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니만
참고 :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1. 1. たら。と。て
    과거의 사실이나 상황에 뒤이어 어떤 사실이나 상황이 일어남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연결 어미.
    過去の事実や状況に次いで、ある事実や状況が起こるという意を強調して表す「連結語尾」。
    • 승규가 나를 보더니만 꾸벅 인사를 했어요.
    • 그는 느릿한 걸음으로 나를 향해 오더니만 내 앞에 우뚝 섰다.
    • 민준이는 모자를 만지작거리더니만 벗었다가 다시 고쳐 썼다.
    • 할아버지께 세배를 드리러 갔더니만 어딜 가셨는지 안 계시더라고.
    • 가: 너 많이 피곤해 보인다.
    • 나: 어제 늦게까지 일을 했더니만 몸이 안 좋네.
  2. 2. たが。ていたけれど
    과거에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과 다른 새로운 사실이 있음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연결 어미.
    過去の経験を通して知った事実と異なる新しい事実があるという意を強調して表す「連結語尾」。
    • 어제는 비가 내리더니만 오늘은 해가 떴다.
    • 네가 예전엔 이런 음식을 안 먹더니만 이제는 잘 먹는구나.
    • 아이는 그렇게 서럽게 울더니만 언제 그랬냐는 듯이 울음을 뚝 그쳤다.
    • 가: 박 씨가 요즘 일을 제일 많이 한다며?
    • 나: 맞아. 그 사람이 전에는 이 일을 하기 싫다고 난리더니만 지금은 누구보다 열심이야.
  3. 3. たら。たけっか【た結果】。たうえに【た上に】
    과거의 어떤 사실에 대하여 그와 관련된 또 다른 사실이 있음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연결 어미.
    過去のある事実について、それと関連したもう一つの事実があるという意を強調して表す「連結語尾」。
    • 정 사장이 사업이 잘 안 된다더니만 결국 망했지요.
    • 승규는 축구를 잘하더니만 야구도 잘하더라고요.
    • 그 사람한테 내 용건을 설명해 줬더니만 잘 안내를 해 주었어요.
더더구나
발음 : [더더구나 ]
부사 副詞
さらに【更に】。しかも【然も】
(강조하는 말로) 더구나.
「更に」を強調していう語。
  • 이 옷은 디자인도 훌륭하고 더더구나 가격도 싼 편이다.
  • 무뚝뚝한 우리 남편은 평소에 고맙다는 말도 못하는데, 사랑한다는 말은 더더구나 할 리가 없다.
  • 가: 이 학생은 수업에 결석도 잦고 더더구나 숙제를 낸 적도 없어요.
  • 나: 그래서 이렇게 성적이 좋지 않은 것이로군요.
더더군다나
발음 : [더더군다나 ]
부사 副詞
さらに【更に】。しかも【然も】
(강조하는 말로) 더군다나.
「更に」を強調していう語。
  • 수입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올랐는데 더더군다나 환율까지 떨어지자 중소 수출업체들은 비상이 걸렸다.
  • 덧셈 뺄셈도 못하는 아이한테 방정식을, 더더군다나 이차 방정식을 가르치다니 교육열이 도를 넘어섰다.
  • 전문 산악인도 하기 힘든 암벽 등반을 아마추어가, 더더군다나 여고생이 해내자 사람들은 큰 박수를 보냈다.
  • 가: 그 회사는 연봉도 높은 편이고 더더군다나 직원들에 대한 복지가 잘 되어 있어요.
  • 나: 그래서 구직자들이 가장 입사하고 싶은 회사로 뽑힌 것이로군요.
더더욱
발음 : [더더욱 ]
부사 副詞
もっともっと。よりいっそう【より一層】。さらに【更に】
(강조하는 말로) 더욱.
「もっと」を強調していう語。
  • 더더욱 강하다.
  • 더더욱 노력하다.
  • 더더욱 따뜻하다.
  • 더더욱 맛있다.
  • 더더욱 빠르다.
  • See More
  • 아이를 낳고 나니 아내는 더더욱 강인한 여자가 되었다.
  • 무서워서 수영도 못하는 나에게 다이빙은 더더욱 못 할 일이다.
  • 타고난 음악 천재인 지수의 피아노 실력은 김 선생을 만난 후 더더욱 늘어 갔다.
  • 가: 나는 배려심 없는 사람은 싫어.
  • 나: 나도 그래. 그뿐 아니라 거짓말 하는 사람은 더더욱 싫어.
더덕
발음 : [더덕 ]
활용 : 더덕이[더더기], 더덕도[더덕또], 더덕만[더덩만]
명사 名詞
つるにんじん【蔓人参】
독특한 향기와 맛이 있어 식재료나 약재로 사용되는, 산이나 들에서 나는 식물의 뿌리.
独特の香りと味があって食材や薬剤に使われる、山や野原に生える植物の根。
  • 더덕이 맛있다.
  • 더덕을 먹다.
  • 더덕을 손질하다.
  • 더덕을 캐다.
  • 향긋한 더덕을 양념하여 무친 요리는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은 반찬이다.
  • 산 중턱에 있는 우리 농장에서는 더덕과 도라지를 재배하고 있다.
  • 가: 여보, 오늘 저녁 메뉴는 뭐죠?
  • 나: 더덕을 넣은 비빔밥이에요.
더덕더덕
발음 : [더덕떠덕 ]
부사 副詞
  1. 1. べたべた
    조그마한 것들이 한곳에 많이 지저분하게 붙어 있는 모양.
    小さい物が一か所にたくさん汚く貼り付いているさま。
    • 더덕더덕 붙다.
    • 더덕더덕 붙이다.
    • 더덕더덕 앉다.
    • 더덕더덕 엉기다.
    • 담벼락은 더덕더덕 붙여진 포스터로 보기 흉했다.
    • 그 영화의 줄거리는 이 얘기 저 얘기를 더덕더덕 붙여 놓은 것같이 산만했다.
    • 지독히 가난했던 어린 시절 우리 다섯 남매는 단칸방에 더덕더덕 붙어 살았다.
  2. 2. つぎはぎ【継ぎ接ぎ】
    보기 흉할 만큼 지저분하게 여기저기 기운 모양.
    みずぼらしいほど汚くあちこちに継ぎが当たっているさま。
    • 더덕더덕 깁다.
    • 더덕더덕 덧대다.
    • 가난한 시절에는 누구나 더덕더덕 기운 옷을 입고 살았다.
    • 알뜰하신 어머니는 이미 더덕더덕 덧대지 않은 곳이 없는 그 옷을 또 기워 입곤 하셨다.
    • 가난한 남편을 만나 더덕더덕 기운 옷을 입고 외출하는 아내를 보니 마음이 무거워졌다.
  3. 3. べたべた
    화장을 아주 짙게 한 모양.
    化粧が非常に濃いさま。
    • 더덕더덕 바르다.
    • 더덕더덕 칠하다.
    • 지수는 빨간 립스틱을 더덕더덕 발랐다.
    • 연극 배우들은 저마다 더덕더덕 분장을 해서 괴이한 얼굴을 하고 있었다.
더덕더덕하다
발음 : [더덕떠더카다 ]
활용 : 더덕더덕한[더덕떠더칸], 더덕더덕하여[더덕떠더카여](더덕더덕해[더덕떠더캐]), 더덕더덕하니[더덕떠더카니], 더덕더덕합니다[더덕떠더캄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べたべたとする
    조그마한 것들이 한곳에 많이 지저분하게 붙어 있다.
    小さい物が一か所にたくさん汚く貼り付いている。
    • 벽이 포스터로 더덕더덕하다.
    • 눈에 눈곱이 더덕더덕하다.
    • 얼굴에 여드름이 더덕더덕하다.
    • 집주인은 지금 막 일어났는지 눈곱이 더덕더덕한 얼굴로 문을 열었다.
    • 여드름이 더덕더덕했던 얼굴이 깨끗해지고 보니 그녀는 꽤 미인이었다.
    • 관청에서는 여기저기서 붙인 포스터로 더덕더덕해진 벽을 새롭게 단장하기로 했다.
    • 문형 : 1이 2에 더덕더덕하다
  2. 2. つぎはぎだらけだ【継ぎ接ぎだらけだ】
    보기 흉할 만큼 지저분하게 여기저기 기워 놓은 데가 많다.
    みずぼらしいほど汚くあちこちに継ぎが当たっている。
    • 모자가 더덕더덕하다.
    • 수건이 더덕더덕하다.
    • 양말이 더덕더덕하다.
    • 옷이 더덕더덕하다.
    • 외투가 더덕더덕하다.
    • 연극의 주인공은 더덕더덕하게 기운 옷을 입고 등장했다.
    • 어렸을 적 가난한 살림에 우리 형제들은 늘 더덕더덕하게 기운 양말을 신고 다녔다.
    • 가: 어릴 때는 더덕더덕하게 기운 옷을 입고 다니는 게 너무 창피했어.
    • 나: 맞아. 지금 생각해 보면 가난은 부끄러운 게 아닌데 말이야.
    • 문형 : 1이 더덕더덕하다
  3. 3. べたべたとする
    화장을 아주 짙게 한 상태이다.
    化粧が非常に濃い。
    • 더덕더덕하게 바르다.
    • 화장이 더덕더덕하다.
    • 이모는 얼굴의 주름을 가리느라고 늘 더덕더덕한 화장을 하고 다닌다.
    • 나는 얼굴이 탈까 봐 자외선 차단제를 더덕더덕하게 발랐다.
    • 문형 : 1이 더덕더덕하다
더듬거리다
발음 : [더듬거리다 ]
활용 : 더듬거리는[더듬거리는], 더듬거리어[더듬거리어/ 더듬거리여](더듬거려[더듬거려]), 더듬거리니[더듬거리니], 더듬거립니다[더듬거림니다]
동사 動詞
  1. 1. てさぐりする【手探りする】。さぐる【探る】
    무엇을 찾거나 알아보려고 이리저리 자꾸 만지거나 헤매다.
    何かを探したり調べたりするために、あちこち触ったり迷ったりする。
    • 더듬거리며 찾다.
    • 더듬거리며 헤매다.
    • 골목을 더듬거리다.
    • 길을 더듬거리다.
    • 손을 더듬거리다.
    • 갑자기 정전이 돼서 손을 더듬거리며 초를 찾았다.
    • 치매에 걸린 그 노인은 집이 어디인지를 못 찾아서 골목을 더듬거리고 있던 것이라고 했다.
    •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오지 마을에 가자 밤이 되면 모든 것을 더듬거리면서 찾을 수밖에 없었다.
    • 가: 왜 이렇게 늦었어?
    • 나: 중간에 길을 더듬거리며 헤매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어.
  2. 2. くちごもる【口籠る】。どもる【吃る】。よどむ【澱む】
    말하거나 글을 읽을 때 자꾸 막히거나 머뭇거리거나 한 말을 또 하거나 하다.
    何かを言ったり読んだりする時、言葉に詰まったり、言い渋ったり、同じことを何度も繰り返して言ったりする。
    • 더듬거리는 버릇.
    • 더듬거리는 서툰 말솜씨.
    • 말을 더듬거리다.
    • 말을 더듬거리는 버릇이 있는 김 씨는 말씨를 바꾸기 위해 웅변 학원에 다니고 있다.
    • 평소에는 유창한 말솜씨를 뽐내던 지수였지만 그날은 웬일인지 말을 더듬거렸다.
    • 가: 발표한다더니 잘 했어?
    • 나: 아니, 망쳤어. 긴장해서 말까지 더듬거렸지 뭐야.
더듬다
발음 : [더듬따 ]
활용 : 더듬어[더드머], 더듬으니[더드므니]
동사 動詞
  1. 1. てさぐりする【手探りする】。さぐる【探る】
    무엇을 찾거나 알아보려고 이리저리 만져 보거나 헤매다.
    何かを探したり調べたりするために、あちこち触ったり迷ったりする。
    • 서랍 속을 더듬다.
    • 손을 더듬다.
    • 앞을 더듬다.
    • 침대 밑으로 손을 넣어 더듬어 보니 잃어버린 줄 알았던 휴대폰이 만져졌다.
    • 할아버지는 돋보기를 찾으시려고 바닥을 손으로 더듬으셨다.
    • 문형 : 1이 2를 더듬다
  2. 2. さぐる【探る】。たどる【辿る】
    잘 알지 못하는 것을 짐작하여 찾다.
    よく知らないことを推測で探す。
    • 길을 더듬다.
    • 발자취를 더듬다.
    • 흔적을 더듬다.
    • 나는 입양된 이후 친부모의 흔적을 더듬는 일에 몰두했다.
    • 이 책은 우리 조상들의 생활상을 더듬어 보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귀한 자료이다.
    • 김 형사는 미궁에 빠진 그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원점으로 돌아가 사건을 차근차근 더듬어 보기로 했다.
    • 문형 : 1이 2를 더듬다
  3. 3. たどる【辿る】
    뚜렷하지 않은 기억이나 생각을 짐작하여 되살리다.
    明らかでない記憶や考えをよみがえらせる。
    • 기억을 더듬다.
    • 생각을 더듬다.
    • 추억을 더듬다.
    • 결혼을 앞두고 그녀와의 추억을 더듬어 보니 행복했던 순간이 많이 떠올랐다.
    • 어렸을 적 부모님의 가르침을 더듬어 보면 두 분은 참으로 지혜로운 분이셨던 것 같다.
    • 지수는 지금 자기에게 인사한 사람이 누군지 생각해 내기 위해 기억을 더듬어 봤지만 도저히 알 수가 없었다.
    • 문형 : 1이 2를 더듬다
  4. 4. くちごもる【口籠る】。どもる【吃る】。よどむ【澱む】
    말하거나 글을 읽을 때 매끄럽지 못하고 자꾸 막히다.
    何かを言ったり読んだりする時、滑らかでなく、よく言葉に詰まる。
    • 말을 더듬다.
    • 수줍음이 많은 지수는 여러 사람 앞에만 서면 말을 더듬는 버릇이 있다.
    • 일부러 우스꽝스럽게 말을 더듬는 그 개그맨의 말투는 큰 인기를 끌었다.
    • 지수는 친구들 앞에서는 쾌활하면서도 정작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는 말까지 더듬을 정도로 순진하다.
    • 문형 : 1이 2를 더듬다
더듬대다
발음 : [더듬대다 ]
동사 動詞
  1. 1. てさぐりする【手探りする】。さぐる【探る】
    무엇을 찾거나 알아보려고 이리저리 자꾸 만지거나 헤매다.
    何かを探したり調べたりするために、あちこち触ったり迷ったりする。
    • 더듬대며 찾다.
    • 더듬대며 헤매다.
    • 골목을 더듬대다.
    • 길을 더듬대다.
    • 손을 더듬대다.
    • 열쇠 꾸러미는 높은 선반 위에 있어서 손으로 더듬대며 찾을 수밖에 없었다.
    • 나는 눈이 많이 나빠서 안경을 벗으면 손을 더듬대면서 겨우 물건을 찾는다.
    • 지팡이를 짚고 더듬대며 걸어오는 걸 보니 저 사람은 아마도 시각 장애인일 것이다.
    • 가: 어쩌다가 손을 다쳤어?
    • 나: 아침에 눈이 안 떠진 상태에서 안경을 찾는다고 바닥을 더듬대다 날카로운 물건에 베었어.
  2. 2. くちごもる【口籠る】。どもる【吃る】。よどむ【澱む】
    말하거나 글을 읽을 때 자꾸 막히거나 머뭇거리거나 한 말을 또 하거나 하다.
    何かを言ったり読んだりする時、言葉に詰まったり、言い渋ったり、同じことを何度も繰り返して言ったりする。
    • 더듬대는 버릇.
    • 말을 더듬대다.
    • 억지로 사투리를 고치려고 하다 보니 자꾸 말을 더듬대게 되었다.
    • 말을 더듬대는 버릇 때문에 똑똑해 보이지 않는 승규는 사실은 수학 천재다.
    • 지수는 큰 교통사고를 당한 뒤부터 사고의 악몽이 떠오를 때마다 말을 더듬대곤 한다.
    • 가: 민준이는 당황할 때마다 말을 더듬대.
    • 나: 성격이 급해서 그래.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