다.
    • 드디어 경운기 발동이 꺼지고 같이 일하던 아저씨들이 모두들 논바닥에 둘러앉았다.
    • 경운기를 타고 있던 아저씨는 발동을 끄지 않은 채 운전석에서 내렸다.
    • 가: 어머니, 어서 나오세요. 아버지가 차에 발동을 걸어 놓고 기다리고 계세요.
    • 나: 오냐. 지금 나간다.
  3. 3. はつどう【発動】
    국가 기관이 법적 권한 등을 행사함.
    国家機関が法的権限などを行使すること。
    • 경호권 발동.
    • 금융 정책 발동.
    • 긴급 조치 발동.
    • 자위권 발동.
    • 발동이 되다.
    • See More
    • 긴급 사태가 수습되자 대통령은 공무원들의 비상 대기 명령 발동을 해제하였다.
    • 국회 의장은 다음날 오전 열 시까지 의장석을 비우지 않으면 경호권의 발동을 하겠다고 경고했다.
    • 가: 정부에서 토지 수용권을 발동한다는 것이 사실입니까?
    • 나: 네. 토지 수용권의 발동은 행정에 대한 국민의 반감을 살 가능성이 있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발동기 (發動機)
발음 : [발똥기 ]
명사 名詞
はつどうき【発動機】
동력을 일으키는 기계.
動力を起こす機械。
  • 가솔린 발동기.
  • 자동차 발동기.
  • 증기 발동기.
  • 풍력 발동기.
  • 항공 발동기.
  • See More
  • 그는 소형 발동기를 자전거에 장착해 오토바이처럼 연료로 가는 자전거를 만들었다.
  • 비행 속도를 두 배 증가시키려면 발동기의 힘을 열 배나 늘려야 한다.
  • 가: 자동차의 엔진 소리가 이상해.
  • 나: 정비소에 가서 자동차 발동기 검사를 해 보는 게 좋겠어.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