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치
발음 : [장사치 ]
명사 Noun
merchant
(낮잡아 이르는 말로) 장사하는 사람.
(disparaging) A person who engages in business.
- 뜨내기 장사치.
- 장사치의 계산.
- 장사치의 말.
- 장사치가 되다.
- 장사치들이 모이다. See More
- 큰 장이 열리면 전국에서 모여든 장사치들로 붐볐다.
- 나에게만 싸게 판다는 장사치의 말에 넘어가 충동구매를 해 버렸다.
- 민준이는 정해진 곳 없이 장이 열리는 곳을 찾아다니는 뜨내기 장사치였다.
- 가: 이렇게 싸게 팔면 저희한테는 손해예요.
- 나: 손해 보고 장사하는 사람이 어디 있나. 장사치의 말을 믿을 수가 있어야지.
- 참고어 장사꾼
장사하다
발음 : [장사하다 ]
동사 Verb
do business; sell
이익을 얻으려고 물건을 사서 팔다.
To buy products to resell for profit.
- 장사하는 품목.
- 고구마를 장사하다.
- 생선을 장사하다.
- 길에서 장사하다.
- 돌아다니며 장사하다. See More
- 장날에는 다양한 물건을 장사하는 사람들로 붐볐다.
- 할머니는 손수 키운 고추들을 챙겨 장터에 장사하러 가셨다.
- 시청에서는 허가 없이 길거리에서 장사하면은 단속의 대상이 된다고 하였다.
- 오가는 사람이 많은 지하철역에서 커피를 장사하는 지수는 하루 매출이 좋았다.
- 가: 날씨도 추워졌는데, 우리 고구마 장사해 볼까?
- 나: 그래, 사촌 형한테 굽는 기계가 있으니 내가 빌려 볼게.
- 문형 : 1이 2를 장사하다
장삿속
발음 : [장사쏙 /장삳쏙 ]
활용 : 장삿속이[장사쏘기/ 장삳쏘기], 장삿속도[장사쏙또/ 장삳쏙또], 장삿속만[장사쏭만/ 장삳쏭만]
명사 Noun
desire for profit; knack for business; business acumen
이익을 많이 얻으려는 장사꾼의 속마음.
A merchant's intention to make a lot of profit.
- 기업의 장삿속.
- 장삿속이 뻔하다.
- 장삿속이 환하다.
- 장삿속을 드러내다.
- 장삿속을 모르다. See More
- 민준이는 장삿속이 밝아 같은 물건을 팔아도 남들보다 매출이 좋았다.
- 휴대 전화기의 가격을 내린 대신 요금을 올린 기업의 장삿속에 이용자들의 부담만 늘었다.
- 고등학생을 상대로 한 대학교의 글쓰기 대회는 참가료를 받아 장삿속을 챙긴다는 비판을 받았다.
장생하다 (長生 하다)
발음 : [장생하다 ]
동사 Verb
live long
오래 살다.
To live for a long period of time.
- 장생하는 동물.
- 장생하는 비결.
- 장생하는 비법.
- 장생하기를 바라다.
- 거북이가 장생하다.
- 나는 백 세 이상 건강하게 장생하기를 바란다.
- 지수는 장생하려면 젊은 시절부터 음식 조절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생각했다.
- 문형 : 1이 장생하다
- 유의어 장수하다
장서 (藏書)
발음 : [장서 ]
명사 Noun
keeping a book; book
책을 잘 보관해 둠. 또는 그 책.
The act of keeping a book well or such a book.
- 개인 장서.
- 도서관 장서.
- 소장 장서.
- 낡은 장서.
- 분실된 장서. See More
- 서재를 가득 채운 많은 장서들은 나의 자랑이었다.
- 사서인 민준이는 도서관의 장서의 수를 알아보았다.
- 김 선생님은 그동안 모아온 수만 권의 장서들을 도서관에 기증하셨다.
- 가: 이렇게 많은 장서들은 다 읽어 본 거야?
- 나: 당연하지. 내가 감명 깊게 읽은 책들만 모아 둔 거야.
장성하다 (長成 하다)
발음 : [장ː성하다 ]
동사 Verb
be grown-up
자라서 어른이 되다.
To grow to be an adult.
- 장성한 남성.
- 장성한 여성.
- 장성한 자녀.
- 장성할 나이.
- 장성할 시기. See More
- 민준이는 장성한 딸이 시집을 가지 않고 혼자 있어 늘 안쓰러웠다.
- 오랜만에 만난 사촌 동생은 어느새 장성하여 대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 명절 때 어른들께 세배를 드리고 세뱃돈을 받기에는 나는 너무 장성했다.
- 가: 젊어 보여서 미혼이라고 해도 사람들이 믿겠어요.
- 나: 이래 보여도 장성한 아들이 둘이나 있는 아줌마예요.
- 문형 : 1이 장성하다
장세 (場勢)
발음 : [장세 ]
명사 Noun
condition; market
주식 시장의 사정이나 상황.
The situation or state of the stock market.
- 상승 장세.
- 하락 장세.
- 안정적인 장세.
- 요동치는 장세.
- 장세 분석. See More
- 며칠 동안 상승 장세가 계속되고 있었다.
- 최근 경제 사정 악화에도 불구하고 장세에 대해서는 낙관론이 많았다.
- 전문가는 장세가 요동치고 있어 섣불리 주식 시장에 뛰어들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장소 (場所) ★★★
발음 : [장소 ]
명사 Noun
place; venue; space
어떤 일이 일어나는 곳. 또는 어떤 일을 하는 곳.
A space where something happens or is done.
- 데이트 장소.
- 모임 장소.
- 범행 장소.
- 보관 장소.
- 비밀 장소. See More
- 이곳은 조용해서 이야기를 나누기에 좋은 장소이다.
- 김 대리가 이번 모임 장소로 레스토랑을 예약해 두었다.
- 십 분 일찍 나온 남자는 약속 장소에 차를 댄 채 여자를 기다렸다.
- 나는 친구들과 다음에 만날 시간과 장소를 약속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 우리 팀이 댄스 대회에 나가기로 했는데 춤을 연습할 장소가 없어 문제였다.
- 내가 교통사고를 낸 장소는 내리막길이었는데, 비가 온 뒤여서 길이 미끄러웠다.
- 가: 이번 수학여행 장소는 학생들이 직접 정한다면서?
- 나: 응, 나는 제주도에 가고 싶어.
장손 (長孫)
발음 : [장ː손 ]
명사 Noun
eldest grandson
맏이가 되는 손자.
A grandson who is the eldest.
- 종가집 장손.
- 귀한 장손.
- 장손 며느리.
- 장손의 도리.
- 장손의 역할. See More
- 오빠는 어릴 적부터 집안의 장손이라고 친척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했다.
- 민준이는 자식이 없는 큰아버지 댁에 양자로 들어가 집안의 장손이 되었다.
- 가: 너는 장남이니까 나중에 집안의 제사를 모셔야겠네?
- 나: 응, 내가 장손이니까 그래야지.
- 유의어 맏손자
장송곡 (葬送曲)
발음 : [장ː송곡 ]
활용 : 장송곡이[장ː송고기], 장송곡도[장ː송곡또], 장송곡만[장ː송공만]
명사 Noun
- 1. requiem사람이 죽은 후 장례를 치를 때 연주하는 곡.A musical composition played at the funeral after a person's death.
- 구슬픈 장송곡.
- 슬픈 장송곡.
- 장엄한 장송곡.
- 장중한 장송곡.
- 장송곡이 흘러나오다. See More
- 그가 장송곡을 연주하자 유족들은 모두 눈물을 흘렸다.
- 전쟁에서 죽은 군인들이 돌아오자 부대에 장송곡이 울려 퍼졌다.
- 가: 난 왜 이 노래만 들으면 눈물이 날까?
- 나: 죽은 사람을 위한 장속곡이라서 그럴 거야.
- 2. funeral march장사 지내는 행렬이 행진할 때 연주하는 행진곡.A march played when a funeral procession makes its way.
- 행렬의 장송곡.
- 장송곡이 들리다.
- 장송곡이 울리다.
- 장송곡을 멈추다.
- 장송곡에 맞추다.
- 상여는 장송곡에 맞춰 한 걸음씩 발을 뗐다.
- 그의 시신은 장송곡과 함께 무덤을 향해 갔다.
'한국어기초사전 > 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식물, 장식장, 장식품, 장식하다, 장신, 장신구, 장아찌, 장악, 장악되다, 장악하다 (0) | 2020.02.07 |
---|---|
장수¹, 장수², 장수³, 장수⁴, 장수하다, 장승, 장시간, 장시일, 장식, 장식되다 (0) | 2020.02.07 |
장복하다, 장본인, 장부, 장비, 장사¹, 장사², 장사³, 장사꾼, 장사아치, 장사진 (0) | 2020.02.07 |
장물아비, 장미, 장밋빛, 장바구니, 장발, 장발족, 장벽, 장병, 장보기, 장복 (0) | 2020.02.07 |
장막, 장만, 장만하다, 장맛, 장면, 장모, 장모님, 장모음, 장문, 장물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