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읒
발음 : [지읃 ]
활용 : 지읒이[지으시], 지읒도[지읃또], 지읒만[지은만]
명사 名詞
チウッ
한글 자모 ‘ㅈ’의 이름.
ハングル字母の「ㅈ」の名称。
지인 (知人) ★
발음 : [지인 ]
명사 名詞
ちじん【知人】。しりあい【知り合い】
아는 사람.
互いに知っている人。
- 가까운 지인.
- 지인 관계.
- 지인의 소개.
- 지인을 만나다.
- 지인을 통하다.
- 나는 잘 아는 지인의 소개로 지금의 아내를 만났다.
- 동생은 영화감독이어서 지인들 중에 유명한 배우도 꽤 있다.
- 가: 집들이에 사람들을 많이 초대했어?
- 나: 아니. 가까운 지인들만 불러서 조촐하게 할 거야.
지자제 (地自制)
발음 : [지자제 ]
명사 名詞
じちせい【自治制】。じちせいど【自治制度】
‘지방 자치 제도’를 줄여 이르는 말.
「地方自治制度」の略。
- 지자제 선거.
- 지자제가 이루어지다.
- 지자제가 정착하다.
- 지자제를 도입하다.
- 지자제를 시행하다. See More
- 우리나라는 각 지방의 자율적인 발전을 위해서 지자제가 시작되었다.
- 지자제가 시행된 이후부터 지방 공공 단체가 자주적으로 행정을 펼 수 있게 되었다.
- 가: 우리나라는 지자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나: 네, 그래서 각 도별로 특화된 사업이 가능해지는 것 같아요.
지자체 (地自體)
발음 : [지자체 ]
명사 名詞
じちたい【自治体】。じちだんたい【自治団体】
‘지방 자치 단체’를 줄여 이르는 말.
「地方自治団体」の略。
- 지자체의 예산.
- 지자체가 결정하다.
- 지자체가 운영하다.
- 지자체가 재원을 확충하다.
- 지자체에서 시행하다. See More
- 그 건설 회사는 지자체의 허락을 받은 뒤 공장 단지를 지었다.
- 이 지역의 세금은 모두 지자체가 지방의 행정을 운영하는 데 사용된다.
- 가: 이번 지방 의회 선거는 어떤 건가요?
- 나: 주민들이 지자체의 단체장과 의회 의원을 뽑는 선거예요.
지장1 (支障) ★
발음 : [지장 ]
명사 名詞
ししょう【支障】。さしつかえ【差し支え】。さしさわり【差し障り】
일에 나쁜 영향을 주거나 방해가 되는 장애.
悪い影響を与えたり妨げとなる障害。
- 막대한 지장.
- 큰 지장.
- 지장이 없다.
- 지장이 있다.
- 지장을 받다. See More
- 야외에서 하는 체육 수업은 날씨에 지장을 많이 받는다.
-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에서 공사가 벌어져 통행에 지장을 주고 있다.
- 가: 이가 아픈데 왜 그동안 치과에 가지 않았니?
- 나: 음식을 먹는 데 별 지장이 없었거든요.
지장2 (指章)
발음 : [지장 ]
명사 名詞
ぼいん【拇印】。つめいん【爪印】。しいん【指印】
도장 대신에 손가락 끝에 인주 등을 묻혀 지문을 찍는 것.
印判を押す代わりに指の先に朱肉などを塗って、指紋がわかるように押印すること。
- 지장을 찍다.
- 우리나라에서는 주민 등록증을 만들 때 손가락으로 지장을 찍어야 한다.
- 나는 친구에게 빌린 돈을 반드시 갚겠다는 내용의 각서를 쓰고 지장까지 찍어 주었다.
- 가: 깜빡 잊고 도장을 안 가져왔는데요.
- 나: 그럼 대신 여기에 지장을 찍으시면 돼요.
- 유의어 손도장
지저귀다
발음 : [지저귀다 ]
활용 : 지저귀어[지저귀어/ 지저귀여], 지저귀니
동사 動詞
- 1. さえずる새 등이 계속하여 소리 내어 울다.小鳥などが声を出し続けて鳴く。
- 지저귀는 소리.
- 새가 지저귀다.
- 경쾌하게 지저귀다.
- 숲 안에 산새들이 지저귀는 소리가 울려 퍼졌다.
- 종달새의 경쾌한 지저귐이 마치 아름다운 노랫소리처럼 들린다.
- 가: 오늘은 일찍 일어났구나.
- 나: 아침부터 참새가 짹짹 지저귀는 바람에 잠을 깼어요.
- 문형 : 1이 지저귀다
- 2. しゃべる【喋る】쓸데없거나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을 하며 떠들다.筋が通らない話や余計なことをぺちゃぺちゃ喋る。
- 쉴 새 없이 지저귀다.
- 시끄럽게 지저귀다.
- 쓸데없이 지저귀다.
- 아기가 말을 배울 때가 되면 뜻을 알 수 없는 소리를 지저귀기 시작한다.
- 꼬마는 엄마 뒤를 졸졸 따라다니며 유치원에서 있었던 일에 대해 조잘조잘 지저귄다.
- 가: 유민이는 뭐 해?
- 나: 친구와 할 말이 많은지 전화기에 대고 쉴 새 없이 지저귀고 있어요.
- 문형 : 1이 지저귀다
지저분하다 ★★
발음 : [지저분하다 ]
활용 : 지저분한[지저분한], 지저분하여[지저분하여](지저분해[지저분해]), 지저분하니[지저분하니], 지저분합니다[지저분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 1. きたない【汚い】。きたならしい【汚らしい】。ちらかっている【散らかっている】어떤 곳이 정리되어 있지 않아서 어수선하다.ある空間に物が乱雑に広がっていて乱れている。
- 지저분한 방.
- 지저분하게 흩어져 있다.
- 길이 지저분하다.
- 도시가 지저분하다.
- 쓰레기로 지저분하다.
- 아무도 돌보지 않은 공원에 각종 쓰레기들이 지저분하게 널려 있었다.
- 아이들이 휴지를 마구 버려 교실이 지저분하다.
- 가: 길이 너무 지저분하네.
- 나: 어제 거리 응원이 있어서 그런 것 같아.
- 문형 : 1이 지저분하다
- 2. きたない【汚い】。きたならしい【汚らしい】。むさくるしい【むさ苦しい】깨끗하지 않고 보기 싫게 더럽다.清潔ではなくてみにくいほど汚らしい。
- 지저분한 옷.
- 지저분한 이불.
- 구두가 지저분하다.
- 눈가가 지저분하다.
- 머리가 지저분하다.
- 창고에 들어갔다 나왔더니 옷 가에 먼지가 지저분하게 묻었다.
- 며칠 씻지 않은 민준은 얼굴에 때가 잔뜩 끼고 매우 지저분했다.
- 가: 동생이 새 달력에 마구 낙서를 해 놨어.
- 나: 어쩐지 새 달력이 지저분하더라.
- 문형 : 1이 지저분하다
- 3. みだらだ【淫らだ】。げひんだ【下品だ】。ふしだらだ말이나 태도나 행동이 추잡하다.言葉遣いや態度、行動などがいやらしい。
- 지저분한 말.
- 지저분한 소리.
- 지저분한 행동.
- 사생활이 지저분하다.
- 생각이 지저분하다.
- 그 아저씨는 술집에다 몇백만 원씩 쓰는 등 돈을 지저분하게 쓴다.
- 그 여학생은 수십 명의 남자 친구와 사귀고 있어 행실이 지저분하다고 소문이 났다.
- 가: 그 놈은 힘없는 애들의 돈을 뺏어 쓰는 나쁜 애야.
- 나: 맞아. 아주 지저분한 놈이야.
- 문형 : 1이 지저분하다
지적1 (知的) ★
발음 : [지쩍 ]
명사 名詞
ちてき【知的】
지식이나 지성에 관한 것.
知識や知性に関すること。
- 지적인 느낌.
- 지적인 분위기.
- 지적인 사람.
- 지적인 얼굴.
- 지적으로 보이다. See More
- 그는 교양 있는 언행으로 지적인 분위기를 풍겼다.
- 나는 지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 매일 책과 신문을 읽으며 지식을 쌓았다.
- 가: 안경을 쓰고 정장을 입으니까 지적으로 보이는데?
- 나: 오늘 중요한 면접이 있어서 신경 좀 썼어.
지적2 (指摘) ★★
발음 : [지적 ]
활용 : 지적이[지저기], 지적도[지적또], 지적만[지정만]
명사 名詞
- 1. してき【指摘】어떤 것을 꼭 집어서 분명하게 가리킴.何かを具体的に取り上げ、はっきり指し示すこと。
- 지적을 당하다.
- 지적을 받다.
- 지적을 하다.
- 손가락으로 지적을 하다.
- 승규는 발표자로 지적을 당한 순간 당황하여 얼굴이 붉어졌다.
- 선생님의 지적을 받은 학생들은 칠판 앞으로 나가 문제를 풀었다.
- 가: 누가 너를 때렸는지 손으로 지적을 해 보아라.
- 나: 바로 저 사람이에요.
- 2. してき【指摘】。ちゅうい【注意】잘못된 점이나 고쳐야 할 점을 가리켜 말함.間違っている点や直すべき点などを具体的に取り上げて話すこと。
- 신랄한 지적.
- 예리한 지적.
- 올바른 지적.
- 지적이 있다.
- 문제점을 지적을 하다.
- 그는 예리한 지적을 하기로 유명한 비평가이다.
- 그 영화는 지나치게 폭력적이라는 지적이 있으니 아이들이 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 가: 건강 검진 결과에 대해서 의사가 뭐래?
- 나: 식습관을 개선하라는 지적이 있었어.
지적3 (知的) ★
발음 : [지쩍 ]
관형사 冠形詞
ちてき【知的】
지식이나 지성에 관한.
知識や知性に関するさま。
- 지적 능력.
- 지적 수준.
- 지적 허영심.
- 지적 호기심.
- 지적 활동.
- 우리는 아이큐 테스트를 통해 지적 능력을 측정해 볼 수 있다.
- 독서는 어린 아이들의 지적 호기심을 채우는 데에 도움이 된다.
- 가: 민준이는 평소에 신문을 많이 읽어서 지적 수준이 높은 것 같아.
- 나: 맞아, 신문뿐만 아니라 뉴스도 자주 봐.
지적되다 (指摘 되다)
발음 : [지적뙤다 /지적뛔다 ]
동사 動詞
- 1. してきされる【指摘される】어떤 것이 꼭 집어서 분명하게 가리켜지다.何かが具体的に取り上げられ、はっきり指し示される。
- 지적된 물건.
- 지적된 사람.
- 지적된 상품.
- 정확히 지적되다.
- 최종 우승자로 그가 지적되자 환호성이 쏟아졌다.
- 김 감독은 회의 시간에 지적된 선수들로 대표 팀을 구성하였다.
- 가: 의사에게 병명이 지적되었니?
- 나: 단순한 편두통이라고 했어요.
- 문형 : 1이 지적되다
- 2. してきされる【指摘される】。ちゅういされる【注意される】잘못된 점이나 고쳐야 할 점이 가리켜지다.間違っている点や直すべき点などが具体的に取り上げられる。
- 지적된 내용.
- 문제점이 지적되다.
- 실수가 지적되다.
- 잘못이 지적되다.
- 비판적으로 지적되다.
- 논문에서 지적된 내용을 수정한 후 다시 제출했다.
- 세계적으로 청소년들의 비만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되고 있다.
- 가: 이번 공사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면서?
- 나: 응, 특히 안전 의식이 부족하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어.
- 문형 : 1이 지적되다
'한국어기초사전 > 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정하다, 지조, 지존, 지주¹, 지주², 지중해, 지지¹, 지지², 지지다, 지지대 (0) | 2020.02.07 |
---|---|
지적 장애, 지적하다, 지점¹, 지점², 지점망, 지점장, 지점토, 지정, 지정되다, 지정석 (0) | 2020.02.07 |
지원¹, 지원², 지원군, 지원금, 지원서, 지원자, 지원하다¹, 지원하다², 지위, 지은이 (0) | 2020.02.07 |
-지요, 지엽, 지엽적¹, 지엽적², 지옥, 지우, 지우-, 지우개, 지우다¹, 지우다², 지우다³, 지워- (0) | 2020.02.07 |
지어미, 지엄하다, 지역, 지역감정, 지역구, 지연¹, 지연², 지연되다, 지연하다, 지열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