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 (百日)
발음 : [배길 ]
명사 名詞
ひゃくにち【百日】
아이가 태어난 날로부터 백 번째 되는 날.
子供が生まれた日から100日目の日。
  • 백일 떡.
  • 백일 사진.
  • 백일을 기념하다.
  • 백일을 맞다.
  • 백일을 축하하다.
  • 친구들은 우리 아들의 백일을 축하해 주었다.
  • 그 부부는 아들의 백일을 맞아 기념사진을 찍었다.
  • 그녀는 아들의 백일이 다가오자 떡을 맞추고 잔치를 열 준비를 하였다.
  • 가: 아기가 참 예쁘네요. 몇 개월이에요?
  • 나: 이제 곧 백일이에요.
백일기도 (百日祈禱)
발음 : [배길기도 ]
명사 名詞
ひゃくにちまいり【百日参り】。ひゃくにちもうで【百日詣で】
어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백 일 동안 기도를 드림. 또는 그렇게 드리는 기도.
目的を達成するため、100日間祈願すること。また、その祈願。
  • 백일기도를 드리다.
  • 백일기도를 마치다.
  • 백일기도를 올리다.
  • 백일기도를 시작하다.
  • 백일기도에 들어가다.
  • 대학을 졸업했지만 취업에 번번히 실패하는 유민이는 답답한 마음에 백일기도를 시작했다.
  • 수능 시험을 앞둔 아들을 위해 어머니는 아들이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를 바라며 백일기도에 들어갔다.
  • 가: 요즘 몸도 안 좋고 회사에서 일도 잘 안 풀리고 상사와도 사이가 좋지 않아.
  • 나: 답답하면 백일기도라도 드려 보는 건 어때?
백일몽 (白日夢)
발음 : [배길몽 ]
명사 名詞
はくちゅうむ【白昼夢】。はくじつむ【白日夢】
실현될 수 없는 헛된 생각.
実現する見込みのない考え。
  • 백일몽을 꾸다.
  • 백일몽에 불과하다.
  • 백일몽에 빠지다.
  • 백일몽에 지나지 않다.
  • 백일몽에서 깨어나다.
  • 매일 놀기만 하는 민준이에게 의사가 되는 것은 실현될 수 없는 백일몽에 불과하다.
  • 유민이는 복권을 사고서 돈방석에 앉는 백일몽에 빠져 복권 추첨을 하는 날만을 기다렸다.
  • 가: 난 잘생기고 키도 크고 돈도 많고 자상한 남자와 결혼할 거야.
  • 나: 백일몽에서 깨어나지 않는 이상 넌 결혼할 수 없을 것 같아.
백일잔치 (百日 잔치)
발음 : [배길잔치 ]
명사 名詞
ひゃくじついわい【百日祝い】
아기가 태어난 날로부터 백 번째 되는 날에 여는 잔치.
新生児の生後100日目に行わなれる祝賀宴会。
  • 백일잔치를 베풀다.
  • 백일잔치를 열다.
  • 백일잔치를 준비하다.
  • 백일잔치에 참석하다.
  • 백일잔치에 초대하다.
  • 할머니가 손자의 백일잔치에 쓰일 음식을 직접 만들었다.
  • 그 부부는 아이의 백일잔치를 준비하기 위해 떡을 맞추고 음식을 장만했다.
  • 친구네 아이의 백일잔치에 초대를 받은 유민이는 아이의 선물로 금반지를 준비했다.
  • 가: 아이가 참 귀엽네요. 몇 개월이에요?
  • 나: 다음 주에 백일잔치를 해요.
백일장 (白日場)
발음 : [배길짱 ]
명사 名詞
국가나 단체에서 실시하는 글짓기 대회.
国や団体が実施する作文大会。
  • 백일장을 개최하다.
  • 백일장을 열다.
  • 백일장에 나가다.
  • 백일장에 참가하다.
  • 백일장에서 입상하다.
  • 글쓰기에 소질이 있는 지수는 백일장에만 나가면 상을 받아 온다.
  • 우리 한국어 학당은 외국인들의 작문 실력을 평가하기 위해 백일장을 열었다.
  • 그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글짓기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년 백일장을 개최한다.
백일하 (白日下)
발음 : [배길하 ]
명사 名詞
はくじつのもと【白日の下】
모든 사람들이 다 알도록 뚜렷하게.
皆が分かるようにはっきり。
  • 백일하에 노출되다.
  • 백일하에 드러나다.
  • 백일하에 알려지다.
  • 백일하에 탄로가 나다.
  • 그 정치인이 탈세를 했다는 사실이 언론을 통해 백일하에 탄로가 났다.
  • 시청 공무원들의 부정부패가 어느 기자의 끈질긴 취재로 백일하에 알려졌다.
  • 공장 폐수를 몰래 하천에 버려 오던 그 회사는 직원의 고발로 그동안의 만행이 백일하에 드러났다.
  • ※ 주로 '백일하에'로 쓴다.
백일홍 (百日紅)
발음 : [배길홍 ]
명사 名詞
ひゃくじつこう・さるすべり【百日紅・猿滑】
여름부터 가을까지 붉거나 노란 꽃이 피어 오랫동안 지지 않는 꽃나무.
夏から秋にかけて赤や黄色い花を咲かせて長期間落ちない花の木。
  • 백일홍이 만개하다.
  • 백일홍이 자라다.
  • 백일홍이 지다.
  • 백일홍이 피다.
  • 백일홍을 키우다.
  • 민준이는 알록달록하게 피는 꽃을 좋아해서 관상용으로 집에서 백일홍을 키우고 있다.
  • 가을이 되면 도로를 따라 길게 심긴 백일홍이 만개해 장관을 이루는 이 길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이다.
  • 가: 왜 백일홍을 샀어?
  • 나: 꽃이 한번 피면 오랫동안 지지 않으니까.
백자 (白瓷/白磁)
발음 : [백짜 ]
명사 名詞
はくじ【白磁】
흰색의 흙에 투명한 유약을 발라서 높은 온도에서 구워 만든 그릇.
白色の土に透明な釉を施して、高温で焼いて作った器。
  • 조선 시대의 백자.
  • 하얀 백자.
  • 백자를 굽다.
  • 백자를 만들다.
  • 백자를 빚다.
  • 박물관에는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백자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 장인은 흰색 흙으로 곱게 빚은 백자를 굽기 위해 뜨겁게 가열한 가마에 넣었다.
  • 유민이는 무늬가 없는 흰색에 화려하지 않은 모양의 백자를 보면서 조상들의 소박함을 느낄 수 있었다.
  • 가: 옛 조상들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물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나: 소박함이 묻어나는 백자라고 생각합니다.
백작 (伯爵)
발음 : [백짝 ]
활용 : 백작이[백짜기], 백작도[백짝또], 백작만[백짱만]
명사 名詞
はくしゃく【伯爵】
서양의 다섯 개의 귀족 계급 중에서 셋째 계급.
西洋の5つの貴族階級の中で第3位の階級。
  • 백작 부인.
  • 백작 집안.
  • 백작을 물려받다.
  • 빽작에서 물러나다.
  • 왕이 존재하는 영국에서는 아직도 백작 등의 귀족 지위가 사라지지 않고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 수려한 외모와 뛰어난 언변, 몸에 배어 있는 매너를 갖춘 그에게서 백작의 품위를 느낄 수 있었다.
백전노장 (百戰老將)
발음 : [백쩐노장 ]
명사 名詞
ふるつわもの【古強者】。だいベテラン【大ベテラン】
수많은 싸움을 치른 노련한 장수처럼 온갖 어려운 일을 많이 겪은 노련한 사람.
数多くの戦を経験した老練な武士のように、数々の経験を積んで老練な人。
  • 백전노장 감독.
  • 백전노장의 노련미.
  • 백전노장의 눈.
  • 백전노장의 솜씨.
  • 그는 평생 그 일에 헌신한 백전노장이어서 매우 노련했다.
  • 삼십 년간 이 분야에 몸담고 있는 백전노장 김 씨의 눈에도 그 제품은 그야말로 대박 상품이었다.
  • 가: 저 어르신이 김 선생님이셔?
  • 나: 응. 벌써 사십 년째 이 일에만 매달려 산전수전 다 겪은 백전노장이셔.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