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 (心) ★★
참고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접사 หน่วยคำเติม
หัวใจ, ใจ
‘마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ปัจจัยที่ใช้เพิ่มเข้าไปในคำเพื่อให้มีความหมายว่า 'จิตใจ'
  • 경각
  • 경계
  • 경외
  • 경쟁
  • 공명
  • See More
실효성 (實效性)
발음 : [실효썽 ]
명사 คำนาม
ประสิทธิผล, ความมีประสิทธิภาพ
실제로 효과를 나타내는 성질.
คุณลักษณะที่แสดงประสิทธิผลจริง
  • 정책의 실효성.
  • 제도의 실효성.
  • 실효성이 없다.
  • 실효성이 있다.
  • 실효성을 가지다.
  • See More
  •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제도가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 회사는 사업 계획을 재검토해서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만들어 내야 한다.
실히 (實 히)
발음 : [실히 ]
부사 คำวิเศษณ์
อย่างเพียงพอ, อย่างมากพอ
모자람이 없이 넉넉하게.
อย่างเพียงพอโดยไม่ขาดแคลน
  • 이 많은 일을 다 끝내려면 실히 한 달은 걸릴 것 같았다.
  • 김 씨의 실제 나이는 마흔이었지만 쉰은 실히 되어 보였다.
  • 선생님 방에 가득 꽂혀 있는 책들은 실히 천 권은 되는 것 같았다.
  • 가: 이 짐은 제법 무거워 보이는데.
  • 나: 그러게, 실히 사십 킬로는 되겠어.
싫다 ★★★
발음 : [실타 ]
활용 : 싫은[시른], 싫어[시러], 싫으니[시르니], 싫습니다[실씀니다], 싫고[실코], 싫지[실치]
형용사 คำคุุณศัพท์
  1. 1. ไม่ชอบ, ไม่ถูกใจ
    마음에 들지 않다.
    ไม่ถูกใจ
    • 싫은 사람.
    • 싫은 일.
    • 간섭이 싫다.
    • 공부가 싫다.
    • 세상이 싫다.
    • 나는 단 음식이 싫다.
    • 삼촌은 성격이 별나서 싫은 사람과는 말도 하지 않는다.
    • 가: 너는 왜 지수랑은 이야기도 안 해?
    • 나: 나는 지수처럼 수다스러운 사람이 싫어.
    • 문형 : 1이 2가 싫다
    • 유의어 밉다
  2. 2. ไม่ชอบ, ไม่อยาก
    어떤 일을 하고 싶지 않다.
    ม่อยากทำสิ่งใด ๆ
    • 공부하기가 싫다.
    • 나가기가 싫다.
    • 먹기가 싫다.
    • 일하기가 싫다.
    • 하기가 싫다.
    • 아이는 쓴 약을 먹기가 싫어서 엄마 몰래 약을 버렸다.
    • 지수는 밖에 나갈 준비를 다 했지만 비가 오자 갑자기 나가기가 싫었다.
    • 가: 너는 영어 성적이 왜 이 모양이야?
    • 나: 엄마, 저는 영어를 공부하는 게 너무 싫어요.
    • 문형 : 1이 2가 싫다
싫어지다
발음 : [시러지다 ]
활용 : 싫어지어[시러지어/ 시러지여](싫어져[시러저]), 싫어지니[시러지니]
동사 คำกริยา
เริ่มไม่ชอบ, เริ่มไม่ถูกใจ, เริ่มรำคาญ, ไม่อยากทำ
마음에 들지 않게 되다.
กลายเป็นไม่ถูกใจ
  • 나이가 드니 시끄러운 음악이 싫어졌다.
  • 피곤해서 더 이상 일을 하기가 싫어졌다.
  • 직업으로 하다 보니 좋아하던 일도 점점 싫어지고 지겨워졌다.
  • 가: 너 왜 요즘 그 사람을 만나지 않니?
  • 나: 이제 그 사람 싫어졌어요.
  • 문형 : 1이 2가 싫어지다
싫어하다 ★★★
발음 : [시러하다 ]
활용 : 싫어하여[시러하여](싫어해[시러해]), 싫어하니[시러하니]
동사 คำกริยา
ไม่ชอบ, ไม่ถูกใจ, ไม่ชอบใจ, ไม่นิยม, เกลียด
어떤 것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거나 원하지 않다.
ไม่พอใจหรือไม่ปรารถนาสิ่งใดๆ
  • 가기 싫어하다.
  • 먹기 싫어하다.
  • 보기 싫어하다.
  • 하기 싫어하다.
  • 몹시 싫어하다.
  • 아내는 콩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콩을 먹이기 위해서 애를 썼다.
  • 나는 사람이 많은 곳에 가기를 싫어해서 한적하고 조용한 곳을 약속 장소로 정한다.
  • 가: 우리 애가 책 읽기를 너무 싫어하는데 어떡하죠?
  • 나: 텔레비전을 치우고, 어머니가 아이와 함께 책 읽는 시간을 가져 보는 건 어떨까요?
  • 문형 : 1이 2를 싫어하다
싫증 (싫 症) ★★
발음 : [실쯩 ]
명사 คำนาม
ความเบื่อ, ความเบื่อหน่าย, ความจำเจ
마음에 들지 않거나 하고 싶지 않은 생각이나 느낌.
ความรู้สึกหรือความคิดที่ไม่อยากทำหรือไม่ถูกใจ
  • 싫증이 나다.
  • 싫증을 느끼다.
  • 싫증을 내다.
  • 반복되는 일상에 싫증을 느낀 그는 이곳을 떠나고 싶었다.
  • 아이는 어제 산 인형에 금방 싫증이 났는지 더 이상 가지고 놀지 않았다.
  • 가: 유민이는 공부에 흥미를 잃고 쉽게 싫증을 냅니다.
  • 나: 억지로 공부를 강요하지 말고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해 보세요.
(心)
발음 : [심 ]
명사 คำนาม
  1. 1. ไส้
    곡식 가루의 반죽을 작게 뭉치어 만든 덩이.
    ก้อนที่ทำโดยการปั้นแป้งธัญพืชรวมตัวกันเล็ก ๆ
    • 동글동글한 .
    • 을 넣다.
    • 을 만들다.
    • 을 먹다.
    • 을 빚다.
    • 동생은 팥죽을 먹을 때 제일 먼저 부터 건져 먹는다.
    • 나의 죽 그릇에는 동글동글한 이 일곱 개나 들어 있었다.
    • 가: 호박죽이 거의 다 된 것 같아요.
    • 나: 그럼 을 만들어서 넣으렴.
  2. 2. แก่น, แกน, แกนกลาง, ไส้กลาง
    식물의 속 한가운데에 있는 단단한 부분.
    ส่วนที่แข็งที่อยู่ตรงกลางภายในพืช
    • 부분.
    • 이 굵다.
    • 이 나오다.
    • 을 뽑다.
    • 을 쓰다.
    • 파인애플의 은 못 먹는 부분이니 잘라서 버려야 한다.
    • 가구를 만들 때에는 나무의 겉 부분보다 수축과 변형이 적은 을 주로 쓴다.
    • 가: 양배추는 부분이 더 영양소가 많다고 하는데 너무 딱딱해서 먹기가 힘들어.
    • 나: 딱딱한 부분은 삶아서 갈아 먹거나 하면 좋아.
  3. 3. บุรอง, รองบ่า
    윗옷의 깃이나 어깨 부분을 빳빳하게 하려고 안에 넣는 천.
    ผ้าที่ใส่ไว้ข้างในเพื่อทำให้ส่วนบ่าหรือปกเสื้อส่วนบนแข็ง
    • 두꺼운 .
    • 이 구겨지다.
    • 이 빳빳하다.
    • 을 넣다.
    • 을 다리다.
    • 양복의 어깨 부분에는 두꺼운 이 들어가 있어 체격이 커 보인다.
    • 나는 빨래를 해서 구겨진 와이셔츠 칼라의 을 정성스럽게 다렸다.
    • 가: 와이셔츠의 칼라는 이 빳빳하게 들어간 게 좋더라.
    • 나: 맞아, 그래야 좀 더 깔끔해 보이는 것 같아.
  4. 4. ไส้(ดินสอ, ปากกา)
    연필, 펜 등의 필기도구에서 글씨를 쓰는, 속에 있는 부분.
    ส่วนที่อยู่ข้างในที่ใช้เขียนหนังสือในอุปกรณ์การเขียน ดินสอ ปากกา เป็นต้น
    • 볼펜 .
    • 연한 .
    • 진한 .
    • 이 가늘다.
    • 이 굵다.
    • See More
    • 손에 잔뜩 힘을 주고 글씨를 썼더니 이 자꾸만 뚝뚝 부러진다.
    • 나는 뾰족한 으로 글씨 쓰는 것을 좋아해서 연필을 자주 깎는다.
    • 가: 이 연필로 글씨를 쓰면 너무 흐려.
    • 나: 좀 더 진한 으로 살 걸 그랬나 보다.
  5. 5. ไส้(เทียน)
    초의 속에 있는, 불이 붙어 타는 실 등의 물건.
    สิ่งของ ด้ายที่ติดไฟ เป็นต้น ที่อยู่ในเทียน
    • 이 타다.
    • 을 잘라 내다.
    • 에 붙이다.
    • 나는 케이크에 꽂힌 초들의 에 성냥으로 불을 붙였다.
    • 우리는 테이블 위의 촛불 이 다 타서 없어질 때까지 불을 끄지 않았다.
    • 가: 초에서 자꾸 그을음이 생겨.
    • 나: 그럼 을 조금 잘라 내는 게 좋겠다.
심각성 (深刻性)
발음 : [심ː각썽 ]
명사 คำนาม
ความเคร่งเครียด, ความตึงเครียด, ความรุนแรง
매우 깊고 중대하며 절박한 성질.
คุณลักษณะที่เร่งด่วนและสำคัญมาก
  • 일의 심각성.
  • 심각성이 크다.
  • 심각성을 깨닫다.
  • 심각성을 인식하다.
  • 심각성을 파악하다.
  • 이번 단수 사태는 물 부족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한 결과로 벌어졌다.
  • 정부는 에너지 부족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체 에너지를 개발해야 한다.
  • 환경 단체는 폐수로 인한 강물 오염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려고 노력했다.
심각하다 (深刻 하다) ★★
발음 : [심ː가카다 ]
활용 : 심각한[심ː가칸], 심각하여[심ː가카여](심각해[심ː가캐]), 심각하니[심ː가카니], 심각합니다[심ː가캄니다]
형용사 คำคุุณศัพท์
เคร่งเครียด, ตึงเครียด, รุนแรง, ร้ายแรง
상태나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절박하거나 중대하다.
สภาพหรือระดับมีความรุนแรง เร่งด่วนหรือสำคัญเป็นอย่างยิ่ง
  • 심각한 상황.
  • 심각하게 고민하다.
  • 심각하게 받아들이다.
  • 문제가 심각하다.
  • 피해가 심각하다.
  • See More
  • 실업 문제는 단순히 경제적인 측면을 뛰어넘는 심각한 문제이다.
  • 석유 파동으로 한국은 물론이고 세계 거의 모든 나라가 심각한 경제난을 겪었다.
  • 가: 지수가 아까 나를 보고 인사를 하는데 왠지 나한테 화가 난 것 같았어.
  • 나: 기분이 안 좋았을 수도 있으니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는 마.
  • 문형 : 1이 심각하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