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간 (山間) ★
발음 : [산간 ]
명사 Noun
being mountainous; being hilly; mountain
산과 산 사이에 있는 골짜기가 많은 곳.
A place abundant in valleys between mountains.
- 산간 마을.
- 산간 오지.
- 산간 지방.
- 산간 지역.
- 산간에 살다. See More
- 올겨울에는 산간 지방에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되어 대비가 필요하다.
- 교육청에서 산간 오지에 살아 통학이 어려운 어린이들을 위해 분교를 세웠다.
- 택배 신청 시 수령지가 도서 산간 지역인 경우 배송비를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 유의어 산골
산간벽지 (山間僻地)
발음 : [산간벽찌 ]
명사 Noun
remote mountain area; backwoods; isolated mountainous area
도시와 멀리 떨어진 구석진 산골.
A secluded, mountainous area remote from a city.
- 농어촌 산간벽지.
- 산간벽지에 살다.
- 김 씨는 깊은 산간벽지에 들어가 감자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 정부는 농어촌의 산간벽지에서도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설비를 지원하였다.
- 가: 이런 산간벽지에도 배달이 오나요?
- 나: 네. 그렇지만 배송료를 더 내셔야 해요.
산고 (産苦)
발음 : [산ː고 ]
명사 Noun
labor pain; birth pangs
아이를 낳을 때 겪는 고통.
The pain that one suffers when she gives birth to a baby.
- 산고가 시작되다.
- 산고가 심하다.
- 산고를 겪다.
- 산고를 느끼다.
- 산고를 치르다.
- 유민은 오랜 산고 끝에 건강한 아이를 낳았다.
- 그 여인은 산고가 시작되자 소리를 지르며 배에 힘을 주었다.
- 가: 지수 씨는 첫째 아이를 낳을 때 어땠어요?
- 나: 산고가 너무 심해서 기절을 몇 번이나 했어요.
산골 (山 골) ★
발음 : [산꼴 ]
명사 Noun
- 1. backwoods; remote mountain area구석진 깊은 산속.A secluded, mountainous area.
- 산골 마을.
- 산골 소녀.
- 산골 소년.
- 산골 처녀.
- 산골 총각. See More
- 나는 공기 좋은 산골 마을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 그 사람들은 깊은 산골에서 화전을 일구며 살아갔다.
- 가: 도시로 나가고 싶지 않니?
- 나: 아니, 난 공기 맑고 조용한 여기 산골에서 계속 살 거야.
- 유의어 산간
- 2. mountain valley; ravine산과 산 사이의 깊숙이 들어간 곳.A hollow area between mountains.
- 산골의 계곡.
- 산골의 험한 길.
- 산골을 헤매다.
- 산골로 들어가다.
- 물이 산골을 흐르다.
- 그 남자는 산골의 험한 길을 헤매고 있었다.
- 산골에서 흐르는 계곡물은 얼음처럼 시원했다.
- ‘야호’ 소리는 메아리가 되어 산골에 울려 퍼졌다.
- 가: 날씨 참 덥다. 어디 시원한 데 없나?
- 나: 산골에 흐르는 개끗하고 맑은 시냇물에 발을 담그면 좋을 텐데.
- 유의어 산골짜기
산골짜기 (山 골짜기)
발음 : [산꼴짜기 ]
산골짝 (山 골짝)
발음 : [산꼴짝 ]
활용 : 산골짝이[산꼴짜기], 산골짝도[산꼴짝또], 산골짝만[산꼴짱만]
명사 Noun
mountain valley; ravine
산과 산 사이의 깊숙이 들어간 곳.
An abbreviated word for a mountain valley.
- 깊은 산골짝.
- 험한 산골짝.
- 산골짝에 들어가다.
- 여름이면 산골짝에는 산딸기가 탐스럽게 익는다.
- 갑자기 쏟아져 내린 폭우에 산골짝의 계곡을 흐르던 물이 넘쳤다.
- 사람들은 적군을 피해서 산골짝으로 깊이 숨어들었다.
- 본말 산골짜기
산기 (産氣)
발음 : [산ː끼 ]
명사 Noun
sign of childbirth; labor pain; birth pangs
임신부가 아이를 낳으려는 기미.
A sign or feeling of labor pain to deliver a baby.
- 산기가 보이다.
- 산기가 있다.
- 산기를 느끼다.
- 새벽부터 산기를 보이던 아내는 한밤중이 되어서야 아이를 낳았다.
- 가: 어제 산기를 느낀 지 세 시간 만에 둘째를 출산했어.
- 나: 빨리 낳았네.
산기슭 (山 기슭)
발음 : [산끼슥 ]
활용 : 산기슭이[산끼슬기], 산기슭도[산끼슥또], 산기슭만[산끼승만]
명사 Noun
foot of mountain; bottom of mountain
산비탈이 끝나는 아랫부분.
A bottom area that meets the end of a mountain slope.
- 산기슭 아래.
- 산기슭을 내려가다.
- 산기슭을 오르다.
- 농촌 마을들은 살기 좋은 산기슭에 만들어졌다.
- 산기슭에서 난 불은 바람을 타고 삽시간에 산 정상까지 번졌다.
- 산줄기 사이로 하천이 흘러 산기슭과 하천을 끼고 들판이 만들어졌다.
산길 (山 길) ★★
발음 : [산낄 ]
명사 Noun
mountain path; mountain trail; mountain road
산에 나 있는 길.
A path that is made throughout a mountain.
- 고요한 산길.
- 아름다운 산길.
- 좁은 산길.
- 험한 산길.
- 산길이 나다. See More
- 밤에 산길을 걷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 맑은 공기와 새소리를 들으며 산길을 걷다보니 어느새 스트레스가 풀려 있다.
- 가: 여기서 어떻게 가야 이 산을 가장 빨리 넘어갈까요?
- 나: 이 길로 조금만 들어가면 오른쪽으로 좁은 산길이 하나 나와요. 약간 험하긴 하지만 그게 제일 빠른 지름길이에요.
'한국어기초사전 > 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란기, 산란하다¹, 산란하다², 산림, 산마루, 산만하다, 산맥, 산모, 산문, 산문가 (0) | 2020.02.06 |
---|---|
산나물, 산더미, 산동네, 산들바람, 산들산들, 산등, 산등성이, 산딸기, 산뜻하다, 산란 (0) | 2020.02.06 |
-산, 삭신, 삭월세, 삭이다, 삭제, 삭제되다, 삭제하다, 삭풍, 삭히다, 삯, 산¹, 산² (0) | 2020.02.06 |
사후¹, 사후², 사흘, 삭감, 삭감되다, 삭감하다, 삭다, 삭막하다, 삭발, 삭발하다 (0) | 2020.02.06 |
사회 정의, 사회 제도, 사회주의, 사회주의 국가, 사회 질서, 사회학, 사회 현상, 사회화, 사회화되다, 사회화하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