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
발음 : [처음 ]
명사 Noun
first; forefront
차례나 시간상으로 맨 앞.
The first in order or chronology.
- 노래의 처음.
- 일의 처음.
- 줄의 처음.
- 맨 처음.
- 처음 번. See More
- 승규는 시간이 지나도 늘 처음처럼 성실한 자세로 열심히 일한다.
- 내가 맨 처음으로 결승선에 도착했고 유민이가 이 등으로 도착했다.
- 형이 가진 전화기는 내가 여태껏 보지 못한 처음 보는 신기한 것이었다.
- 사람들은 그의 비명 소리에 처음에는 그가 큰 사고라도 당한 줄 알았다.
- 아버지는 지수가 처음부터 좋은 성적을 낼 것이라고 큰 기대를 하고 있었다.
- 연주가 마음에 들지 않자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처음부터 다시 연주를 시작하라고 했다.
- 가: 승규야, 너 여기 처음 와 보니?
- 나: 아니요, 지난번에 한번 와 봤으니 두 번째 오는 셈이네요.
- 준말 첨
처자1 (妻子)
발음 : [처자 ]
명사 Noun
wife and children
아내와 자식.
One's wife and children.
- 처자를 두다.
- 처자를 만나다.
- 처자를 부양하다.
- 처자를 아끼다.
- 처자를 잃다.
- 승규는 처자를 한국에 남겨 두고 해외에서 근무를 하고 있다.
- 민준이는 처자가 있는 유부남이라고는 믿겨지지 않을 만큼 젊었다.
- 가: 그 친구 정말 딱하게 됐어.
- 나: 그러게, 교통사고로 처자를 잃게 되었으니.
- 유의어 처자식
처자2 (處子)
발음 : [처ː자 ]
명사 Noun
single woman; single lady
아직 결혼하지 않은 성인 여자.
An adult woman who is not married.
- 고운 처자.
- 아름다운 처자.
- 젊은 처자.
- 처자의 얼굴.
- 처자를 만나다.
- 사내는 젊은 처자와 마주치자 가슴이 두근거렸다.
- 민준이는 우연히 만난 처자의 고운 얼굴을 잊을 수가 없었다.
- 가: 이 녀석 결혼도 안 하고 언제까지 총각으로 지낼 생각이야?
- 나: 저도 저 좋다는 처자만 있으면 당장이라도 가고 싶어요.
- 유의어 처녀
처자식 (妻子息)
발음 : [처자식 ]
활용 : 처자식이[처자시기], 처자식도[처자식또], 처자식만[처자싱만]
명사 Noun
wife and children
아내와 자식.
One's wife and children.
- 처자식이 그립다.
- 처자식이 딸리다.
- 처자식이 생각나다.
- 처자식이 없다.
- 처자식이 있다. See More
- 민준이는 처자식을 먹여 살릴 걱정에 한숨만 내쉬었다.
- 승규는 고향에 두고 온 처자식이 그리워서 견딜 수가 없었다.
- 가: 회사 생활 정말 지겨워서 그만두고 싶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야.
- 나: 그래도 어쩌겠어. 처자식 굶기지 않으려면 참고 지내야지.
- 유의어 처자¹
처장 (處長)
발음 : [처ː장 ]
명사 Noun
commissioner; director
행정 기관이나 사무 부서의 하나인 처의 책임자.
A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a division in an administrative agency or office department.
- 처장의 임기.
- 처장이 되다.
- 처장을 맡다.
- 처장에 임명되다.
- 처장으로 내정되다.
- 사무처의 처장은 모든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 승규는 행정 부서의 처장이 되어 학교의 여러 일을 처리했다.
- 가: 이번에 처장으로 승진했다며? 축하해.
- 나: 고마워. 책임이 더 막중해졌어.
처절하다 (悽絕 하다)
발음 : [처ː절하다 ]
활용 : 처절한[처ː절한], 처절하여[처ː절하여](처절해[처ː절해]), 처절하니[처ː절하니], 처절합니다[처ː절함니다]
형용사 Adjective
desperate; awful
몹시 슬프고 끔찍하다.
Very sad and dreadful.
- 처절한 광경.
- 처절한 몸부림.
- 처절한 비명.
- 처절한 사투.
- 처절하게 당하다. See More
- 내 귀에는 죽어 가는 병사의 처절한 목소리가 들려 왔다.
- 처형당하는 포로들의 사진은 너무나 처절하면서 충격적이었다.
- 가: 유민아, 너 표정이 너무 우울한데 무슨 일 있어?
- 나: 오늘 죽은 환자 가족이 처절하게 울부짖는 걸 봐서 그런가 봐.
- 문형 : 1이 처절하다
처제 (妻弟)
발음 : [처제 ]
명사 Noun
sister-in-law
아내의 여동생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A word used to refer to or address the younger sister of one's wife.
- 막내 처제.
- 처제 식구.
- 처남과 처제.
- 형부와 처제.
- 등록금을 내준 형부에게 처제가 고맙다고 편지를 썼다.
- 처제의 형편이 어려워 아내와 내가 생활비를 보태 주었다.
- 민준이는 이번 여행에 자신의 처와 처제의 식구도 함께 데려갔다.
- 가: 형부, 저희 이사했는데 언니랑 같이 놀러 오세요.
- 나: 그럴까? 처제가 이번에 어디로 이사를 갔지?
- 참고어 처남
처조카 (妻 조카)
발음 : [처조카 ]
명사 Noun
wife's nephew; wife's niece
아내의 친정 조카.
The nephew or niece of one's wife.
- 처조카 식구.
- 처조카 일가.
- 처남과 처조카.
- 처제와 처조카.
- 처조카가 태어나다.
- 처제가 처조카들을 데리고 집에 놀러 와 함께 식사를 했다.
- 처조카가 결혼한다니까 아내의 가족들이 모두들 기뻐했다.
- 가: 여보, 동생이 여행 간다고 애들 좀 맡겨도 되냐고 하는데 괜찮아요?
- 나: 처조카들이 어리니까 우리가 맡아서 봐주지 뭐.
처지 (處地) ★
발음 : [처ː지 ]
명사 Noun
circumstances
처하여 있는 형편이나 사정.
One's situation or circumstances.
- 상대방의 처지.
- 비슷한 처지.
- 서로 다른 처지.
- 어려운 처지.
- 처지가 딱하다. See More
- 나는 하숙비가 세 달이나 밀려서 쫓겨날 처지다.
- 그 친구와 나는 비슷한 처지라서 더욱 얘기가 잘 통한다.
- 부모님이 갑자기 사고로 돌아가시자 나는 동생들을 책임져야 할 처지가 되었다.
- 가: 요즘 제 처지가 어려워서 축의금을 얼마 못 넣었어요.
- 나: 괜찮아요. 사업이 어렵다는 이야기는 들었어요. 힘내세요.
처지다 ★
발음 : [처ː지다 ]
활용 : 처지어[처ː지어/ 처ː지여](처져[처ː저]), 처지니[처ː지니]
동사 Verb
- 1. bag; sag위에서 아래로 늘어지다.To hang down loosely.
- 처진 가슴.
- 처진 눈꺼풀.
- 처진 살.
- 뱃가죽이 처지다.
- 살이 처지다. See More
- 축 처진 빨랫줄을 팽팽히 당겨 위로 올렸다.
- 지수는 처진 뱃살 때문에 밤마다 운동을 했다.
- 승규가 맨 보따리는 축 처져 허리까지 내려왔다.
- 바람이 불지 않자 돛은 돛대에 달린 채로 추욱 처져 있었다.
- 가: 너 한쪽 어깨가 왜 그렇게 처져 있어?
- 나: 자꾸 한 쪽으로만 가방을 매서 그런가 봐.
- 문형 : 1이 2로 처지다
- 2. droop감정이나 기분이 가라앉다.For one's emotions or feelings to sink.
- 처진 기분.
- 기분이 처지다.
- 몸이 처지다.
- 분위기가 처지다.
- 축 처지다.
- 피곤한 몸이 자꾸 처져서 일어나려 해도 말을 듣지 않았다.
- 지수는 처진 기분을 바꿔 보려고 친구들을 만나 재미있게 놀았다.
- 가: 이거 분위기가 왜 이래? 왜 이렇게 처져 있어?
- 나: 그럼 졌는데 누가 기쁘다고 웃고 있겠어?
- 문형 : 1이 처지다
- 3. fall behind; lag behind뒤에 남거나 뒤로 떨어지다.To be left behind or to fall behind.
- 뒤로 처지다.
- 뒤에 처지다.
- 대열에서 처지다.
- 무리에서 처지다.
- 일행에서 처지다.
- 나는 일행에서 혼자 처지는 바람에 길을 잃었다.
- 나를 따라오던 승규가 뒤로 처져 보이지 않았다.
- 지수는 몇 발짝 뒤에 처져 따라오던 아들에게 힘을 내라고 격려했다.
- 가: 감독님, 제가 앞쪽으로 나가는 게 좋을까요?
- 나: 아니. 뒤에 처져 있다가 기회를 봐서 앞으로 나와.
- 문형 : 1이 2에/에게 처지다, 1이 2에서 처지다
- 4. be inferior다른 것보다 못하다.To fall behind others.
- 처지는 편.
- 가장 처지다.
- 옛날보다 처지다.
- 내 성적은 유민이보다 처졌다.
- 우리 집 형편은 큰집보다 처진 편이었다.
- 달리기를 할 때 내가 친구들에 비해 가장 처졌다.
- 가: 지수 남자 친구 봤어?
- 나: 응, 어느 모로 보나 남자 친구가 지수보다 처져서 지수가 아까웠어.
- 문형 : 1이 2보다 처지다
'한국어기초사전 > 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형되다, 처형하다, 척¹, 척², 척³, 척⁴, 척⁵, 척⁶, 척결, 척결하다 (0) | 2020.02.07 |
---|---|
처참하다, 처참히, 처첩, 처치, 처치되다, 처치하다, 처하다, 처형¹, 처형², 처형당하다 (0) | 2020.02.07 |
처분하다, 처사, 처서, 처세, 처세술, 처소, 처신, 처신하다, 처연하다, 처우 (0) | 2020.02.07 |
처마, 처먹다, 처박다, 처박히다, 처방, 처방전, 처벌, 처벌되다, 처벌하다, 처분 (0) | 2020.02.07 |
처단, 처단되다, 처단하다, 처담다, 처량하다, 처럼, 처리, 처리되다, 처리장, 처리하다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