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 (傳染)
발음 : [저념 ]
명사 名詞
  1. 1. でんせん【伝染】
    병이 다른 사람에게 옮음.
    病気が他の人に移ること。
    • 감기 전염.
    • 전염 경로.
    • 전염 예방.
    • 전염이 빠르다.
    • 전염을 시키다.
    • 어떤 병은 공기나 음식을 통해 전염이 된다.
    • 이 병은 전염이 빠르므로 환자들은 병실에 격리되었다.
    • 감기는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에게 전염이 되기 쉽습니다.
    • 가: 감기의 전염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 나: 우선 손을 깨끗이 씻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2. 2. でんせん【伝染】
    다른 사람의 습관, 분위기, 기분 등에 영향을 받아 비슷하게 변함.
    他人の習慣、雰囲気、気持ちなどに影響を受けて同じような状態になること。
    • 감정의 전염.
    • 습관의 전염.
    • 행복의 전염.
    • 전염이 되다.
    • 전염을 막다.
    • See More
    • 잘 웃는 사람 옆에 있으면 나도 전염이 되어 웃고 만다.
    • 직원들을 격려하고 나면 이상하게도 전염이 되어 내가 더 분발하게 된다.
    • 가: 나는 우는 사람을 보면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와.
    • 나: 나도. 슬픔은 다른 사람에게 전염이 빠른 것 같아.
전염되다 (傳染 되다)
발음 : [저념되다 /저념뒈다 ]
동사 動詞
  1. 1. でんせんする【伝染する】
    병이 다른 사람에게 옮겨지다.
    病気が他の人に移る。
    • 전염되는 병.
    • 감기가 전염되다.
    • 공기로 전염되다.
    • 눈병에 전염되다.
    • 물을 통해 전염되다.
    • 감기는 기침 등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다.
    • 반 학생들에게 전염될 위험이 있어서 눈병이 걸린 학생을 조퇴시켰다.
    • 가: 요새 독감이 유행이라면서요?
    • 나: 네, 댁의 아이들도 전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문형 : 1이 2에/에게/로 전염되다
  2. 2. でんせんする【伝染する】
    다른 사람의 습관, 분위기, 기분 등에 영향을 받아 비슷하게 변하게 되다.
    他人の習慣、雰囲気、気持ちなどに影響を受けて同じような状態になる。
    • 분위기에 전염되다.
    • 선생님에게 전염되다.
    • 친구에게 전염되다.
    • 빠르게 전염되다.
    • 순식간에 전염되다.
    • 남을 돕는 따뜻한 마음이 사람들 사이에 빠르게 전염되었다.
    • 야구에 별로 흥미를 가지지 않았던 사람도 경기장의 열기에 순식간에 야구에 전염되었다.
    • 가: 언니가 우울해하니까 나까지 우울해지는 것 같아요.
    • 나: 원래 우울한 기분은 주위 사람들에게 전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문형 : 1이 2에/에게/로 전염되다
전염병 (傳染病)
발음 : [저념뼝 ]
명사 名詞
でんせんびょう【伝染病】
다른 사람에게 옮아가기 쉬운 병.
他の人に移りやすい病気。
  • 무서운 전염병.
  • 전염병이 발병하다.
  • 전염병이 퍼지다.
  • 전염병을 예방하다.
  • 전염병에 걸리다.
  • 물이 더러운 곳에는 전염병이 많다.
  • 소방관들은 전염병이 번지지 않도록 마을을 소독했다.
  • 전염병 환자는 다른 환자들에게 병을 옮길 수 있으므로 격리된다.
  • 가: 이곳에는 왜 이렇게 모기가 많지?
  • 나: 모기는 전염병을 옮기기도 하니까 물리지 않게 조심하자.
전염성 (傳染性)
발음 : [저념썽 ]
명사 名詞
でんせんせい【伝染性】
남에게 옮기는 성질.
伝染する性質。
  • 전염성 바이러스.
  • 전염성 질환.
  • 전염성이 강하다.
  • 전염성이 있다.
  • 전염성을 지니다.
  • 승규의 웃음은 전염성이 있는지 승규가 웃자 모두 따라 웃었다.
  • 이번 독감은 전염성이 강해서 한 사람이 걸리면 주변 사람들 모두 독감에 걸렸다.
  • 가: 지수는 왜 회사에 안 나왔어?
  • 나: 전염성 눈병에 걸려서 다른 사람에게 옮길 수 있다나 봐.
전염하다 (傳染 하다)
발음 : [저념하다 ]
동사 動詞
  1. 1. でんせんする【伝染する】
    병이 다른 사람에게 옮다.
    病気が他の人に移る。
    • 전염하는 병.
    • 감기가 전염하다.
    • 바이러스가 전염하다.
    • 가족에게 전염하다.
    • 많은 사람에게 전염하다.
    • 이 병은 모기를 통해 전염한다.
    • 이 바이러스는 전염한 지 세 달 후쯤에 발병한다.
    • 가: 옛날에는 전염병이 무서운 질병이었겠지?
    • 나: 그럼, 독감에 전염하여 많은 사람들이 죽기도 하고 그랬어.
    • 문형 : 1이 2에/에게/로 전염하다
  2. 2. でんせんする【伝染する】
    다른 사람의 습관, 분위기, 기분 등에 영향을 받아 비슷하게 변하다.
    他人の習慣、雰囲気、気持ちなどに影響を受けて同じような状態になる。
    • 기분을 전염하다.
    • 기운을 전염하다.
    • 분위기를 전염하다.
    • 영향력을 전염하다.
    • 승규의 뜨거운 열정이 나에게까지 전염해 왔다.
    • 항상 활력이 넘치는 지수의 밝은 기운이 주변 사람들의 기분까지 밝게 전염해 간다.
    • 가: 아내가 항상 우울해하니 나까지 우울해져요.
    • 나: 우울한 감정이 전염하지 않도록 두 분이 함께 노력해 보세요.
    • 문형 : 1이 2에/에게/로 전염하다
전용1 (專用) ★★
발음 : [저뇽 ]
명사 名詞
  1. 1. せんよう【専用】
    남과 공동으로 사용하지 않고 혼자서만 사용함.
    他人と共通で使わず、自分だけが使用すること。
    • 대통령 전용.
    • 전용 비행기.
    • 전용 전화.
    • 전용 철도.
    • 전용으로 쓰다.
    • 대통령은 전용 비행기로 해외 순방 길에 올랐다.
    • 그 백만장자는 전용 영화관까지 갖추어 놓은 저택에 산다.
    • 가: 네 방이 생기니 좋니?
    • 나: 네, 저만의 전용 공간이 생긴 것 같아서 너무 좋아요!
  2. 2. せんよう【専用】
    특정한 부류의 사람이나 집단만 사용함.
    特定の部類の人や集団だけが使用すること。
    • 군인 전용.
    • 남성 전용.
    • 내국인 전용.
    • 성인 전용.
    • 어린이 전용.
    • See More
    • 우리 아파트 주차장에는 장애인 전용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 이 자전거는 어린이 전용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성인이 타기엔 너무 작다.
    • 가: 군에 계신 아드님께서 다치셨다고요?
    • 나: 네. 군인 전용 병원에 입원해 있어요.
  3. 3. せんよう【専用】
    특정한 목적으로만 사용함.
    特定の目的だけに使用すること。
    • 버스 전용 차선.
    • 스포츠 전용 채널.
    • 야구 전용 구장.
    • 자동차 전용 도로.
    • 축구 전용 운동장.
    • 국회에서는 복지 전용 예산을 늘리기로 하였다.
    • 이 도로는 이십사 시간 동안 버스 전용 차선이 운영된다.
    • 가: 국내에는 축구 전용 구장이 부족하다면서요?
    • 나: 축구를 즐기는 팬들 수에 비하면 부족한 편이지요.
  4. 4. せんよう【専用】
    오직 한 가지만을 사용함.
    それだけをもっぱら使用すること。
    • 한글 전용.
    • 일부 학자들은 공문서에 한글 전용을 의무화할 것을 주장하였다.
    •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한글 전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 가: 예전 신문을 보면 한자가 너무 많아서 읽기가 어려워.
    • 나: 맞아, 요새는 신문에서 한글 전용을 택하고 있어서 다행이야.
전용2 (轉用)
발음 : [저ː뇽 ]
명사 名詞
てんよう【転用】
계획된 곳에 쓰지 않고 다른 데로 돌려서 씀.
計画通りに使わず、他の用途に使うこと。
  • 예산 전용.
  • 전용이 되다.
  • 전용을 논의하다.
  • 전용을 승인하다.
  • 전용을 하다.
  • 이 예산은 사유서를 제출하면 다른 용도로 전용이 가능하다.
  • 토지 전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토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게 허가되기도 한다.
  • 가: 여기에 원래 공항이 있었나?
  • 나: 원래는 군용 비행장이었는데 민간 공항으로 전용이 되었어.
전용되다1 (專用 되다)
발음 : [저뇽되다 /저뇽뒈다 ]
동사 動詞
  1. 1. せんようされる【専用される】
    남과 공동으로 사용되지 않고 개인적으로만 사용되다.
    他人と共通で使われず、個人的にだけ使用される。
    • 전용되는 공간.
    • 좌석이 전용되다.
    • 전화기가 전용되다.
    • 화장실이 전용되다.
    • 개인적으로 전용되다.
    • 우리 집은 개인별로 전용되는 식기가 따로 있다.
    • 나는 공용 컴퓨터가 한 사람에게만 전용되는 것에 불평을 터뜨렸다.
    • 가: 여기 빈자리에 주차해도 될까요?
    • 나: 죄송하지만 그 자리는 회장님 자리로 전용되고 있습니다.
    • 문형 : 1이 2에/에게 전용되다, 1이 2로 전용되다
  2. 2. せんようされる【専用される】
    특정한 부류의 사람이나 집단에게만 사용되다.
    特定の部類の人や集団だけに使用される。
    • 군인에게 전용되다.
    • 남자에게 전용되다.
    • 어린이에게 전용되다.
    • 여자에게 전용되다.
    • 학생들에게 전용되다.
    • 복도 끝의 휴게실은 선생님들에게 전용되는 공간이다.
    • 이 객차는 여성들에게만 전용되어 여성들이 안심하고 탈 수 있다.
    • 가: 외국인도 이 보험에 가입할 수 있나요?
    • 나: 죄송합니다만, 이 보험은 내국인에게 전용되는 상품입니다.
    • 문형 : 1이 2에/에게 전용되다, 1이 2로 전용되다
  3. 3. せんようされる【専用される】
    특정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다.
    特定の目的だけに使用される。
    • 교실이 전용되다.
    • 군사용으로 전용되다.
    • 농지로 전용되다.
    • 무기로 전용되다.
    • 사무실로 전용되다.
    • 이 공간은 임원들의 회의실로만 전용되고 있다.
    • 학교에 새로 생긴 잔디밭은 축구장으로 전용되고 있다.
    • 우리는 버스에 전용되는 차선으로 달리다가 벌금을 물었다.
    • 가: 쉬는 시간에 교실 컴퓨터로 게임 할래?
    • 나: 안 돼, 그건 수업용으로만 전용되는 거야.
    • 문형 : 1이 2에/에게 전용되다, 1이 2로 전용되다
  4. 4. せんようされる【専用される】
    오직 한 가지만이 사용되다.
    それだけがもっぱら使用される。
    • 영어가 전용되다.
    • 한국어가 전용되다.
    • 한글이 전용되다.
    • 한자가 전용되다.
    • 답안지를 작성할 때는 까만색 펜만 전용됩니다.
    • 최근의 신문에는 한글이 전용되어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다.
    • 가: 중학교를 졸업하면 국제 고등학교에 진학할 생각이야.
    • 나: 모든 수업에서 영어가 전용된다던데 힘들지 않겠어?
    • 문형 : 1이 2에/에게 전용되다, 1이 2로 전용되다
전용되다2 (轉用 되다)
발음 : [저ː뇽되다 /저ː뇽뒈다 ]
동사 動詞
てんようされる【転用される】
계획된 곳에 쓰이지 않고 다른 데로 돌려져서 쓰이다.
計画通りに使われず、他の用途に使われる。
  • 전용된 예산.
  • 전용된 토지.
  • 개인적으로 전용되다.
  • 다른 목적으로 전용되다.
  • 이 땅은 농지에서 주택지로 전용될 예정이다.
  • 선거 예산이 다른 용도로 전용되었다는 것이 밝혀져 경찰이 김 후보를 체포했다.
  • 가: 이 호텔은 구조가 독특한 것 같아.
  • 나: 원래 시청으로 쓰이던 건물이 호텔로 전용된 거거든.
  • 문형 : 1이 2로 전용되다
전용 차선 (專用車線)
バスレーン。バスせんようレーン【バス専用レーン】
버스 등 특별히 정한 차만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차선.
バスなど、特定の車両だけが通れるように設けられた車線。
  • 버스 전용 차선.
  • 전용 차선이 생기다.
  • 전용 차선을 만들다.
  • 전용 차선으로 가다.
  • 전용 차선으로 다니다.
  • See More
  • 버스 전용 차선에는 버스만 달릴 수 있다.
  • 전용 차선으로 슬쩍 달리는 얌체 운전자들이 있다.
  • 가: 길이 막히니까 전용 차선으로 가자.
  • 나: 우리 둘만 타고 있다가 걸리면 벌금을 물 텐데?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