뚝배기
발음 : [뚝빼기 ]
명사 名詞
どなべ・つちなべ【土鍋】
찌개를 끓이거나 국밥 등을 담는 데 쓰는 검정이나 갈색 질그릇.
「チゲ」を煮込んだり、「ククパプ」などを盛るのに用いる黒か褐色の土器。
  • 설렁탕 한 뚝배기.
  • 뚝배기가 깨지다.
  • 뚝배기를 내오다.
  • 뚝배기를 들다.
  • 뚝배기에 찌개를 끓이다.
  • 민준은 음식점에서 점심으로 김치찌개 뚝배기를 시켰다.
  • 가스 불을 껐는데도 뚝배기의 국물은 아직 보글보글 끓었다.
  • 가: 어제 과음을 해서 속이 쓰려.
  • 나: 해장이라도 할 겸 뜨끈한 설렁탕 한 뚝배기씩 먹을까?
관용구 · 속담(1)
뚝심
발음 : [뚝씸 ]
명사 名詞
そこぢから【底力】
힘든 일을 버티거나 감당해 내는 굳센 힘과 끈기.
大変な状況に耐える強い精神力と粘り強さ。
  • 대단한 뚝심.
  • 뚝심이 세다.
  • 뚝심을 보이다.
  • 뚝심을 부리다.
  • 뚝심으로 버티다.
  • 민준은 힘들고 가난했던 삶을 오직 오기와 뚝심으로 이겨 왔다.
  • 그 우직한 친구는 선배들에게 밀리지 않는 패기와 뚝심이 있었다.
  • 가: 저 녀석, 뚝심이 보통이 아냐.
  • 나: 응. 굉장히 다부지고 굳센 녀석이야.
뚫다 ★★
발음 : [뚤타 ]
활용 : 뚫어[뚜러], 뚫으니[뚜르니], 뚫는[뚤른], 뚫습니다[뚤씀니다]
동사 動詞
  1. 1. あける【開ける】。うがつ【穿つ】。つきとおす【突き通す】
    구멍을 생기게 하다.
    穴を作る。
    • 구멍을 뚫다.
    • 민준이 건너편 방문에다 구멍을 뚫고 안을 들여다보았다.
    • 유민은 종이에 구멍을 뚫어 새로운 공책을 만들려고 한다.
    • 민준은 꽁꽁 언 호수에서 낚시를 하고 싶어서 두꺼운 얼음에 구멍을 뚫었다.
    • 가: 누가 대체 이 모기장에 구멍을 뚫었니?
    • 나: 아까 지수가 그 앞에 서 있었는데 아마 지수 짓인 것 같아요.
    • 문형 : 1이 2에 3을 뚫다
  2. 2. うがつ【穿つ】。つらぬく【貫く】。とおす【通す】。ほる【掘る】
    막힌 것을 통하게 하다.
    詰まっているものを通れるようにする。
    • 굴뚝을 뚫다.
    • 방바닥을 뚫다.
    • 벽을 뚫다.
    • 산길을 뚫다.
    • 암벽을 뚫다.
    • See More
    • 아버지는 막힌 화장실 변기를 뚫어 주셨다.
    • 사람들은 두 마을을 가로막고 있는 산을 뚫어서 터널을 만들었다.
    • 가: 하수구가 막혔는지 물이 잘 안 내려가요.
    • 나: 이런. 기술자를 불러서 하수구를 뚫어야겠군요.
    • 문형 : 1이 2를 뚫다
  3. 3. きりぬける【切り抜ける】。くぐる【潜る】
    장애물을 헤치다.
    障害物を通り抜ける。
    • 밀림을 뚫다.
    • 바람을 뚫다.
    • 비를 뚫다.
    • 안개를 뚫다.
    • 어둠을 뚫다.
    • See More
    • 햇빛이 구름을 뚫고 쏟아지고 있다.
    • 작은 배가 거친 파도를 뚫으며 조금씩 앞으로 나아갔다.
    • 이 울창한 숲을 뚫고 나가면 곧 평평한 들판이 펼쳐질 것이다.
    • 문형 : 1이 2를 뚫다
  4. 4. きりぬける【切り抜ける】
    시련이나 어려움을 극복하다.
    試練や困難を克服する。
    • 경쟁을 뚫다.
    • 경쟁률을 뚫다.
    • 방해를 뚫다.
    • 억압을 뚫다.
    • 입시의 관문을 뚫다.
    • 외국의 무역 장벽을 뚫기 위해서 정부는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 많은 사람들이 경제 위기 때문에 취직 자리를 뚫기가 어렵다고 하소연한다.
    • 문형 : 1이 2를 뚫다
  5. 5. つうずる【通ずる】。せいつうする【精通する】
    깊이 연구하여 그 분야의 이치나 진리를 깨닫다.
    深く研究してその分野の理や真理を悟る。
    • 분야를 뚫다.
    • 수학을 뚫다.
    • 지리를 뚫다.
    • 학문을 뚫다.
    • 훤히 뚫고 있다.
    • 지수는 물리 분야를 오랫동안 뚫은 결과 유능한 전문가가 되었다.
    • 아주머니는 이 동네에서 평생 사셔서 동네 지리를 훤히 뚫고 계신다.
    • 가: 점심 먹으러 갈 데는 생각해 놨어?
    • 나: 응. 이 동네 맛집이라면 내가 다 뚫고 있으니까 나만 믿어.
    • 문형 : 1이 2를 뚫다
  6. 6. みとおす【見通す】。みぬく【見抜く】
    사람의 마음이나 미래의 사실을 예측하다.
    人の心や未来のことを予測する。
    • 마음을 뚫어 보다.
    • 미래를 뚫어 보다.
    • 속셈을 뚫어 보다.
    • 이치를 뚫어 보다.
    • 그 철학가는 세상의 이치를 뚫어 보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
    • 선생님의 눈빛은 매서워서 마치 나의 마음을 뚫어 보는 것만 같다.
    • 가: 유민은 뭔가 신비한 느낌이 있어.
    • 나: 맞아. 같이 이야기하다 보면 내 심리를 뚫어 보는 것 같다니까.
    • ※ 주로 '뚫어 보다'로 쓴다.
    • 문형 : 1이 2를 뚫다
  7. 7. きりひらく【切り開く】。かいたくする【開拓する】
    무엇을 해결할 길이나 방법을 찾아내다.
    何かを解決する道や方法を捜し出す。
    • 돈줄을 뚫다.
    • 시장을 뚫다.
    • 일자리를 뚫다.
    • 판로를 뚫다.
    • 세계 시장을 뚫기 위해 한국 기업들은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 큰 빚을 지게 된 지수는 어떻게든 큰돈을 벌 수 있는 길을 뚫으려고 노력했다.
    • 가: 사업을 크게 키워서 내년에는 해외 시장도 뚫어 봅시다.
    • 나: 좋습니다. 열심히 해 봅시다!
    • 문형 : 1이 2를 뚫다
뚫리다 ★★
발음 : [뚤리다 ]
활용 : 뚫리어[뚤리어/ 뚤리여](뚫려[뚤려]), 뚫리니[뚤리니]
동사 動詞
  1. 1. あく【開く】。つきとおされる【突き通される】
    구멍이 생기다.
    穴ができる。
    • 바람구멍이 뚫리다.
    • 총구멍이 뚫리다.
    • 담장에 구멍이 뚫리다.
    • 벽에 구멍이 뚫리다.
    • 철판에 구멍이 뚫리다.
    • See More
    • 송곳으로 판지를 찌르니 작은 구멍들이 숭숭 뚫렸다.
    • 거지는 구멍이 뚫린 낡은 신발을 신고 구걸을 하였다.
    • 가: 엄마. 여기 구멍이 뚫린 양말들밖에 없어요.
    • 나: 거기 찾아보면 포장지를 뜯지 않은 새 양말도 있어. 그거 신어.
    • 문형 : 1이 2에 뚫리다
  2. 2. とおる【通る】。つらぬかれる【貫かれる】。ほられる【掘られる】
    막힌 것이 통하게 되다.
    詰まっているものが通るようになる。
    • 골목이 뚫리다.
    • 변기가 뚫리다.
    • 비상구가 뚫리다.
    • 신작로가 뚫리다.
    • 큰길이 뚫리다.
    • See More
    • 감기로 막혔던 코가 드디어 뚫려서 숨을 쉬기가 편해졌다.
    • 이 마을에 큰 도로가 뚫려 다른 지역으로 가는 길이 더 쉬워졌다.
    • 가: 이제 막힌 하수구가 펑펑 뚫렸어.
    • 나: 그래? 물이 안 내려가서 걱정했는데, 정말 다행이다.
    • 문형 : 1이 뚫리다
  3. 3. きりぬけられる【切り抜けられる】
    어떤 시련이나 어려움이 극복되다.
    試練や困難が克服される。
    • 무역 장벽이 뚫리다.
    • 억압이 뚫리다.
    • 위기가 뚫리다.
    • 입시의 관문이 뚫리다.
    • 삼촌은 어렵다는 고시의 관문이 뚫릴 때까지 열심히 공부했다.
    • 문형 : 1이 뚫리다
  4. 4. きりひらかれる【切り開かれる】。かいたくされる【開拓される】
    무엇을 해결할 길이나 방법이 찾아지다.
    何かを解決する道や方法が捜し出される。
    • 세계 시장이 뚫리다.
    • 자금줄이 뚫리다.
    • 판로가 뚫리다.
    • 삼촌은 큰돈을 벌 길이 뚫렸다며 창업에 뛰어들었다.
    • 이 상품의 해외 시장 진출은 진입 장벽이 높아 생각처럼 잘 뚫리지 않는다.
    • 가: 요즘 너희 회사가 아주 잘나간다면서?
    • 나: 해외 시장 판로가 뚫려서 매출이 급성장했지.
    • 문형 : 1이 뚫리다
뚫어지다
발음 : [뚜러지다 ]
활용 : 뚫어지어[뚜러지어/ 뚜러지여](뚫어져[뚜러저]), 뚫어지니[뚜러지니]
동사 動詞
  1. 1. あく【開く】。つきとおされる【突き通される】
    구멍이나 틈이 생기다.
    穴や隙間ができる。
    • 뚫어진 모자.
    • 뚫어진 창구멍.
    • 바람구멍이 뚫어지다.
    • 벽에 구멍이 뚫어지다.
    • 유리창에 구멍이 뚫어지다.
    • 뚫어진 양말 사이로 발가락이 튀어나와 있다.
    • 담장에 큰 구멍이 뚫어져서 곧 허물어질 것 같다.
    • 가: 구멍 사이로 바람이 쌩쌩 들어와.
    • 나: 방문들이 하나같이 다 뚫어진 것들이라 그러네.
    • 문형 : 1이 2에 뚫어지다
  2. 2. とおる【通る】。つらぬかれる【貫かれる】。ほられる【掘られる】
    길이 나거나 통하게 되다.
    道ができたり通るようになったりする。
    • 신작로가 뚫어지다.
    • 지하도가 뚫어지다.
    • 큰길이 뚫어지다.
    • 골목이 뚫어지다.
    • 항로가 뚫어지다.
    • 산 중턱에 터널이 뚫어지면서 국도가 건설되었다.
    • 유럽 관광객이 늘어남에 따라 한국에서 유럽으로 가는 새 직항로가 뚫어졌다.
    • 가: 자네, 이 지역에 고속 도로가 뚫어진다는 소식을 들었나?
    • 나: 그래? 그럼 주변이 시끄러워지는 거 아냐?
    • 문형 : 1이 2에 뚫어지다
  3. 3. くいいる【食い入る】。じっとみる【じっと見る】
    한참 동안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다.
    しばらく注意を払って集中する。
    • 뚫어지게 노려보다.
    • 뚫어지게 바라보다.
    • 뚫어지도록 쏘아보다.
    • 뚫어지도록 응시하다.
    • 얼굴을 뚫어지게 보다.
    • 민준은 첫사랑과 매우 닮은 여인을 뚫어져라 쳐다보았다.
    • 승규는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라도 하듯 사람들의 눈을 뚫어지도록 보며 당당하게 말했다.
    • 가: 뭘 그렇게 뚫어지게 보고 있어?
    • 나: 응. 여기 신문에 재미있는 기사가 났길래 말이야.
    • ※ 주로 '뚫어져라', '뚫어지게', '뚫어지도록'으로 '보다' 등과 함께 쓴다.
    • 문형 : 1이 뚫어지다
뚱기다
발음 : [뚱기다 ]
활용 : 뚱기어[뚱기어/ 뚱기여], 뚱기니
동사 動詞
  1. 1. はじく【弾く】。つまびく【爪弾く】
    팽팽한 줄 등을 당겼다가 놓아서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게 하다.
    張り切った弦などを引いたり放したりして音を出したり動かしたりする。
    • 가야금을 뚱기다.
    • 거문고를 뚱기다.
    • 악기를 뚱기다.
    • 줄을 뚱기다.
    • 손가락으로 뚱기다.
    • 여인은 손가락으로 가야금 줄을 뚱기며 애절하게 연주했다.
    • 바이올린 연주자가 활을 켜다 말고 손가락으로 바이올린 줄을 뚱겨 소리를 냈다.
    • 가: 기타를 손가락으로 뚱겨서 연주할 수도 있어.
    • 나: 그렇구나. 난 이때껏 기타는 피크로만 칠 수 있는 줄 알았어.
    • 문형 : 1이 2를 뚱기다
  2. 2. ほのめかす【仄めかす】。あんじする【暗示する】
    눈치를 챌 수 있도록 슬며시 일깨워 주다.
    気付けるようにそれとなく知らせる。
    • 뚱기는 말.
    • 기밀을 뚱기다.
    • 비밀을 뚱기다.
    • 암시를 뚱기다.
    • 살짝 뚱기다.
    • 민준은 동료에게 이번 승진 과정에 중요한 정보를 뚱겨 주었다.
    • 친구는 나에게 이번 시험에 관한 기밀을 조심스레 뚱겨 주었다.
    • 가: 지금 선생님께서 화가 많이 나셨어. 조심해.
    • 나: 응. 미리 뚱겨 줘서 고마워.
    • 문형 : 1이 2를 뚱기다
뚱딴지
발음 : [뚱딴지 ]
명사 名詞
행동이나 사고방식이 엉뚱하고 바보 같은 사람.
行動や考え方が突飛で、ばかばかしい人。
  • 뚱딴지 소리.
  • 뚱딴지와 같다.
  • 뚱딴지처럼 굴다.
  • 뚱딴지처럼 행동하다.
  • 민준은 진지한 분위기에서 뚱딴지와 같은 눈치 없는 농담을 해 댔다.
  • 선생님은 뚱딴지와 같은 학생의 대답을 듣고 매우 황당한 표정을 지으셨다.
  • 가: 이 과제는 다음 주말까지 하면 되지?
  • 나: 뚱딴지처럼 무슨 말을 하는 거야? 그 과제는 내일까지라고.
뚱땅거리다
발음 : [뚱땅거리다 ]
동사 動詞
どんどんとなる【どんどんと鳴る】
여러 가지 악기나 단단한 물건 등을 계속 세게 쳐서 울리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様々な楽器や堅い物などを続け様に強く打つ音がする。また、その音を立てる。
  • 뚱땅거리는 소리.
  • 장구 소리가 뚱땅거리다.
  • 악기를 뚱땅거리다.
  • 거문고를 뚱땅거리다.
  • 드럼을 뚱땅거리다.
  • 어린 딸아이가 피아노를 뚱땅거리며 동요 연습을 한다.
  • 대장간에서 불에 달군 쇠붙이를 뚱땅거리면서 농기구를 만들었다.
  • 가: 기타를 뚱땅거리는 소리가 들리네.
  • 나: 내 동생이 어제부터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거든.
뚱땅대다
발음 : [뚱땅대다 ]
동사 動詞
どんどんとなる【どんどんと鳴る】
여러 가지 악기나 단단한 물건 등을 계속 세게 쳐서 울리는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様々な楽器や堅い物などを続け様に強く打つ音がする。また、その音を立てる。
  • 뚱땅대는 소리.
  • 북소리가 뚱땅대다.
  • 악기를 뚱땅대다.
  • 음악 시간만 되면 교실에는 학생들이 장구를 뚱땅대는 소리가 울려 퍼졌다.
  • 바람에 가게 진열대가 쓰러지면서 물건들이 서로 부딪쳐 뚱땅대며 떨어졌다.
  • 가: 한밤중에 뭘 그렇게 뚱땅대니? 시끄러워서 잠을 못 자겠다.
  • 나: 미안해. 내일 피아노 실기 시험이 있어서 연습 좀 하고 있었어.
뚱땅뚱땅
발음 : [뚱땅뚱땅 ]
부사 副詞
どんちゃんどんちゃん。どんどこどんどこ
여러 가지 악기나 단단한 물건 등을 계속 세게 쳐서 울리는 소리.
色々な楽器を奏でたり固い物をしきりに強く叩いて鳴らす音。
  • 뚱땅뚱땅 두드리다.
  • 뚱땅뚱땅 소리가 나다.
  • 뚱땅뚱땅 소리를 내다.
  • 뚱땅뚱땅 치다.
  •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연주를 시작하기 전에 악기를 뚱땅뚱땅 치며 상태를 점검했다.
  • 길 건너에서 하루 종일 뚱땅뚱땅 공사 소리가 나서 마을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져 갔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