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문서 (電子公文書)
전자문서란 일반적으로 조직 간의 업무처리에 있어서 종래의 종이로 된 문서를 대체하여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화되고 표준화된 양식으로 전자문서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상호간에 데이타를 교환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중 전자공문서란 행정기관의 전자문서를 가리키는 말로써, 전산망을 이용하여 컴퓨터 간에 전송·처리·보관되거나 출력된 문서형식의 자료로서 표준화된 것으로 전자서명을 포함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금융 (電子金融)
전자금융이란 인터넷뱅킹이나 폰뱅킹, 주식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인터넷을 통한 보험 등 각종 금융거래가 기존의 창구나 영업사원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대신 인터넷이나 전화 등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전자금융은 그 편리함 때문에 급속도로 확산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나 본인확인이나 거래의 비밀 보장 등에서 새로운 기술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법적인 정비도 아직 미흡한 편이라 하겠다.
전자금융거래 (電子金融去來)
은행을 직접 찾아가지 않더라도 인터넷이나 PC 통신으로 은행의 컴퓨터에 접속한 다음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원하는 은행업무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의 확대로 은행들이 앞다투어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실시하여 온라인상에서 대출까지 가능해질 정도로 서비스의 범위가 넓어졌다.
전자기록 (電子記錄)
전자적 방식, 자기적 방식 기타 타인이 지각하여 인식할 수 있는 방식에 의하여 작성된 기록으로서 전자계산기에 의한 정보처리에 쓰이도록 된 것을 말한다. 즉, 컴퓨터 범죄에 대처할 필요에서 컴퓨터 데이터처리에 쓰이는 전기디스크나 전기테이프상의 기록을 뜻한다.
전자기록물 (電子記錄物)
컴퓨터 등 전자적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생성 · 획득 · 이용 · 관리되는 기록이다. 디지털 형태로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디지털 기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산 시스템을 통하여 처리되는 기록으로, 전자 형태로 생산된 기록(born digital)과 종이 등 아날로그 형태로 생산되었다가 이미지 스캔등의 방식으로 디지털화된 기록을 모두 포함한다. 이메일은 전자 형태의 서신이며, 워드 프로세서로 생성된 문서 파일은 종이 문서의 전자 형태에 대응된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로 조직화된 인사 기록이나 지리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 등은 종이 기록의 대응물보다 더 복잡한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전자기록생산시스템 (電子記錄生産시스템,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전자 기록을 관리·보존·검색·활용·처분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이다. 종이 기반의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전산화 시스템과는 달리 전자 기록의 관리에 중점을 둔다. 그러나 종이와 전자 기록을 함께 관리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법령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민원창구,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지원센터, 전자서명, 전자서명검증정보, 전자서명생성정보 (0) | 2020.05.20 |
---|---|
전자단기사채, 전자단기사채, 전자문서, 전자문서·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전자문서교환방식, 전자문서유통 (0) | 2020.05.20 |
전일제, 전입금, 전자거래, 전자거래사업자, 전자결제, 전자결제수단 (0) | 2020.05.19 |
전용실시권, 전용주거구역, 전용허가, 전원개발, 전원위원회, 전유부분 (0) | 2020.05.19 |
전수교육, 전시산업, 전업농업인, 전염병, 전용면적, 전용사용권 (0) | 2020.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