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너스 (bonus) ★★
명사 名詞
ボーナス。しょうよ【賞与】
정기적인 급여 이외에 업적이나 공헌도에 따라 상으로 더 받는 돈.
定期的な給与のほかに、業績や貢献度に応じてもらう割増賃金。
  • 특별 보너스.
  • 두둑한 보너스.
  • 보너스가 나오다.
  • 보너스를 받다.
  • 보너스를 지급하다.
  • 우리 회사는 두 달에 한 번씩 보너스가 나온다.
  • 이번 명절 때 회사에서 보너스를 두둑하게 받았다.
  • 사장은 지난 달의 업무 실적이 뛰어난 직원들에게 보너스를 지급했다.
  • 가: 노트북은 언제 사기로 했니?
  • 나: 이번 달에 보너스를 받으니까 곧 살 수 있을 거야.
보다1 ★★★
발음 : [보다 ]
활용 : 보아(봐[봐ː]), 보니
동사 動詞
  1. 1. みる【見る】。ながめる【眺める】
    눈으로 대상의 존재나 겉모습을 알다.
    目で対象の存在や外見を知る。
    • 겉모습을 보다.
    • 광경을 보다.
    • 꽃을 보다.
    • 나무를 보다.
    • 모습을 보다.
    • See More
    • 나는 잔디밭에 누워 파란 하늘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 아이는 멀리서 나를 보고 달려와 품에 안겼다.
    • 가: 나 어제 차를 타고 가다가 길에서 승규를 얼핏 봤어.
    • 나: 정말? 걔 유학 간 거 아니었어?
    • 문형 : 1이 2를 보다
  2. 2. みる【観る】。かんしょうする【観賞する】。けんぶつする【見物する】。たのしむ【楽しむ】
    눈으로 대상을 즐기거나 감상하다.
    目で対象を楽しんだり観賞したりする。
    • 공연을 보다.
    • 그림을 보다.
    • 비디오를 보다.
    • 연극을 보다.
    • 영화를 보다.
    • See More
    • 나는 어제 친구과 영화관에 가서 코미디 영화를 봤다.
    • 지수는 유명한 가수의 콘서트를 보고 와서 한 시간이나 자랑을 했다.
    • 가: 어머, 이 그림 좋아하세요? 그림 볼 줄 아시네요.
    • 나: 어릴 적부터 그 그림을 참 좋아했습니다.
    • 문형 : 1이 2를 보다
  3. 3. みる【見る】。よむ【読む】
    책이나 신문, 지도 등의 글자나 그림, 기호 등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다.
    本・新聞・地図などの字・絵・記号などを読んで、内容を理解する。
    • 글을 보다.
    • 기사를 보다.
    • 기호를 보다.
    • 뉴스를 보다.
    • 도면을 보다.
    • See More
    • 아버지가 신문을 보신다.
    • 나는 지도를 보며 여행을 했다.
    • 아침에 일어나 시계를 보니 일곱 시였다.
    • 이번 시험을 위해서 전공 책을 열 번이나 봤다.
    • 나는 환경 잡지를 보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 당직 근무 표를 보니 오늘을 내가 당직을 설 차례였다.
    • 가: 이쪽 길로 가는 거 맞아?
    • 나: 아까 표지판 제대로 봤어요.
    • 문형 : 1이 2를 보다
  4. 4. みる【見る】。みきわめる【見極める】。しらべる【調べる】
    대상의 내용이나 상태를 알기 위하여 살피다.
    対象の内容や状態を知るために見極める。
    • 거울을 보다.
    • 계기판을 보다.
    • 시계를 보다.
    • 목차를 보다.
    • 이름표를 보다.
    • See More
    • 나는 거울을 보면서 머리를 가다듬었다.
    • 출석부를 보니 오늘 지각한 녀석이 네 명이나 있다.
    • 가: 지금 몇 시인지 시계 좀 줄래?
    • 나: 다섯 시 삼십 분이에요.
    • 문형 : 1이 2를 보다
  5. 5. あう【会う】
    일정한 목적이 있어 사람을 만나다.
    一定の目的があって人に会う。
    • 맞선을 보다.
    • 친구를 보다.
    • 오랜만에 보다.
    • 나는 부모님의 소개로 맞선을 보았다.
    • 지수는 전해 줄 것이 있다며 나를 잠깐 보자고 했다.
    • 가: 승규가 너 좀 보자고 하던데?
    • 나: 그래? 뭔가 할 말이 있나 보네.
    • 문형 : 1이 2를 보다
  6. 6. みる【看る】。せわをする【世話をする】。めんどうをみる【面倒を見る】
    누구를 지키거나 돌보다.
    誰かを守ったり、世話したりする。
    • 손자를 보다.
    • 아이를 보다.
    • 집을 보다.
    • 이웃집 개는 집을 잘 본다.
    • 남편과 나는 둘 다 일을 하기 때문에 아이 줄 사람이 필요하다.
    • 가: 어머님, 제가 일본에 일주일간 출장을 다녀와야 해요. 지수 좀 돌봐 주시겠어요?
    • 나: 오냐, 내가 우리 손녀 잘 보고 있을 테니 걱정 말고 다녀와라.
    • 문형 : 1이 2를 보다
  7. 7. はんだんする【判断する】。みきわめる【見極める】
    사건이나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하다.
    事件や状況を認識して判断する。
    • 사건을 보다.
    • 사정을 보다.
    • 사태를 보다.
    • 상황을 보다.
    • 현실을 보다.
    • 그는 늘 현실을 정확하게 보고 올바른 판단을 내린다.
    • 학생의 형편을 보니 몹시 가난해서 등록금도 못 낼 것 같았다.
    • 가: 검사님, 이번 사건을 자세히 보면 단순한 개인의 범죄가 아닙니다.
    • 나: 그래. 조직폭력배들이 계획적으로 이번 사건을 일으킨 게 분명해.
    • 문형 : 1이 2를 보다
  8. 8. うらなう【占う】。しらべる【調べる】
    점 등으로 미래 일이나 운명을 알아보다.
    占いなどで未来の事や運命をみる。
    • 관상을 보다.
    • 궁합을 보다.
    • 사주를 보다.
    • 점을 보다.
    • 토정비결을 보다.
    • 요즘 인터넷에는 무료로 점을 주는 사이트가 많다.
    • 지수는 지난밤에 꾼 꿈이 이상해서 점쟁이를 찾아가 점을 봤다.
    •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토정비결을 보며 한 해의 운수를 점친다.
    • 가: 얘, 새해인데 너 토정비결 안 볼래?
    • 나: 난 그런 거 안 믿어. 안 볼래.
    • 문형 : 1이 2를 보다
  9. 9. うける【受ける】
    지식이나 능력을 알기 위해 시험을 치르다.
    知識や能力を知るために試験を受ける。
    • 검정고시를 보다.
    • 시험을 보다.
    • 자격시험을 보다.
    • 승규는 시험을 잘 것 같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 그는 원하는 대학에 가기 위해서 수능을 세 번이나 봤다.
    • 가: 지수는 중학교 자퇴하고 어떻게 대학에 들어온 거니?
    • 나: 혼자 공부해서 검정고시를 보고 들어왔대.
    • ※ 주로 '시험을 보다'로 쓴다.
    • 문형 : 1이 2를 보다
  10. 10. おこなう【行う】。たんとうする【担当する】
    어떤 일을 맡아 하거나 처리하다.
    ある仕事を受け持ったり処理したりする。
    • 사무를 보다.
    • 업무를 보다.
    • 일을 보다.
    • 회계를 보다.
    • 남편은 회사에서 하루 종일 업무를 보다가 밤늦게 퇴근했다.
    • 나는 일이 많을 때에는 동시에 두 대의 컴퓨터를 켜 놓고 사무를 본다.
    • 가: 은행이 토요일도 업무를 보나요?
    • 나: 아니요. 토요일에는 은행이 문을 열지 않습니다.
    • 문형 : 1이 2를 보다
  11. 11. える【得る】。いたる【至る】
    어떤 결과를 얻다.
    ある結果を得る。
    • 결과를 보다.
    • 끝장을 보다.
    • 성과를 보다.
    • 합의를 보다.
    • 양측은 오랜 싸움 끝에 결국 천만 원에 합의를 보았다.
    • 우리 학교 축구팀은 그동안 열심히 노력한 끝에 드디어 감격적인 승리를 보았다.
    • 문형 : 1이 2를 보다
  12. 12. よういする【用意する】
    음식을 놓는 상이나 잠을 잘 자리 등을 준비하다.
    膳立てをしたり、寝床を敷いたりする。
    • 밥상을 보다.
    • 술상을 보다.
    • 자리를 보다.
    • 잠자리를 보다.
    • 할머니는 매일 밤 어린 손자의 이부자리를 보아 주셨다.
    • 어머니는 열 명이나 되는 손님들의 밥상을 보느라 몹시 바쁘셨다.
    • 술 친구가 많은 남편 때문에 그녀는 술상을 잘 보기로 소문이 났다.
    • 가: 어머니는 어디 계시니?
    • 나: 부엌에서 점심상을 보고 계세요.
    • 문형 : 1이 2를 보다
  13. 13. だいしょうべんをする【大小便をする】。ようをたす【用を足す】
    (완곡한 말로) 똥이나 오줌을 싸다.
    大小便をすることを婉曲にいう語。
    • 대변을 보다.
    • 변을 보다.
    • 소변을 보다.
    • 용변을 보다.
    • 그는 소변을 보러 화장실에 급히 들어갔다.
    • 언니는 사흘 동안 변을 보지 못해서 아랫배가 불룩하게 나왔다.
    • 가: 여기 화장실이 어디죠?
    • 나: 용변 보시려고요? 죄송하지만 변기가 막혔으니 다른 건물로 가 보세요.
    • 문형 : 1이 2를 보다
  14. 14. える【得る】。むかえる【迎える】
    가족이 되는 사람을 얻다.
    家族になる人を得る。
    • 딸을 보다.
    • 며느리를 보다.
    • 사위를 보다.
    • 손자를 보다.
    • 아들을 보다.
    • 아들만 셋이 있던 그는 이번에 드디어 딸을 봤다.
    • 엄마는 어서 사위를 보고 싶다며 나보고 빨리 결혼하라고 하신다.
    • 가: 승규야, 내가 언제쯤 며느리를 볼 수 있겠니?
    • 나: 어머니, 조금만 더 기다려 주세요. 여자 친구에게 곧 청혼할 거예요.
    • 문형 : 1이 2를 보다
  15. 15. こうむる【被る】。える【得る】
    어떤 일을 당하거나 겪거나 얻어 가지다.
    ある事に遭ったり、経験したりする。または、手に入れる。
    • 손해를 보다.
    • 이윤을 보다.
    • 이익을 보다.
    • 피해를 보다.
    • 삼촌은 주식에 투자를 해서 크게 이익을 봤다.
    • 나는 손해를 보면서까지 집을 팔 생각은 없다.
    • 가: 자네가 헐값에 산 땅이 크게 올랐다면서?
    • 나: 응, 덕분에 이윤을 좀 봤지.
    • 문형 : 1이 2를 보다
  16. 16. みる【診る】。しんさつする【診察する】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다.
    医者が患者を診る。
    • 환자를 보다.
    • 그 의사는 나이가 너무 많이 들어서 더 이상 환자를 보지 않는다.
    • 시골에 의료 봉사를 온 의대생들은 이른 아침부터 환자들을 보기 시작했다.
    • 가: 지금 바로 진료를 받을 수 있을까요?
    • 나: 10분 후에 점심시간이 끝나면 의사 선생님께서 주실 거예요.
    • 문형 : 1이 2를 보다
  17. 17. とる【取る】
    신문이나 잡지 등을 정기적으로 받아서 읽다.
    新聞や雑誌などを定期的に取って読む。
    • 신문을 보다.
    • 잡지를 보다.
    • 그는 직장을 잃고 궁핍해져서 그동안 보던 신문도 끊었다.
    • 선생님, 신문 보시는 거 없으시면 저희 신문 구독해 보세요.
    • 가: 집에서 잡지 보는 거 있니?
    • 나: 응, 주간지를 하나 보고 있어.
    • 문형 : 1이 2를 보다
  18. 18. あじみする【味見する】
    음식의 맛을 알기 위해 조금 먹다.
    料理の味を加減するため、少し食べる。
    • 간을 보다.
    • 맛을 보다.
    • 그는 음식 간만 살짝 본다고 해 놓고는 반 그릇이나 먹어 버렸다.
    • 어머니는 찌개의 맛을 보시더니 너무 싱겁다고 소금을 더 넣으셨다.
    • 가: 지수야, 찌개 간 좀 줄래?
    • 나: 네, 엄마. 조금 짠 것 같아요.
    • 문형 : 1이 2를 보다
  19. 19. いう【言う】
    남의 결점 등을 들추어 말하다.
    人の欠点などを取り上げて言う。
    • 흉을 보다.
    • 우리는 밥을 먹으면서 상사의 흉을 봤다.
    • 지수는 뒤에서 남의 흉을 보는 못된 습관이 있다.
    • 가: 걔는 성격도 별로고 잘난 척이 너무 심해.
    • 나: 그렇다고 그 사람 없는 데서 흉을 보는 건 좋지 않아.
    • 문형 : 1이 2를 보다
  20. 20. みつける【見つける】。みる【見る】
    남의 결점이나 약점 등을 발견하다.
    人の欠点や弱点などを見つける。
    • 결점을 보다.
    • 단점을 보다.
    • 약점을 보다.
    • 취약점을 보다.
    • 모자란 점을 보다.
    • 누구나 자신의 약점을 보는 것은 힘들다.
    • 나는 이번 사건으로 민준이의 못된 성격을 보았다.
    • 가: 유민이가 그렇게 급한 성격인지 몰랐어.
    • 나: 응, 나도 어제 처음 보고 깜짝 놀랐어.
    • 문형 : 1이 2를 보다
  21. 21. みる【見る】。さぐる【探る】。みはからう【見計らう】
    기회, 때, 시기 등이 적당한지 살피다.
    機会・時・時期などが適当かどうか見当をつける。
    • 기회를 보다.
    • 때를 보다.
    • 시기를 보다.
    • 타이밍을 보다.
    • 나는 시기를 봐서 사업을 시작할 생각이다.
    • 우리는 사장님에게 그만두겠다고 말할 기회를 보는 중이다.
    • 가: 대체 언제까지 기다리기만 할 거야?
    • 나: 적당한 때를 봐서 공격을 시작할 테니 조금만 참아.
    • 문형 : 1이 2를 보다
  22. 22. みる【見る】。みはからう【見計らう】。みさだめる【見定める】。みつくろう【見繕う】
    무엇을 사기 위해서 잘 살피다.
    何かを買うためによく見て判断する。
    • 땅을 보다.
    • 물건을 보다.
    • 집을 보다.
    • 꼼꼼하게 보다.
    • 찬찬히 보다.
    • 김 씨는 벼농사를 짓기에 좋은 땅을 보러 다녔다.
    • 우리는 이사를 하려고 여러 집들을 보다가 마침내 하얀 이층집을 계약했다.
    • 가: 아주머니, 바지를 사러 왔는데요.
    • 나: 네. 저희 가게에 다양한 스타일이 있어요. 천천히 보세요.
    • 문형 : 1이 2를 보다
  23. 23. かいものをする【買い物をする】
    시장에 가서 물건을 사다.
    市場へ行って品物を買う。
    • 시장을 보다.
    • 장을 보다.
    • 엄마는 시장에서 장을 볼 때 비닐봉지 대신 장바구니를 사용하신다.
    • 저녁 반찬거리를 사겠다고 장을 보러 나간 아내는 밤늦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 가: 지수야, 엄마랑 시장 보러 갈래?
    • 나: 죄송해요. 오늘까지 끝내야 하는 숙제가 있어서요.
    • ※ 주로 '장을 보다', '시장을 보다'로 쓴다.
    • 문형 : 1이 2를 보다
  24. 24. みる【見る】
    무엇을 근거로 판단하다.
    何かを根拠に判断する。
    • 지금까지의 결과로 보건대 이번 경기는 우리 팀의 승리가 확실하다.
    • 계속 몸이 말라 가는 것을 보니 환자는 병이 심해지는 것이 분명했다.
    • 가: 손님, 두 제품 중 어떤 것으로 결정하시겠어요?
    • 나: 디자인으로만 보자면 이것이 더 좋지만 성능은 그것이 더 좋으니 고민이네요.
    • 문형 : 1이 2를 보다
  25. 25. むかう【向かう】。あいてにする【相手にする】
    어떤 사람을 상대로 하다.
    ある人を相手にする。
    • 술 취한 남자는 아무나 보고 소리를 질렀다.
    • 그 청년은 지나가던 아주머니를 보고 길을 물었다.
    • 가: 당신 어쩌면 그렇게 이기적이야?
    • 나: 누가 누굴 보고 할 소린데?
    • ※ 주로 '보고'로 쓴다.
    • 문형 : 1이 2를 보다
  26. 26. きがねする【気兼ねする】。きをくばる【気を配る】
    어떤 사람의 입장을 고려하다.
    ある人の立場を考慮する。
    • 김 사장은 박 교수를 봐서 그의 학생을 채용했다.
    • 집주인은 가난한 세입자를 봐서 월세를 조금 내려 주었다.
    • 가: 날 보아서 이번에 우리 아들의 잘못은 좀 용서해 주게.
    • 나: 그럴 수 없습니다. 아드님의 잘못이 너무 큽니다.
    • ※ 주로 '보아(서)'로 쓴다.
    • 문형 : 1이 2를 보다
  27. 27. たよりにする【頼りにする】
    무엇을 바라거나 의지하다.
    何かを望んだり、頼りにしたりする。
    • 그 여자는 남자의 재산을 보고 결혼을 결심했다.
    • 아내는 지금까지 저 하나만 보고 힘든 시간을 이겨 왔습니다.
    • 가: 정말 다 포기하고 싶습니다.
    • 나: 힘내게. 자네 한 사람만 보고 사신 부모님을 생각해서라도 용기를 내야지.
    • ※ 주로 '보고'로 쓴다.
    • 문형 : 1이 2를 보다
  28. 28. あう【会う】
    사람을 만나다.
    人に会う。
    • 가족을 보다.
    • 사람을 보다.
    • 애인을 보다.
    • 친구를 보다.
    • 후배와 보다.
    • 나는 영화관 앞에서 친구와 보기로 약속했다.
    • 우리는 학교를 졸업한 이후 서로 볼 기회가 없었다.
    • 가: 남자 친구랑은 주로 언제 만나서 놀아?
    • 나: 보통은 금요일 저녁이나 토요일에 .
    • 문형 : 1이 2를 보다, 1이 2와 보다
    • 문형참고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29. 29. れいはいをする【礼拝をする】
    기독교에서, 예배를 드리다.
    基督教で、礼拝を聞く。
    • 미사를 보다.
    • 예배를 보다.
    • 유민은 일요일마다 교회에 가서 예배를 본다.
    • 성당에서 미사를 보는데 옆에 앉은 사람이 자꾸 떠들어서 신경이 쓰였다.
    • 가: 이번 주 일요일에 만날까?
    • 나: 오전에는 예배를 보러 가야 하니까 오후에 만나자.
    • 문형 : 1이 2를 보다
  30. 30. みる【見る】。みなす【見なす】
    무엇을 어떠하다고 생각하거나 판단하다.
    何がどうだと考えたり、判断したりする。
    • 실수로 보아 넘기다.
    • 날씨가 좋을 것으로 보다.
    • 상대를 만만하게 보다.
    • 나는 그의 말이 거짓말이라고 본다.
    • 검찰은 이번 사건을 단순 살인 사건으로 보지 않았다.
    • 인권이 보장되지 않는 나라는 선진국이라고 볼 수 없다.
    • 가: 잡상인은 들어올 수 없습니다.
    • 나: 이봐요, 사람을 어떻게 보고 하는 소리예요?
    • 문형 : 1이 2를 3으로 보다, 1이 2를 3-게 보다, 1이 2를 3-고 보다, 1이 2로 보다, 1이 2-고 보다
관용구 · 속담(6)
보다2
발음 : [보다 ]
활용 : 보는[보는], 보아[보아](봐[봐ː]), 보니[보니], 봅니다[봄니다]
보조 동사 補助動詞
  1. 1. みる
    앞의 말이 뜻하는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試すという意を表す「補助動詞」。
    • 승규는 새로운 일에 도전해 보는 것을 즐겼다.
    • 옷을 살 때에는 몸에 맞는지 한번 입어 보고 사는 것이 좋다.
    • 나는 한국에 처음 온 친구에게 경복궁에 가 보라고 추천했다.
    • 가: 찌개 맛있게 끓였어?
    • 나: 궁금하면 조금 먹어 .
    • ※ 동사 뒤에서 '-어 보다'로 쓴다.
  2. 2. たことがある
    앞의 말이 뜻하는 행동을 경험한 적이 있음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経験したことがあるという意を表す「補助動詞」。
    • 도서관에는 내가 읽어 적 없는 책들이 가득했다.
    • 나는 대학생 때 처음으로 데이트를 해 보았다.
    • 내 인도 친구는 한국에 와서 처음으로 김치를 먹어 보았다.
    • 가: 회사 일은 할 만하니?
    • 나: 어려울 줄 알았는데, 해 보니까 적성에 잘 맞고 좋아요.
    • ※ 동사 뒤에서 '-어 보다'로 쓴다.
  3. 3. みる
    앞의 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고 난 후에 뒤의 말이 뜻하는 사실을 새로 깨닫게 되거나, 뒤의 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してから後の言葉の表す事実に改めて気づいたり、後の言葉の表す状態になるという意を表す「補助動詞」。
    • 극장에 도착하고 보니 벌써 공연이 시작된 후였다.
    • 시험지를 제출하고 보면 항상 틀린 문제가 생각난다.
    • 승규한테 마구 화를 내고 보니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가: 이 많은 일을 언제 다 해?
    • 나: 일이 어떻게 되든 일단 먹고 보자.
    • ※ 동사 뒤에서 주로 ‘-고 보니’, ‘-고 보면’으로 쓴다.
  4. 4. いる
    앞의 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는 과정에서 뒤의 말이 뜻하는 사실을 새로 깨닫게 되거나, 뒤의 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する過程で、後の言葉の表す事実に改めて気づいたり、後の言葉の表す状態になるという意を表す「補助動詞」。
    • 오래 살다 보니 별일을 다 겪는다.
    • 친구와 앉아서 이야기를 하다 보면 스트레스가 풀린다.
    • 무슨 일이든지 꾸준히 하다 보면 어느새 익숙해지는 법이다.
    • 가: 나에게 이렇게 힘든 위기가 찾아올 거라고 생각도 못 했어.
    • 나: 살아가다 보면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생기게 되어 있어.
    • ※ 동사 뒤에서 '-다(가) 보니', '-다(가) 보면'으로 쓴다.
보다3
발음 : [보다 ]
활용 : 보는[보는], 보아[보아](봐[봐ː]), 보니[보니], 봅니다[봄니다]
보조 형용사 補助形容詞
  1. 1. ようだ。らしい
    앞의 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미루어 생각하거나 정확하지는 않지만 알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や状態を推し量って考えたり、不正確ではあるが知っているという意を表す「補助形容詞」。
    • 시끄러운 것을 보니 밖에 싸움이 났나 보다.
    • 몸이 여기저기 아픈 것을 보니 곧 비가 오려나 보다.
    • 지수가 약속에 늦는 것을 보니 집에 무슨 일이 생겼나 봐.
    • 가: 혹시 외국에서 오셨어요? 억양을 들어 보니 그런 것 같아요.
    • 나: 네, 저는 재미 교포예요.
    • ※ 동사, 형용사, '이다' 뒤에서 '-은가/-는가/-나 보다'로 쓴다.
  2. 2.
    앞의 말이 뜻하는 행동을 할 의도가 있음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行動をする意図があるという意を表す「補助形容詞」。
    • 집에 들어오는 길에 시장에 들러 장을 봐 올까 봐.
    • 이번 주말에는 모처럼 초등학교 동창들이나 만날까 보다.
    • 이번에 보너스도 받았는데 해외로 짧게 여행이나 갔다 올까 보다.
    • 가: 나 병원에 좀 다녀와야 할까 .
    • 나: 왜? 어디 아파?
    • ※ 동사 뒤에서 '-을까 보다'로 쓴다.
  3. 3.
    앞의 말이 뜻하는 상황이 될 것을 걱정하거나 두려워함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状況になることを心配したり恐れるという意を表す「補助形容詞」。
    • 나는 날씨가 추울까 옷을 두껍게 입고 왔다.
    • 아이는 거짓말을 하고 선생님께 들킬까 두려워했다.
    • 동생은 엄마에게 야단맞을까 지갑을 잃어버렸다는 말을 하지 못했다.
    • 가: 의사 선생님, 우리 애가 자꾸 건강이 나빠질까 봐서 너무 걱정이 되네요.
    • 나: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고 꾸준히 운동을 한다면 괜찮을 거예요. 너무 염려 마세요.
    • ※ 동사, 형용사, '이다' 뒤에서 '-을까 봐', '-을까 봐서'로 쓴다.
  4. 4.
    앞의 말이 뜻하는 상태가 뒤의 말의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말.
    前の言葉の表す状態が後の言葉の理由になるという意を表す「補助形容詞」。
    • 이 문제는 워낙 어렵다 보니 맞힌 사람이 거의 없다.
    • 한참 동안 친구들과 이야기하다 보니 어느새 자정이 되어 있었다.
    • 그는 젊었을 때 워낙 일만 하다 보니 건강이 나빠지는 줄도 몰랐다.
    • 가: 여보, 이제 들어오는 거예요?
    • 나: 미안해요. 일이 많다 보니 시간 가는 줄도 몰랐네요.
    • ※ 형용사, '이다' 뒤에서 '-다 보니', '-고 보니'로 쓴다.
보다4 ★★★
발음 : [보다 ]
부사 副詞
より
어떤 것과 비교해 한층 더.
他の物と比べて一層。
  • 보다 높다.
  • 보다 빠르다.
  • 보다 안전하다.
  • 보다 중요하다.
  • 우리는 보다 더 나은 삶과 미래를 위하여 열심히 일하고 있다.
  • 정부는 범죄를 막기 위해 보다 강력한 처벌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 우리 회사는 보다 싸고 질 좋은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려고 늘 노력한다.
  • 시장은 우리 시가 보다 살기 좋은 곳이 되도록 하겠다고 시민들에게 약속했다.
  • 가: 이번에 출시된 제품은 이전 것에 비해 어떤 점이 다른가요?
  • 나: 네,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했습니다.
보다5
발음 : []
참고 : 명사나 부사어 뒤에 붙여 쓴다.
조사 助詞
より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비교할 때, 비교의 대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는 조사.
互いに差のある物事を比べるとき、比較の基準になるという意を表す助詞。
  • 지수가 너보다 두 살이 많으니 언니라고 불러라.
  • 지금보다 더 나은 내가 되려면 더 노력해야 한다.
  • 기차보다 비행기가 빠르지만 요금이 비싸다.
  • 물속에서 운동을 하면 땅 위에서보다 운동 효과가 좋다고 한다.
  • 가: 선생님 말씀대로 보고서를 수정했어요.
  • 나: 그래. 처음보다 훨씬 나아졌구나.
보답 (報答)
발음 : [보ː답 ]
활용 : 보답이[보ː다비], 보답도[보ː답또], 보답만[보ː담만]
명사 名詞
おんがえし【恩返し】。むくい【報い】
남에게 받은 은혜나 고마움을 갚음.
人から受けた恩に報いること。
  • 충분한 보답.
  • 헛된 보답.
  • 선물에 대한 보답.
  • 은혜에 대한 보답.
  • 보답의 의미.
  • See More
  • 나는 아무런 보답을 바라지 않고 그에게 선물을 주었다.
  • 우리를 가르쳐 주신 선생님께 보답으로 작은 선물을 드렸다.
  • 많은 이들이 나를 도와주었지만 나는 그들에게 아무런 보답도 못하고 있었다.
  • 가: 지난번에 나를 도와준 것이 고마워서 보답의 의미로 책을 한 권 샀어. 받아.
  • 나: 와, 고마워. 잘 읽을게.
보답하다 (報答 하다)
발음 : [보ː다파다 ]
동사 動詞
おんがえしする【恩返しする】。むくいる【報いる】
남에게 받은 은혜나 고마움을 갚다.
人から受けた恩を返す。
  • 보답하는 뜻.
  • 보답하는 마음.
  • 보답할 길.
  • 걱정에 보답하다.
  • 사랑에 보답하다.
  • See More
  • 부모님의 한없는 은혜에 다 보답할 길이 있을까.
  • 선생님의 가르침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했다.
  • 선수들은 국민들의 관심과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경기에 임했다.
  • 가: 네 소개로 여기서 일하게 된 지수는 뭐든지 열심히 해.
  • 나: 응. 내가 소개해 준 것에 보답하려고 열심히 일하는 모습이 참 예뻐.
  • 문형 : 1이 2에/에게 보답하다, 1이 2를 보답하다
보도1 (步道)
발음 : [보ː도 ]
명사 名詞
ほどう【歩道】
사람이 걸어 다닐 수 있게 만든 길.
人が歩けるように設けた道。
  • 안전한 보도.
  • 보도 점검.
  • 보도가 끊기다.
  • 보도를 걷다.
  • 보도를 넓히다.
  • See More
  • 경찰은 보도에 진입하여 행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차량을 단속했다.
  • 어젯밤에 내린 눈 때문에 보도가 미끄러워서 행인들의 발걸음이 조심스럽다.
  • 가: 백화점에 가려면 어느 쪽으로 가면 되나요?
  • 나: 이 보도를 따라 쭉 걸어가시면 돼요.
보도2 (報道) ★★
발음 : [보ː도 ]
명사 名詞
ほうどう【報道】
신문이나 방송 등의 대중 매체를 통해 여러 사람에게 새로운 소식을 알림. 또는 그 소식.
新聞や放送などの大衆媒体を通じて、複数の人に新しい消息を知らせること。また、その消息。
  • 보도 기사.
  • 보도 뉴스.
  • 보도가 되다.
  • 보도가 정확하다.
  • 보도를 쓰다.
  • See More
  • 오늘 뉴스에서는 정부를 비판하는 내용의 보도가 주를 이루었다.
  • 검찰 비리에 대한 보도에 국민들은 크게 실망하였다.
  • 공정하지 못한 언론의 보도 태도가 문제가 되고 있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