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식증 (拒食症)
발음 : [거ː식쯩 ]
명사 名詞
きょしょくしょう【拒食症】。せっしょくしょうがい【摂食障害】
음식을 먹는 것을 거부하는 증상.
食べ物を食べることを拒否する症状。
  • 거식증 증세.
  • 거식증 환자.
  • 거식증을 앓다.
  • 거식증을 치료하다.
  • 거식증에 걸리다.
  • 그녀는 거식증으로 몸무게가 삼십 킬로나 빠졌다.
  • 그녀는 거식증에 걸려서 먹은 음식을 다 토해 냈다.
  • 거식증 환자는 음식을 먹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화도 시키지 못한다.
  • 가: 저 여배우는 몇 달 사이에 왜 저렇게 살이 빠진 거야?
  • 나: 지나친 다이어트로 거식증에 걸렸다는 소문이 있어.
거실 (居室) ★★★
발음 : [거실 ]
명사 名詞
いま【居間】。リビングルーム。ちゃのま【茶の間】
서양식 집에서, 가족이 모여서 생활하거나 손님을 맞는 중심 공간.
西洋式の家で、家族が集まって生活したり、お客をもてなす中心空間。
  • 거실에 모이다.
  • 거실에 앉다.
  • 거실에 있다.
  • 거실에서 놀다.
  • 거실에서 보내다.
  • See More
  • 거실에는 소파와 탁자가 놓여 있었다.
  • 부부는 거실에서 손님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 우리는 식사를 끝낸 뒤 거실에 모여 과일을 먹었다.
  • 아이들은 텔레비전을 보려고 방에서 나와 거실에 앉았다.
  • 가: 거실을 남쪽에 배치하신 이유가 있습니까?
  • 나: 거실은 생활의 중심 공간이기 때문에 가장 밝은 곳에 두었습니다.
거액 (巨額)
발음 : [거ː액 ]
활용 : 거액이[거ː애기], 거액도[거ː액또], 거액만[거ː앵만]
명사 名詞
きょがく【巨額】
아주 많은 액수의 돈.
非常に大きな金額のお金。
  • 거액의 계약금.
  • 거액의 돈.
  • 거액의 보상금.
  • 거액의 재산.
  • 거액의 현금.
  • See More
  • 그는 도박에 빠져서 결국 거액을 탕진했다.
  • 그는 거액의 회사 돈을 가로채서 경찰에 붙잡혔다.
  • 가: 새 차가 아주 멋진데. 꽤 비싸 보인다.
  • 나: 응. 맞아. 이번에 큰맘 먹고 거액을 들여 장만했지.
거역 (拒逆)
발음 : [거ː역 ]
활용 : 거역이[거ː여기], 거역도[거ː역또], 거역만[거ː영만]
명사 名詞
きょひ【拒否】。ふふくじゅう【不服従】。ふふく【不服】
윗사람의 뜻이나 명령 등을 따르지 않고 거스름.
目上の人の意見や命令などに従わず逆らうこと。
  • 거역을 계속하다.
  • 거역을 반복하다.
  • 거역을 못 하다.
  • 거역을 일삼다.
  • 거역을 하다.
  • 그는 직장 상사의 말에 거역을 해서 동료들의 비난을 샀다.
  • 그녀는 항상 선생님의 말을 거역을 하고 반항아처럼 행동했다.
  • 가: 여자 친구와 헤어졌다면서?
  • 나: 응. 결혼을 반대하는 부모님의 뜻을 거역을 못 하겠더라고.
거역하다 (拒逆 하다)
발음 : [거ː여카다 ]
동사 動詞
きょひする【拒否する】。ふふくじゅうする【不服従する】。ふふくする【不服する】
윗사람의 뜻이나 명령 등을 따르지 않고 거스르다.
目上の人の意見や命令などに従わず逆らう。
  • 말을 거역하다.
  • 명령을 거역하다.
  • 부모님을 거역하다.
  • 운명을 거역하다.
  • 신에게 거역하다.
  • 민준이는 의사가 되라는 아버지의 뜻을 거역하고 음대에 진학했다.
  • 우리 반에서 가장 힘이 센 민준이의 말에 거역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 아버지는 내 결혼을 반대하시면서 부모에게 거역하는 자식은 필요 없다고 하셨다.
  • 가: 사장님이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며?
  • 나: 응. 사장님의 지시를 거역할 수도 없고 직원들은 걱정만 하고 있어.
  • 문형 : 1이 2에/에게 거역하다, 1이 2를 거역하다
거울 ★★★
발음 : [거울 ]
명사 名詞
  1. 1. かがみ【鏡】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얇고 평평한 물건.
    物体の形を映して見る、薄くて平たい道具。
    • 대형 거울.
    • 거울을 깨다.
    • 거울을 깨뜨리다.
    • 거울을 들여다보다.
    • 거울을 보다.
    • See More
    • 여자는 거울을 보면서 화장을 했다.
    • 거울에 비친 남자의 모습이 행복해 보였다.
    • 나는 거울 앞에 서서 거울 속의 나를 바라보았다.
    • 가: 얼굴에 뭐가 묻었어.
    • 나: 그래? 거울 좀 줘 봐.
  2. 2. かがみ【鏡】
    (비유적으로) 어떤 사실을 그대로 드러내거나 보여 주는 것.
    (比喩的に)ある物事を露わにしたり、そのまま見せたりすること。
    • 거울이 되다.
    • 마음의 거울.
    • 시대의 거울.
    • 현실의 거울.
    • 현실을 비치는 거울.
    • 뉴스란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거울이 되어야 한다.
    • 친구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게 해 주는 거울이다.
    • 한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는 그 사회의 인권 상태를 나타내는 거울이 된다.
    • 사회는 인간 내면의 거울이므로 구성원에 따라 사회의 모습은 바뀌게 된다.
  3. 3. かがみ【鏡】。てほん【手本】
    모범이나 교훈이 될 만한 것.
    模範や教訓になること。
    • 거울이 되다.
    • 거울로 하다.
    • 역사는 미래를 여는 데 있어 중요한 거울이 된다.
    • 나는 회사에서 김 과장님을 거울로 하여 근무하고 있다.
    • 김 선생님은 모든 사람의 거울이 될 만큼 뛰어난 사람이다.
관용구 · 속담(1)
거울삼다
발음 : [거울삼따 ]
활용 : 거울삼아[거울사마], 거울삼으니[거울사므니]
동사 動詞
かんがみる【鑑みる】
남의 일이나 지나간 일을 자신의 일의 본보기로 삼다.
他人のことや過去のことを手本にする。
  • 경험을 거울삼다.
  • 단점을 거울삼다.
  • 실패를 거울삼다.
  • 이번 일을 거울삼다.
  • 지난날을 거울삼다.
  • 그는 과거의 경험들을 거울삼아서 사업 성공을 거두었다.
  • 나는 항상 사람들의 장점은 배우고 단점은 거울삼아 나를 바로잡으려 노력한다.
  • 가: 저는 왜 항상 실패만 하죠?
  • 나: 실패를 거울삼아 재도전하다 보면 언젠가 좋은 일이 있을 겁니다.
  • 문형 : 1이 2를 거울삼다
거웃
발음 : [거욷 ]
활용 : 거웃이[거우시], 거웃도[거욷또], 거웃만[거운만]
명사 名詞
いんもう【陰毛】。ちもう【恥毛】。ヘア
사람의 성기 주위에 난 털.
人の陰部に生える毛。
  • 곱슬곱슬한 거웃.
  • 시커먼 거웃.
  • 거웃이 나다.
  • 거웃이 무성하다.
  • 거웃이 자라다.
  • 우리 아이는 다른 아이들보다 성장이 빨라 거웃도 빨리 난 편이다.
  • 어떤 학자는 거웃이 있는 이유가 성기를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주장한다.
  • 피카소 등이 거웃을 작품 속에 그리기 전에는 성과 관련된 주제는 작품에 등장할 수 없었다.
  • 가: 김 화백은 평범하지 않은 소재의 그림들을 그리기로 유명하지요.
  • 나: 맞아요. 얼마 전에는 거웃을 주제로 한 그림을 그렸죠.
거위
발음 : [거위 ]
명사 名詞
ガチョウ【鵞鳥】
털은 하얗고 부리는 노란색이며 목이 긴, 오리처럼 생긴 새.
白色の体に黄色い口ばしを持つ、あひるに似た首の長い鳥。
  • 새끼 거위.
  • 거위 한 마리.
  • 거위 간 요리.
  • 거위 고기.
  • 거위가 알을 낳다.
  • See More
  • 거위 간으로 만든 음식은 프랑스의 최고급 요리이다.
  • 아버지는 장터에서 알을 잘 낳는 거위 한 마리를 사 오셨다.
  • 거위는 밤눈이 밝아서 농장 주인들이 집을 지키게 하기도 한다.
  • 가: 이 이불은 다른 이불에 비해 가격이 비싸네요.
  • 나: 거위 털이 들어 있어서 따뜻하고 포근하거든요.
거의1 ★★★
발음 : [거의 /거이 ]
명사 名詞
ほとんど。ほぼ。おおよそ【大凡】。だいたい【大体】
전부에서 조금 모자란 정도.
全部から少し足りない程度。
  • 거의가 도착하다.
  • 거의가 비슷하다.
  • 거의가 오다.
  • 거의를 모르다.
  • 거의를 주다.
  • 관광지에서 파는 물건들은 거의가 제값보다 비싸게 팔린다.
  • 나는 퇴근을 하면 남은 시간의 거의를 집안일을 하는 데 쓴다.
  • 요즘 사람들은 거의가 우울증을 앓고 있거나 앓았던 경험이 있다.
  • 가: 이번 안건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회원들이 같은 생각인 것 같소.
  • 나: 그럼 거의가 동의하신 걸로 알고 넘어가겠습니다.
  • ※ 주로 '거의가', '거의를'로 쓴다.
  • 유의어 거개¹
거의2 ★★★
발음 : [거의 /거이 ]
부사 副詞
  1. 1. ほとんど
    전부에서 조금 모자라게.
    全部ではなく、やや足らずに。
    • 거의 대부분.
    • 거의 모두.
    • 거의 4년이 되다.
    • 거의 다 떨어지다.
    • 거의 마무리되다.
    • See More
    • 나는 남는 시간에는 거의 책을 읽으면서 보낸다.
    • 지수는 쓰던 화장품이 거의 다 떨어져 새것을 샀다.
    • 보험 규정을 제대로 알고 가입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 가: 문제 두 개만 더 풀면 숙제는 끝이야!
    • 나: 거의 다 했네.
  2. 2. ほぼ
    어떤 상태나 한도에 매우 가깝게.
    ある状態や限度に非常に近く。
    • 거의 똑같다.
    • 거의 비슷하다.
    • 거의 확실하다.
    • 그는 유명 가수들을 거의 똑같이 흉내 낸다.
    • 정신없이 일을 하다 보니 자정이 거의 가까워졌다.
    • 그는 몇 년 동안 의식이 없어 거의 죽은 사람이나 다름없다.
    • 가: 지수랑 민준이랑 사귄다는 거 정말이야?
    • 나: 거의 확실한 것 같아.
거인 (巨人)
발음 : [거ː인 ]
명사 名詞
  1. 1. きょじん【巨人】
    보통 사람보다 몸과 키가 훨씬 큰 사람.
    並外れて体と背がはるかに大きい人。
    • 거인으로 불리다.
    • 거인처럼 보이다.
    •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그는 키가 무려 257센티미터나 되는 거인이다.
    • 나는 남들보다 키도 크고 덩치도 커서 친구들은 나를 거인이라고 부른다.
    • 가: 저 농구 선수는 정말 거인 같다.
    • 나: 맞아. 그래서 덩크 슛도 얼마나 잘한다고.
  2. 2. きょじん【巨人】
    어떤 분야에서 가장 우수한 실력을 가졌거나 뛰어난 업적을 쌓은 사람.
    ある分野で一番優秀な実力を持っていたり、優れる業績を残した人。
    • 건축의 거인.
    • 경제계의 거인.
    • 예술의 거인.
    • 작은 거인.
    • 거인으로 불리다.
    • 그는 유명한 건축물들을 남긴 건축의 거인이다.
    • 그는 문학계의 거인이어서 그를 위한 기념관도 지어졌다.
    • 미술의 거인으로 불리는 그녀의 죽음에 미술계 전체는 큰 상심에 빠져 있다.
    • 가: 이번에도 엠브이피는 저 키 작은 선수에게 돌아가는군.
    • 나: 역시 작은 거인이라는 별명다워.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