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퀴다
발음 : [할퀴다 ]
활용 : 할퀴어[할퀴어/ 할퀴여], 할퀴니
동사 動詞
  1. 1. ひっかく【引っ掻く】
    손톱이나 날카로운 물건 등으로 긁어 상처를 내다.
    つめや先のとがったもので強く掻いて傷つける。
    • 할퀸 상처.
    • 고양이가 할퀴다.
    • 얼굴을 할퀴다.
    • 손톱으로 할퀴다.
    • 발톱으로 할퀴다.
    • 아가씨는 흥분해서 손톱으로 내 얼굴을 할퀴었다.
    • 고양이는 화가 났는지 발톱으로 내 손등을 할퀴고 도망갔다.
    • 가: 유민이랑 지수랑 크게 싸웠다며?
    • 나: 응. 둘이서 때리고 할퀴고 한바탕 난리가 났었어.
    • 문형 : 1이 2를 할퀴다
  2. 2. つめあとをのこす【爪痕を残す】
    태풍, 홍수, 거센 바람, 전쟁 등이 스치거나 휩쓸고 지나가다.
    台風・洪水・強い風・戦争などが襲ったり通り過ぎていく。
    • 수마가 할퀴고 가다.
    • 전쟁이 할퀴고 가다.
    • 태풍이 할퀴고 지나가다.
    • 바람이 몸을 할퀴다.
    • 추위가 온몸을 할퀴다.
    • 세찬 겨울 바람이 몸을 할퀴고 지나갔다.
    • 수마가 할퀴고 간 마을의 모습은 처참했다.
    • 태풍이 할퀴고 지나간 자리마다 엄청난 피해가 있었다.
    • 가: 성벽의 한 쪽이 까맣게 된 건 왜 그런 건가요?
    • 나: 전쟁이 할퀴고 간 흔적이지요.
    • 문형 : 1이 2를 할퀴다
핥다
발음 : [할따 ]
활용 : 핥아[할타], 핥으니[할트니], 핥고[할꼬], 핥는[할른], 핥지[할찌]
동사 動詞
  1. 1. なめる【嘗める・舐める】
    어떤 물체의 표면을 혀가 살짝 닿으면서 지나가게 하다.
    ある物体の表面を舌の先でなでるように触れる。
    • 그릇을 핥다.
    • 사탕을 핥다.
    • 아이스크림을 핥다.
    • 입으로 핥다.
    • 혀로 핥다.
    • 아이는 사탕을 핥으며 걸어갔다.
    • 강아지가 다가와 내 손등을 혀로 핥았다.
    • 아이가 아이스크림을 핥는 모습이 귀여웠다.
    • 가: 엄마, 강아지가 자꾸 몸을 혀로 핥아요.
    • 나: 어디 보자. 상처가 난 것 같으니 병원에 데려 가야겠어.
    • 문형 : 1이 2를 핥다
  2. 2. なめる【嘗める・舐める】
    (비유적으로) 물, 불, 빛, 시선 등이 물체의 표면을 부드럽게 스치거나 비추거나 머무르다.
    (比喩的に)水・火・光・視線などが物体の表面をこすったり照らしたり留まったりする。
    • 불길이 지붕을 핥다.
    • 노을이 하늘을 핥다.
    • 달빛이 하늘을 핥다.
    • 파도가 모래사장을 핥다.
    • 햇빛이 나뭇잎을 핥다.
    • 파도는 모래사장을 핥은 뒤 밀려 갔다.
    • 불길은 지붕을 핥고 집 전체를 태웠다.
    • 모래밭을 핥는 파도 소리가 크게 들렸다.
    • 밤하늘을 핥던 달빛이 사라지자 주변은 다시 어두워졌다.
    • 가: 바람이 부니 참 시원하다.
    • 나: 그러게. 마치 우리 몸을 핥고 지나가는 것 같아.
    • 문형 : 1이 2를 핥다
(函)
발음 : [함ː ]
명사 名詞
  1. 1. はこ【箱】
    옷이나 물건 등을 넣을 수 있게 만든 네모난 모양의 상자.
    衣服や物などを入れるための方形の器。
    • 을 꺼내다.
    • 을 내놓다.
    • 에 넣다.
    • 에 보관하다.
    • 에 정리하다.
    • See More
    • 어머니는 에 옷을 넣고 뚜껑을 닫았다.
    • 할머니는 패물을 보관하는 을 꺼내 오셨다.
    • 가: 엄마, 제 겨울옷 어디 두셨어요?
    • 나: 장롱 위 에 넣어 뒀어.
  2. 2. ハム【函】
    결혼할 때 신랑 쪽에서 옷감과 청혼의 내용을 적은 편지를 넣어 신부 쪽에 보내는 상자.
    結婚するとき、新郎側が反物と求婚の内容を書いた書状を入れて新婦側に送る函。
    • 을 받다.
    • 을 보내다.
    • 을 지다.
    • 을 팔다.
    • 을 사다.
    • 을 진 남자가 신부의 집에 들어갔다.
    • 신랑의 친구들이 을 팔러 신부 집에 왔다.
    • 가: ' 사세요.' 라는 소리가 들리는 걸 보니 누가 결혼하나 봐?
    • 나: 요즘에는 을 안 보내는 집들도 있던데.
함경남도 (咸鏡南道)
발음 : [함경남도 ]
명사 名詞
ハムギョンナムド【咸鏡南道】
한반도 북동부에 있는 도. 산악 지역이며 동쪽으로 동해와 접해 있다. 주요 도시로는 함흥, 단천 등이 있다.
韓半島北東部にある地域。山岳地域で東側は東海に臨んでいる。主要都市は咸興(ハムン)、端川(タンチョン)など。
함경도 (咸鏡道)
발음 : [함경도 ]
명사 名詞
ハムギョンド【咸鏡道】
함경남도와 함경북도.
咸鏡南道(ハムギョンナムド)と咸鏡北道(ハムギョンブクド)。
함경북도 (咸鏡北道)
발음 : [함경북또 ]
명사 名詞
ハムギョンブクド【咸鏡北道】
한반도 북쪽 끝에 있는 도. 북쪽은 중국과, 동쪽은 동해와 접해 있다. 주요 도시로는 청진, 김책 등이 있다.
韓半島の北端にある道。北側は中国と、東側は東海に接している。主要都市には清津(チョンジン)、金策(キムチェク)などがある。
함구 (緘口)
발음 : [함구 ]
명사 名詞
かんこう【箝口・緘口】。かんもく【緘黙】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음.
口を閉じて何も言わないこと。
  • 철저한 함구.
  • 관계자의 함구.
  • 함구를 하다.
  • 함구를 고수하다.
  • 함구로 일관하다.
  • 사람들의 함구는 사건의 전모를 숨기는 데 일조했다.
  • 사건에 관련된 사람들의 철저한 함구 속에 비밀이 지켜졌다.
  • 가: 용의자가 공범을 이야기했나?
  • 나: 계속 함구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함구령 (緘口令)
발음 : [함구령 ]
명사 名詞
かんこうれい【箝口令】
어떤 내용을 말하지 말라는 명령.
ある事柄に関する発言を禁じる命令。
  • 함구령이 떨어지다.
  • 함구령이 내려지다.
  • 함구령을 내리다.
  • 함구령을 어기다.
  • 함구령을 지키다.
  • 대대장은 부대에 함구령을 내려 헛소문이 퍼지지 못하게 했다.
  • 세자의 어머니에 대한 일은 일체 발설하지 말라는 함구령이 내려졌다.
  • 가: 이번 드라마 결말이 어떻게 된대?
  • 나: 몰라. 제작진이 종영을 앞두고 결말에 대해 함구령을 내렸대.
함구하다 (緘口 하다)
발음 : [함구하다 ]
동사 動詞
かんもくする【緘黙する】。おしだまる【押し黙る】。もくひする【黙秘する】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다.
口を閉じて何も言わない。
  • 비밀을 함구하다.
  • 사실을 함구하다.
  • 진실을 함구하다.
  • 일체 함구하다.
  • 함구해 버리다.
  • See More
  • 범인은 범행 동기를 함구하고 말을 꺼내려 하지 않았다.
  • 지수는 자신의 투병 사실을 함구하는 바람에 아무도 지수가 병에 걸린 것을 몰랐다.
  • 가: 신문 봤어? 이번에 추진한 계약과 관련된 기사가 났던데.
  • 나: 회사에서 계약과 관련된 것은 함구하라고 했는데 어떻게 된 거지?
  • 문형 : 1이 2를 함구하다
함께 ★★★
발음 : [함께 ]
부사 副詞
  1. 1. いっしょに【一緒に】。ともに【共に】
    여럿이서 한꺼번에 같이.
    複数の人がともに。
    • 함께 걷다.
    • 함께 공부하다.
    • 함께 놀다.
    • 함께 살다.
    • 함께 즐기다.
    • 어려서부터 형과 나는 늘 함께 놀았다.
    • 아내와 나는 직장이 멀어서 함께 살지 않는다.
    • 가: 아버지, 이번 휴가 때 어디에 갈까요?
    • 나: 온 가족이 함께 제주도에 가자.
    • ※ 주로 '~과 함께'로 쓴다.
  2. 2. いっしょに【一緒に】。ともに【共に】
    무엇과 더불어 동시에.
    ある事と同時に。
    • 천둥 소리와 함께 번갯불이 번쩍했다.
    • 절벽에서 떨어지는 순간 나는 비명과 함께 정신을 잃었다.
    • 가: 이번 대회에 기대가 컸을 텐데 지수는 괜찮아?
    • 나: 탈락 소식을 듣더니 한숨과 함께 눈물을 뚝뚝 떨어뜨렸대.
    • ※ 주로 '~과 함께'로 쓴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