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곳
발음 : [한곧 ]
활용 : 한곳이[한고시], 한곳도[한곧또], 한곳만[한곤만]
명사 名詞
ひとところ【一所】。ひとつところ【一つ所】
같은 곳.
同じ場所。
  • 한곳에 머무르다.
  • 한곳에 정착하다.
  • 한곳에서 살다.
  • 한곳에서 일하다.
  • 한곳에서 지내다.
  • See More
  • 우리 가족은 한곳에 오래 살지 않고 자주 이사를 다녔다.
  • 이 식당에 가면 식사부터 차와 후식까지 한곳에서 해결할 수 있다.
  • 유민이와 나는 여행하는 동안 한곳에서 먹고 자면서 더욱 친해졌다.
  • 가: 너 승규 씨에 대해서 잘 안 다며?
  • 나: 응. 한곳에서 같이 일한 지 오래됐거든.
한과 (漢菓)
발음 : [한ː과 ]
명사 名詞
ハングァ【韓菓】
밀가루를 꿀이나 설탕에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서 기름에 튀겨 물들인 과자.
小麦粉に蜂蜜または砂糖を混まぜて練り、平たく切ったものを油で揚げ色付けをした韓国伝統菓子。
  • 한과 세트.
  • 한과를 만들다.
  • 한과를 먹다.
  • 한과를 사다.
  • 한과를 선물하다.
  • 설날을 앞두고 시장에 나가 보니 여러 가지 전과 한과를 파는 곳이 많았다.
  • 명절이나 방학 때 시골에 내려가면 할머니께서 맛있는 한과를 직접 만들어 주신다.
  • 가: 할아버지 댁에 갈 때 간식으로 무엇을 사다 드리면 좋을까?
  • 나: 할아버지께서 좋아하시는 한과와 차를 사 가자.
한구석
발음 : [한구석 ]
활용 : 한구석이[한구서기], 한구석도[한구석또], 한구석만[한구성만]
명사 名詞
  1. 1. かたすみ【片隅】。すみっこ【隅っこ】
    중앙에서 멀리 떨어져 한쪽으로 치우친 곳.
    中心から遠く離れた所。
    • 한구석.
    • 한구석에 놓이다.
    • 한구석에 처박히다.
    • 한구석에 틀어박히다.
    • 어머니는 방 한구석에 있는 먼지까지도 깨끗이 닦아 내셨다.
    • 내 책상은 교실 한구석에 있어서 선생님 눈에 잘 띄지 않는다.
    • 가: 이 책을 한참 찾았는데 어디에 있었니?
    • 나: 책장 한구석에 꽂혀 있었어요.
  2. 2. かたすみ【片隅】
    한쪽 부분.
    一部分。
    • 가슴 한구석.
    • 마음 한구석.
    • 한구석이 비다.
    • 한구석이 허전하다.
    • 한구석도 없다.
    • 남동생을 군대에 보내고 나니 마음 한구석이 텅 빈 것처럼 허전하다.
    • 유민이는 외모로나 성격으로나 자기 부모님을 닮은 곳이 한구석도 없었다.
    • 가: 아들을 너무 꾸중만 하지 마시고 칭찬도 좀 해 주세요.
    • 나: 어디 예쁜 데가 한구석이라도 있어야지.
한국 (韓國) ★★★
발음 : [한ː국 ]
활용 : 한국이[한ː구기], 한국도[한ː국또], 한국만[한ː궁만]
명사 名詞
かんこく【韓国】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있는 나라. 한반도와 그 부속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한민국이라고도 부른다. 1950년에 일어난 육이오 전쟁 이후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국토가 둘로 나뉘었다. 언어는 한국어이고, 수도는 서울이다.
アジア大陸の東側にある国。韓半島とその周囲の島礁から構成されていて、大韓民国(テハンミングク)とも呼ばれている。1950年に起きた韓国戦争以降、休戦ラインを挟んで南北に分断されている。主要言語は韓国語で、首都はソウル。
한국말 (韓國 말) ★★
발음 : [한ː궁말 ]
명사 名詞
かんこくご【韓国語】
한국에서 사용하는 말.
韓国で話されている言語。
  • 서툰 한국말.
  • 한국말이 어렵다.
  • 한국말을 가르치다.
  • 한국말을 구사하다.
  • 한국말을 배우다.
  • See More
  • 외국에서 온 손님이 한국말을 전혀 못 해 영어로 대화가 이루어졌다.
  • 그 외국인 교수는 한국에서 산 지 오래되어서 한국말을 아주 잘한다.
  • 미국에서 온 남자는 한국말로 또박또박 자기소개를 한 후 허리를 꺾어 인사했다.
  • 가: 아이들은 외국에서 잘 지내고 있어?
  • 나: 응. 그런데 한국말을 많이 잊어버린 거 같아서 걱정이야.
한국미 (韓國美)
발음 : [한ː궁미 ]
명사 名詞
かんこくのび【韓国の美】
한국의 아름다움. 또는 한국적인 아름다움.
韓国の美しさ。また、韓国的な美しさ。
  • 한국미가 나타나다.
  • 한국미가 드러나다.
  • 한국미를 느끼다.
  • 한국미를 살리다.
  • 한국미를 지키다.
  • See More
  • 배우 이 씨는 국제 영화제에 한복을 입고 나가 한국미를 선보였다.
  • 박물관에 가서 선조들이 남긴 그림을 보면 한국미를 느낄 수 있다.
  • 가: 한옥은 참 아름다운 건축물인 것 같아.
  • 나: 맞아, 한옥에서는 한국미가 느껴지지.
한국사 (韓國史)
발음 : [한ː국싸 ]
명사 名詞
かんこくし【韓国史】
한국의 역사.
韓国の歴史。
  • 한국사 연구.
  • 한국사를 기술하다.
  • 한국사를 배우다.
  • 한국사를 알다.
  • 한국사를 전공하다.
  • 한국 사람으로서 한국사를 배우고 익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 한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주변 국가의 역사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 가: 요즘 네가 역사책을 열심히 읽는구나.
  • 나: 사극 드라마를 많이 보다 보니 한국사에 관심이 생겼거든요.
한국어 (韓國語) ★★
발음 : [한ː구거 ]
명사 名詞
かんこくご【韓国語】
한국에서 사용하는 말.
韓国で話されている言語。
  • 서툰 한국어.
  • 어려운 한국어.
  • 한국어 강의.
  • 한국어 교재.
  • 한국어 문법.
  • See More
  • 그 여자는 한국인 남편과 같이 산 지 십 년이 넘었는데도 한국어 실력이 형편없었다.
  • 우리는 한국어를 할 줄 아는 외국인의 도움을 받아 낯선 외국에서도 길을 헤매지 않았다.
  • 가: 민준이는 왜 그렇게 한국어가 서툴러?
  • 나: 응, 어렸을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거기서 쭉 살았대.
한국인 (韓國人) ★★
발음 : [한ː구긴 ]
명사 名詞
かんこくじん【韓国人】
대한민국 국적을 가졌거나 한민족의 혈통과 정신을 이어받은 사람.
大韓民国の国籍を持っているか、韓民族の血統と精神を受け継ぐ人。
  • 한국인의 문화.
  • 한국인의 정서.
  • 한국인이 되다.
  • 한국인으로 귀화하다.
  • 한국인으로 살다.
  • See More
  • 내 남편은 한국인 어머니와 영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 한반도는 한국인들이 오랜 세월 뿌리내리고 살아온 삶의 터전이다.
  • 아버지께서는 교포 이세인 나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심어 주고자 애쓰셨다.
  • 가: 너는 언제 한국인으로 태어난 것이 제일 자랑스럽니?
  • 나: 스포츠 경기에서 한국 선수들이 우승하는 걸 볼 때요.
한국적1 (韓國的) ★★
발음 : [한ː국쩍 ]
명사 名詞
かんこくてき【韓国的】
한국 고유의 특징이 있거나 한국에 알맞은 것.
韓国固有の特徴を持っているか、韓国に似つかわしいこと。
  • 한국적인 맛.
  • 한국적인 미.
  • 한국적인 선.
  • 한국적인 정신.
  • 한국적인 정취.
  • See More
  • 한복에는 단아하고 우아한 한국적인 아름다움이 있다.
  • 오늘날 한국의 민주주의는 외국의 제도를 들여와 한국적으로 변형한 것이다.
  • 가: 김 박사님, 한국적인 열정이란 어떤 것일까요?
  • 나: 예를 들어, 월드컵 때 거리 응원을 펼치는 것 같은 모습이지 않을까요?
한국적2 (韓國的) ★★
발음 : [한ː국쩍]
관형사 冠形詞
かんこくてき【韓国的】
한국 고유의 특징이 있거나 한국에 알맞은.
韓国固有の特徴を持っているか、韓国に似つかわしいさま。
  • 한국적 교육.
  • 한국적 모형.
  • 한국적 미.
  • 한국적 상황.
  • 한국적 정서.
  • See More
  • 많은 나라에서 한국적 경제 성장의 모형을 배워 갔다.
  • 은은한 곡선이 살아 있는 처마 지붕은 한국적 미를 잘 표현한다.
  • 가: 김 작가님, 이번 소설의 모티프는 무엇이었나요?
  • 나: 자녀들을 위해 희생하는 한국적 어머니 상을 그려 보고자 했어요.
한국학 (韓國學)
발음 : [한ː구칵 ]
활용 : 한국학이[한ː구카기], 한국학도[한ː구칵또], 한국학만[한ː구캉만]
명사 名詞
かんこくがく【韓国学】
한국의 역사, 지리, 문화, 정치, 경제 등 한국에 관련된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
韓国の歴史・地理・文化・政治・経済など、韓国関連の分野を研究する学問。
  • 한국학 연구.
  • 한국학 전문가.
  • 한국학을 다루다.
  • 한국학을 소개하다.
  • 한국학을 전공하다.
  • 김 교수는 한국 문화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미국 학계에 한국학을 소개했다.
  • 최근 한국의 국가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해외에서 한국학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 가: 외국인이신데 어떻게 한국학을 연구하시게 되었나요?
  • 나: 사실 저희 어머니가 한국인 혼혈이시라 한국에는 늘 관심이 있었습니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