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나-
(자라나고, 자라나는데, 자라나, 자라나서, 자라나니, 자라나면, 자라나는, 자라난, 자라날, 자라납니다, 자라났다, 자라나라)→자라나다
자라나다 ★★
발음 : [자라나다 ]
활용 : 자라나, 자라나니
동사 動詞
  1. 1. そだつ【育つ】。せいちょうする【成長する】。のびる【伸びる】
    키나 몸집이 점점 커지다.
    背が高くなったり、体が大きくなったりする。
    • 키가 자라나다.
    • 몸이 자라나다.
    • 건강하게 자라나다.
    • 병 없이 자라나다.
    • 빠르게 자라나다.
    • See More
    • 꼬마는 못 본 새 예쁜 소녀로 자라나 있었다.
    • 귀여웠던 강아지는 어느새 커다랗게 자라났다.
    • 나는 우리 아이가 병 없이 잘 자라나 주기만을 바란다.
    • 가: 잔디가 참 잘 큰다. 벌써 이렇게 수북하게 자라났어.
    • 나: 와, 정말! 얼마 전에 왔을 때만 해도 흙이 보였었는데 잔디가 정말 빨리 자랐구나.
    • 문형 : 1이 자라나다
  2. 2. そだつ【育つ】。せいちょうする【成長する】
    어떤 환경이나 배경에서 자라다.
    ある環境や背景で大人になる。
    • 자라난 배경.
    • 자라난 환경.
    • 나쁜 풍토에서 자라나다.
    • 좋은 가문에서 자라나다.
    • 화목한 가정에서 자라나다.
    • 아내는 훌륭한 가정에서 자라났다.
    • 친구는 기독교 가문에서 자라나고 목사님이 되었다.
    • 가: 나 그 사람이랑 너무 안 맞아. 헤어져야 할 것 같아.
    • 나: 하긴 둘이 자라난 환경이 너무 다르니 힘들겠다.
    • 문형 : 1이 자라나다
  3. 3. そだつ【育つ】。のびる【伸びる】
    수준이나 정도 등이 더 좋은 상태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가다.
    水準や程度などがより良い状態や高い段階に進む。
    • 미움이 자라나다.
    • 사랑이 자라나다.
    • 실력이 자라나다.
    • 빠르게 자라나다.
    • 점점 자라나다.
    • 학생들에 대한 사랑은 해가 갈수록 더 크게 자라났다.
    • 진리를 향한 갈망이 조금씩 내 마음속에서 자라나기 시작했다.
    • 가: 수학이 너무 어려워요. 제가 시험을 잘 볼 수 있을까요?
    • 나: 포기하지 않고 계속 문제를 풀면 수학 실력이 자라난단다.
    • 문형 : 1이 자라나다
자라다 ★★★
발음 : [자라다 ]
활용 : 자라, 자라니
동사 動詞
  1. 1. そだつ【育つ】。せいちょうする【成長する】。のびる【伸びる】
    생물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점점 커지다.
    生物が部分的に、または全体的に段々大きくなる。
    • 나무가 자라다.
    • 머리카락이 자라다.
    • 손톱이 자라다.
    • 수염이 자라다.
    • 식물이 자라다.
    • See More
    • 우리 집 아이들은 모두 건강하게 잘 자랐다.
    • 앞마당에는 여러 풀과 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 친구들은 이제 모두 자라 결혼할 나이가 되었다.
    • 작았던 새의 날개가 충분히 자라서 날 수 있게 되었다.
    • 가: 너는 이다음에 자라서 뭐가 되고 싶니?
    • 나: 대통령이 되고 싶어요.
    • 문형 : 1이 자라다
  2. 2. そだつ【育つ】。せいちょうする【成長する】
    어떤 환경이나 배경에서 성장하다.
    ある環境や背景で大人になる。
    • 고아로 자라다.
    • 막내로 자라다.
    • 장남으로 자라다.
    • 첫째로 자라다.
    • 같은 동네에서 자라다.
    • See More
    • 많은 아이들은 동화를 읽으며 자란다.
    • 나는 시골에서 건강하고 씩씩하게 자랐다.
    • 아이는 부모님의 끊임없는 사랑을 받으며 자란다.
    • 어렸을 때부터 클래식을 들으며 자란 아이는 커서 피아니스트가 되었다.
    • 가: 옆집 아이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밝게 잘 자란 것 같아.
    • 나: 맞아. 한 번도 부모님 속을 썩인 적이 없대.
    • 문형 : 1이 자라다
  3. 3. そだつ【育つ】。せいちょうする【成長する】
    세력이나 능력 등이 커지다.
    勢力や能力などが大きくなる。
    • 단체가 자라다.
    • 민주 의식이 자라다.
    • 세력이 자라다.
    • 역량이 자라다.
    • 영향력이 자라다.
    • See More
    •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독립군 세력이 자라기 시작했다.
    • 지역과 직장이라는 삶의 현장에서 문화 정신이 자라고 있다.
    • 가: 사람들이 질서를 잘 안 지키는 것 같아.
    • 나: 나라는 점점 발전했지만 시민 의식은 잘 자라지 않네.
    • 문형 : 1이 자라다
  4. 4. そだつ【育つ】。せいちょうする【成長する】
    높은 수준이나 상태로 발전하다.
    高い水準や状態に発展する。
    • 선진국으로 자라다.
    • 큰 회사로 자라다.
    • 훌륭한 인물로 자라다.
    • 아들은 어느새 유능한 인재로 자라 있었다.
    • 청소년들은 우리 사회의 주역으로 자라고 있다.
    • 가: 우리 회사는 적은 자본으로 어렵게 시작했지.
    • 나: 응, 하지만 이제는 큰 기업으로 자랐지.
    • 문형 : 1이 2로 자라다
자락
발음 : [자락 ]
활용 : 자락이[자라기], 자락도[자락또], 자락만[자랑만]
명사 名詞
  1. 1. すそ【裾】
    옷이나 천의 아래로 늘어진 부분.
    衣服や布の下の縁。
    • 자락.
    • 두루마리 자락.
    • 소매 자락.
    • 자락.
    • 자락을 걷다.
    • 김 씨는 소매 자락을 걷고 삽질을 시작했다.
    • 치렁치렁한 옷을 입었더니 자락이 바닥에 모두 쓸렸다.
    • 가: 바지 아래가 물에 젖겠어.
    • 나: 바지 자락을 걷도록 하자.
  2. 2.
    논이나 밭, 산 등의 넓은 부분.
    水田や畑、山などの広いところ。
    • 자락.
    • 자락.
    • 절벽 자락.
    • 산의 자락.
    • 자락이 펼쳐지다.
    • 넓은 자락의 땅에 벼가 심어져 있었다.
    • 이 나무는 이 근처 산의 자락 전부에 자라고 있었다.
    • 가: 해가 멀리 있는 저 들의 자락에 걸려 있네.
    • 나: 응, 넓은 들판에 노을이 비치고 있어.
  3. 3.
    안개나 구름, 어둠 등이 넓게 퍼진 것.
    霧や雲、闇などが広がること。
    • 안개 자락.
    • 구름의 자락.
    • 노을의 자락.
    • 밤의 자락.
    • 어둠의 자락.
    • 가을밤 하늘을 물들이는 아름다운 노을 자락을 바라보았다.
    • 두꺼운 안개 자락 때문에 길이 잘 보이지 않아 운전하기가 어려웠다.
    • 가: 비가 올 거 같아.
    • 나: 맞아, 하늘에 먹구름 자락이 가득하네.
  4. 4.
    한차례 바람이 불거나 비가 내리는 것.
    ひとしきり風が吹いたり雨が降ったりすること。
    • 바람 자락.
    • 바람 한 자락.
    • 소나기 자락.
    • 자락이 내리다.
    • 자락이 흩날리다.
    • 시원한 바람 한 자락이 땀을 식혀 주었다.
    • 쏱아지는 소나기 한 자락에 더위가 달아났다.
    • 가: 날씨가 너무 가물어.
    • 나: 비 한 자락이라도 내리면 좋을 텐데.
  5. 5.
    갑자기 스치는 생각이나 말.
    脳裏をかすめる考えや言葉。
    • 말 한 자락.
    • 목소리 한 자락.
    • 생각 한 자락.
    • 음성 한 자락.
    • 자락을 놓치다.
    • 첫사랑의 기억은 내 의식의 한 자락을 무겁게 누르고 있었다.
    • 실패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의 자락이 끊어지지 않고 계속 나를 힘들게 했다.
    • 가: 시는 다 썼어?
    • 나: 아직 시상이 한 자락도 떠오르지 않네.
  6. 6. きょく【曲】
    노래나 가락의 수를 세는 단위.
    歌やリズムの数を数える単位。
    • 가요 한 자락.
    • 노래 한 자락.
    • 장단 한 자락.
    • 자락을 맞추다.
    • 자락을 뽑다.
    • 할머니는 노래 한 자락도 불러 젖혔다.
    • 아버지는 흥에 취해 곡조 한 자락을 뽑으셨다.
    • 가: 노래 한 자락 불러 봐.
    • 나: 나 노래 못 해. 나중에 부를게.
자랑 ★★★
발음 : [자랑 ]
명사 名詞
じまん【自慢】。ほこり【誇り】
자기 또는 자기와 관계있는 사람이나 물건이 남에게 칭찬을 받을 만한 것임을 드러내어 말하거나 뽐냄.
自分、または自分に関係のある人・物事が、人に褒められるようなものであると、公に誇ること。
  • 솜씨 자랑.
  • 자식 자랑.
  • 집안의 자랑.
  • 자랑 같다.
  • 자랑을 늘어놓다.
  • See More
  • 옆집 아들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공부도 잘해서 동네의 자랑이다.
  • 나는 자랑은 아니지만 우리 반에서 내가 수학을 제일 잘한다고 자부한다.
  • 가: 내 여자 친구는 요리도 잘하고, 얼굴도 예쁘고, 성격도 정말 좋은 것 같아.
  • 나: 내 앞에서 네 여자 친구 자랑 좀 그만해라.
자랑거리
발음 : [자랑꺼리 ]
명사 名詞
じまんのたね【自慢の種】。じまん【自慢】。ほこり【誇り】。うりもの【売物】
자기와 관계있는 일이나 물건으로 남에게 드러내어 뽐낼 만한 것.
自分に関係のある物事のうち、公に誇れるようなもの。
  • 자랑거리가 되다.
  • 자랑거리가 생기다.
  • 자랑거리가 수두룩하다.
  • 자랑거리가 아닐 수 없다.
  • 자랑거리를 늘어놓다.
  • See More
  • 아버지는 딸을 잘 키웠다는 것을 자랑거리로 삼으셨다.
  • 모두가 잘했기 때문에 내가 잘한 것은 자랑거리가 되지 않았다.
  • 이 오래된 건물은 오랜 전통을 가진 우리 학교의 자랑거리였다.
자랑삼다
발음 : [자랑삼따 ]
활용 : 자랑삼아[자랑사마], 자랑삼으니[자랑사므니]
동사 動詞
じまんする【自慢する】
남에게 드러내어 뽐낼 만한 것으로 하다.
公に誇れるようなものとする。
  • 자랑삼아 내세우다.
  • 자랑삼아 떠들다.
  • 자랑삼아 떠벌리다.
  • 자랑삼아 들려주다.
  • 자랑삼아 이야기하다.
  • 승규는 예쁜 여자 친구를 사귀는 것을 자랑삼아 뽐냈다.
  • 나는 하루만에 담배를 끊은 것을 친구들에게 자랑삼아 이야기했다.
  • 어머니는 아들이 고시에 붙은 것을 자랑삼아 동네방네 소문을 내셨다.
  • 가: 지수가 이번에 장학금을 받았다면서?
  • 나: 응, 아주 자랑삼아 여기저기 말하고 다니더라고.
  • 문형 : 1이 2를 자랑삼다
자랑스러우-
(자랑스러운데, 자랑스러우니, 자랑스러우면, 자랑스러운, 자랑스러울)→자랑스럽다
자랑스럽다 ★★
발음 : [자랑스럽따 ]
활용 : 자랑스러운[자랑스러운], 자랑스러워[자랑스러워], 자랑스러우니[자랑스러우니], 자랑스럽습니다[자랑스럽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ほこらしい【誇らしい】
자랑할 만한 데가 있다.
誇りに思ってもいいところがある。
  • 자랑스럽게 느끼다.
  • 자랑스럽게 말하다.
  • 아들이 자랑스럽다.
  • 아버지가 자랑스럽다.
  • 스스로가 자랑스럽다.
  • See More
  •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았더니 우리 글이 자랑스럽게 느껴졌다.
  • 나는 공부를 열심히 하는 아들이 자랑스럽고 고마웠다.
  • 스스로도 믿기지 않을 만큼 뛰어난 연주를 해 낸 나 자신이 무척 자랑스럽다.
  • 가: 여보, 승진 축하해요. 당신이 자랑스러워요.
  • 나: 고마워요. 이게 다 당신의 내조 덕분이에요.
  • 문형 : 1이 2가 자랑스럽다
자랑스러워-
(자랑스러워, 자랑스러워서, 자랑스러웠다)→자랑스럽다
자랑스럽다 ★★
발음 : [자랑스럽따 ]
활용 : 자랑스러운[자랑스러운], 자랑스러워[자랑스러워], 자랑스러우니[자랑스러우니], 자랑스럽습니다[자랑스럽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ほこらしい【誇らしい】
자랑할 만한 데가 있다.
誇りに思ってもいいところがある。
  • 자랑스럽게 느끼다.
  • 자랑스럽게 말하다.
  • 아들이 자랑스럽다.
  • 아버지가 자랑스럽다.
  • 스스로가 자랑스럽다.
  • See More
  •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았더니 우리 글이 자랑스럽게 느껴졌다.
  • 나는 공부를 열심히 하는 아들이 자랑스럽고 고마웠다.
  • 스스로도 믿기지 않을 만큼 뛰어난 연주를 해 낸 나 자신이 무척 자랑스럽다.
  • 가: 여보, 승진 축하해요. 당신이 자랑스러워요.
  • 나: 고마워요. 이게 다 당신의 내조 덕분이에요.
  • 문형 : 1이 2가 자랑스럽다
자랑스럽-
(자랑스럽고, 자랑스럽습니다)→자랑스럽다
자랑스럽다 ★★
발음 : [자랑스럽따 ]
활용 : 자랑스러운[자랑스러운], 자랑스러워[자랑스러워], 자랑스러우니[자랑스러우니], 자랑스럽습니다[자랑스럽씀니다]
형용사 形容詞
ほこらしい【誇らしい】
자랑할 만한 데가 있다.
誇りに思ってもいいところがある。
  • 자랑스럽게 느끼다.
  • 자랑스럽게 말하다.
  • 아들이 자랑스럽다.
  • 아버지가 자랑스럽다.
  • 스스로가 자랑스럽다.
  • See More
  •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았더니 우리 글이 자랑스럽게 느껴졌다.
  • 나는 공부를 열심히 하는 아들이 자랑스럽고 고마웠다.
  • 스스로도 믿기지 않을 만큼 뛰어난 연주를 해 낸 나 자신이 무척 자랑스럽다.
  • 가: 여보, 승진 축하해요. 당신이 자랑스러워요.
  • 나: 고마워요. 이게 다 당신의 내조 덕분이에요.
  • 문형 : 1이 2가 자랑스럽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