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1 (江原道)
발음 : [강원도 ]
명사 名詞
カンウォンド【江原道】
한국의 행정 구역 단위인 도의 하나. 중동부에 위치한 산악 지대로 동쪽으로 동해를 접하고 있으며 감자, 옥수수, 오징어, 명태 등이 많이 난다. 주요 도시로는 평창, 춘천, 강릉 등이 있다.
韓国の行政区域単位である道の一。中東部に位置する山岳地帯で、東は東海に面している。ジャガイモ、トウモロコシ、イカ、明太の産地として知られている。主要都市には平昌(ピョンチャン)、春川(チュンチョン)、江陵(カンヌン)などがある。
강원도2 (江原道)
발음 : [강원도 ]
명사 名詞
カンウォンド【江原道】
한반도 중동부에 있는 북한에 속한 도. 산악 지대로 금강산이 위치해 있으며 휴전선을 경계로 하여 남한의 강원도와 맞닿아 있다.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 밀, 보리, 콩, 감자 등이며 주요 도시로는 원산, 문천 등이 있다.
韓半島の中東部に位置する、北韓の行政区域。山岳地帯で金剛(クムガン)山の所在地であり休戦ライン(軍事境界線)を境に韓国の江原道(カンウォンド)とつながっている。主な農作物はトウモロコシ、小麦、麦、豆、ジャガイモなど。主要都市は元山(ウォンサン)、文川(ムンサン)など。
강의 (講義) ★★
발음 : [강ː의 /강:이]
명사 名詞
こうぎ【講義】
대학이나 학원, 기관 등에서 지식이나 기술 등을 체계적으로 가르침.
大学や学院、機関などで知識や技術などを体系的に教えること。
- 교양 강의.
- 강의 계획.
- 강의 내용.
- 강의 시간.
- 강의 자료. See More
- 수학 선생님은 항상 강의를 10분씩 일찍 끝내신다.
- 오늘은 박 교수 대신 내가 물리학 강의에 들어가기로 했다.
- 가: 이번 시험에서는 성적이 썩 좋지 않구나.
- 나: 제가 잘 몰랐던 분야라 강의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려웠어요.
강의 계획서 (講義計劃書)
こうぎけいかくしょ【講義計画書】。じゅぎょうけいかくしょ【授業計画書】
고등 교육 기관에서 강의를 위해 교원이 작성하는 강의에 관한 계획이나 내용.
高等教育機関において講義のために教員が作成する、講義に関する計画や内容。
- 강의 계획서를 열람하다.
- 강의 계획서를 작성하다.
- 강의 계획서를 제출하다.
- 강의 계획서를 조회하다.
- 강의 계획서에 따르다.
- 학생들은 강의 계획서를 통해 한 학기 동안의 수업 일정을 훑어보았다.
- 나는 강의 계획서를 꼼꼼히 살펴본 후 다음 학기에 들을 강의를 결정했다.
- 가: 이번에 박 교수님 강의 계획서 봤니?
- 나: 응, 기말고사를 안 보는 대신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더라.
강의록 (講義錄)
발음 : [강ː의록 /강ː이록 ]
활용 : 강의록이[강ː의로기/ 강ː이로기], 강의록도[강ː의록또/ 강ː이록또], 강의록만[강ː의롱만/ 강ː이롱만]
명사 名詞
こうぎろく【講義録】
강의의 내용을 적어 놓은 것.
講義の内容を書いておいた記録。
- 강의록을 보다.
- 강의록을 쓰다.
- 강의록을 읽다.
- 강의록을 작성하다.
- 강의록을 정리하다.
- 선생님은 이번 학기에 강의할 내용을 강의록에 작성하고 계셨다.
- 최 교수는 그간의 강의록을 정리해서 책으로 출판할 예정이다.
- 가: 교수님, 시험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 나: 홈페이지에 강의록을 올려놓을 테니 참고하세요.
강의실 (講義室) ★★
발음 : [강ː의실 /강ː이실 ]
명사 名詞
こうぎしつ【講義室】
강의를 하는 데 사용하는 교실.
講義をするのに使用する教室。
- 대형 강의실.
- 강의실 대여.
- 강의실이 부족하다.
- 강의실을 찾다.
- 강의실을 확인하다.
- 수업을 듣기 위해 강의실에 들어올 때에는 음식물 반입을 삼가 주세요.
- 김 교수의 수업은 인기가 좋아서 강의실이 가득 찰 정도로 학생이 몰려들었다.
- 가: 왜 강의실이 텅텅 비어 있죠?
- 나: 이번 주는 축제 기간이라 수업이 다 휴강돼서 그렇습니다.
강의하다 (講義 하다)
발음 : [강ː의하다 /강ː이하다 ]
동사 動詞
こうぎする【講義する】
대학이나 학원, 기관 등에서 지식이나 기술 등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다.
大学や塾、機関などで知識や技術などを体系的に教える。
- 법학을 강의하다.
- 영어를 강의하다.
- 학생들에게 강의하다.
- 대학에서 강의하다.
- 동영상으로 강의하다.
- 그는 이십 년 동안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물리학을 강의했다.
- 송 교수는 이번 학기에 ‘언어와 정치의 관계’라는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 가: 요즘은 주로 어떤 내용을 가르치고 계십니까?
- 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직업관에 대해 강의하고 있습니다.
- 문형 : 1이 2에게 3을 강의하다
강인성 (強靭性)
발음 : [강인썽 ]
명사 名詞
きょうじんせい【強靭性】
굳세고 질긴 성질.
強くてねばり強い性質。
- 강인성이 부족하다.
- 강인성이 필요하다.
- 강인성을 가지다.
- 강인성을 기르다.
- 강인성을 지니다.
- 형은 무슨 일이든 잡초 같은 강인성으로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
- 우리 민족은 식민지가 된 상황에서도 강인성을 잃지 않고 끝까지 저항했다.
- 가: 이 세상 어머니들의 강인성은 정말 대단합니다.
- 나: 맞아요. 우리 어머니도 모진 세월을 견디며 저희를 기르셨습니다.
강인하다 (強靭 하다) ★
발음 : [강인하다 ]
활용 : 강인한[강인한], 강인하여[강인하여](강인해[강인해]), 강인하니[강인하니], 강인합니다[강인함니다]
형용사 形容詞
きょうじんだ【強靭だ】
성격이나 성질이 강하고 굳세다.
性格や性質が強くてねばり強い。
- 강인한 생명력.
- 강인한 인상.
- 강인한 정신.
- 강인한 체력.
- 강인한 추진력.
- 소설 속 주인공은 온갖 고난과 어려움을 이기고 성공한 강인한 인물이다.
- 아픈 와중에도 맡은 일을 다 해낼 정도로 승규의 정신력은 강인했다.
- 가: 인상을 강인하게 보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나: 음, 수염을 좀 기르면 인상이 달라질 것 같은데요.
- 문형 : 1이 강인하다
강자 (強者) ★
발음 : [강자 ]
명사 名詞
きょうしゃ【強者】
힘이나 세력이 강한 자.
力や勢力が強い人。
- 강자가 지배하다.
- 강자를 물리치다.
- 강자만이 살아남다.
- 강자로 떠오르다.
- 강자에 약하다.
- 동물의 세계에서는 강자가 약자를 잡아먹는 것이 자연스러운 이치이다.
- 그가 내놓은 디자인이 주목을 받으면서 우리 회사는 패션업계의 강자로 떠올랐다.
- 가: 치열한 경쟁 사회에서는 강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 나: 그것이 끊임없이 자신을 발전시켜야 하는 이유이겠지요.
- 반대말 약자¹
'한국어기초사전 > 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제력, 강제성, 강제적¹, 강제적², 강제하다, 강조, 강조되다, 강조하다, 강좌, 강줄기 (0) | 2020.02.06 |
---|---|
강장제, 강적, 강점¹, 강점², 강점기, 강점되다, 강점하다, 강정, 강제, 강제되다 (0) | 2020.02.06 |
강연하다, 강연회, 강요, 강요당하다, 강요되다, 강요받다, 강요하다, 강우¹, 강우², 강우량 (0) | 2020.02.06 |
강아지풀, 강안, 강압, 강압적¹, 강압적², 강압하다, 강약, 강어귀, 강연, 강연자 (0) | 2020.02.06 |
강습¹, 강습², 강습소, 강습회, 강시, 강신, 강신무, 강심장, 강심제, 강아지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