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빠지다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きる【切る】
앞의 말이 나타내는 상태의 정도가 아주 심하여 못마땅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현.
前の言葉の表す状態の程度が極めてひどくて気に入らないという意を表す表現。
  • 성공하고 싶으면 네 썩어 빠진 정신 상태부터 고쳐야 할 거다.
  • 김치가 시어 빠져 김치찌개를 만들었더니 맛이 무척 좋았다.
  • 늙어 빠진 내 얼굴을 보니 한숨부터 났다.
  • 가: 유민이 아직도 안 일어났어?
  • 나: 깨워도 안 일어나네요. 애가 게을러 빠져서 걱정이에요.
-어서
참고 : ‘이다’,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1. 1. て。てから
    앞의 말과 뒤의 말이 순차적으로 일어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前の事柄と後の事柄が順次に起こる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지수는 친구에게 화분을 하나 얻어서 키우기 시작했다.
    • 나는 편지에 작은 사진을 함께 넣어서 친구에게 보냈다.
    • 할머니는 글을 배워서 손자에게 직접 편지를 쓰고 싶었다.
    • 차가 너무 막히자 승규는 택시에서 내려서 그냥 뛰기 시작했다.
    • 가: 겉옷을 어디에 둘까요?
    • 나: 벗어서 옷걸이에 걸어라.
  2. 2. て。から。ので。ため。ゆえ【故】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理由や根拠の意を表す「連結語尾」。
    • 지수는 시간이 없어서 식사도 못 했다.
    • 나는 약속을 못 지켜서 친구에게 많이 미안했다.
    • 날씨가 추워서 나는 어제 하루 종일 집에 있었다.
    • 가: 갑자기 왜 배가 아파?
    • 나: 저녁을 너무 많이 먹어서 체한 것 같아.
  3. 3. て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手段や方法の意を表す「連結語尾」。
    • 우리는 다음 장소까지 걸어서 이동하기로 했다.
    • 우리 가족은 모닥불에 고구마를 구워서 먹었다.
    • 지수는 종이를 접어서 꽃과 동물 등을 곧잘 만들어 냈다.
    • 가: 네가 직접 그린 그림이야? 정말 멋있다.
    • 나: 시간을 정말 많이 들여서 완성한 거야.
-어서는 안 되다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てはいけない。てはならない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금지하거나 제한함을 나타내는 표현.
ある行動や状態を禁止または制限するという意を表す表現。
  • 공연 중에 떠들어서는 안 된대.
  • 길에 쓰레기를 버려서는 안 됩니다.
  • 실수가 있어서는 안 되니 다시 한번 확인하세요.
  • 아기를 재울 때는 자장가 소리가 너무 커서는 안 돼요.
  • 가: 엄마, 너무 배고파요. 밥 많이 주세요.
  • 나: 그래도 배고프다고 너무 빨리 먹어서는 안 돼. 천천히 먹으렴.
-어서야
참고 : '이다',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語尾
  1. 1. てようやく。てはじめて【て初めて】
    시간을 강조하며 어떤 시간에 이르러서 비로소 뒤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상황이나 사건이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時間を強調しながら、ある時刻に至ってはじめて後にくる言葉の表す状況や出来事が起こったことを表す「連結語尾」。
    • 화가는 삼 년이 걸려서야 그림 하나를 완성했다.
    • 아버지께서는 반주를 몇 잔 마시고 밤이 깊어서야 집에 오셨다.
    • 우리는 한참을 웃고 떠들다가 자정이 넘어서야 잠이 들었다.
    • 그는 밀린 일을 끝내고 밤이 늦어서야 퇴근을 했다.
    • 우리가 몇 번을 잡고 흔들어서야 승규가 잠에서 깼다.
    • 가: 너 너무 졸려보인다. 어렵다던 과제는 잘 냈어?
    • 나: 어제 밤 새고 새벽이 다 되어서야 겨우 제출했어.
  2. 2. ては
    앞의 말이 원인이나 이유, 전제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前の言葉が原因や理由、前提である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이렇게 날이 추워서야 아무 데도 못 가겠다.
    • 물로 대충대충 씻어서야 찌든 때가 닦일 리가 없다.
    • 이렇게 글에 내용이 없어서야 누가 읽고 감동을 받겠니.
    • 가: 아빠는 흰머리가 나는데 염색할 생각이 없으세요?
    • 나: 머리가 다 희어서야 염색을 하지, 지금은 안 해도 돼.
    • 가: 나 아까 저녁에 먹은 게 체한 것 같아.
    • 나: 그렇게 급하게 먹어서야 체하지 않는 게 이상하지.
  3. 3. ては
    앞의 말을 옳지 않게 생각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前の言葉の内容を好ましく思わないという意を表す「連結語尾」。
    • 남의 이야기를 함부로 엿들어서야 되겠니?
    • 민준아, 몸에 안 좋은 음식을 그렇게 마구 집어서야 되겠니?
    • 가: 아주머니, 한 번만 외상으로 해 주세요.
    • 나: 저도 돈을 벌려고 장사하는 건데 외상만 늘어서야 되겠어요?
    • 가: 이따가 몇 시간만 하면 일을 끝낼 수 있겠지?
    • 나: 그래도 중요한 일인데 그렇게 적은 시간을 들여서야 되겠니.
어부지리 (漁夫之利)
발음 : [어부지리 ]
명사 名詞
ぎょふのり【漁夫の利】
두 사람이 서로 다투는 사이에 다른 사람이 힘들이지 않고 이익을 대신 얻는다는 말.
両者が争っているのにつけ込んで第三者が力を入れずに利益を横取りすることのたとえ。
  • 어부지리가 돌아가다.
  • 어부지리가 생기다.
  • 어부지리를 가지다.
  • 어부지리를 보다.
  • 어부지리로 얻다.
  • 꾀가 많은 그는 적을 이간질하여 어부지리를 얻었다.
  • 쟁쟁한 우승 후보였던 두 선수의 치열한 몸싸움으로 인해 어부지리로 서열 삼 위였던 선수가 일 등을 차지했다.
  • 가: 자네 돈 좀 벌었다며?
  • 나: 응, 어부지리 격으로 예상치 못한 돈이 굴러 들어왔어.
어불성설 (語不成說)
발음 : [어ː불성설 ]
명사 名詞
ふごうり【不合理】。ひろんりてき【非論理的】
말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말.
話がまったく理屈に合わないという意味の言葉。
  • 우리에게 하루 만에 그 많은 과제를 하라는 것은 어불성설이었다.
  • 사람을 위해 만들어 놓은 물건이 오히려 사람에게 해를 준다는 것은 어불성설일 수밖에 없다.
  • 가: 산 지 이틀 만에 고장 난 냉장고인데도 환불해 줄 수 없대.
  • 나: 그건 어불성설이야.
어사 (御史)
발음 : [어ː사 ]
명사 名詞
ぎょし【御史】
조선 시대에, 왕의 명령을 받고 몰래 파견되어 지방 관리의 통치와 백성의 생활을 살피던 벼슬.
朝鮮時代に王の命令を受けて秘密裏に派遣され、地方官の統治を監察する一方、人々の生活ぶりを調べる官職。
  • 훌륭한 어사.
  • 어사 나으리.
  • 어사의 마패.
  • 어사가 나타나다.
  • 어사가 출두하다.
  • 전라도 어사는 난폭한 탐관오리를 떨게 할 만큼 훌륭했다.
  •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한 그는 어사가 되어 왕에게 충성을 다하였다.
어색하다 (語塞 하다) ★★
발음 : [어ː새카다 ]
활용 : 어색한[어ː새칸], 어색하여[어ː새카여](어색해[어ː새캐]), 어색하니[어ː새카니], 어색합니다[어ː새캄니다]
형용사 形容詞
  1. 1. きまずい【気まずい】
    잘 모르거나 별로 만나고 싶지 않았던 사람과 마주 대하여 불편하고 자연스럽지 못하다.
    よく知らない人やあまり会いたくない人に会って、互いに気持ちがしっくりせず、不自然である。
    • 어색한 관계.
    • 어색한 사람.
    • 분위기가 어색하다.
    • 사이가 어색하다.
    • 첫 만남이 어색하다.
    • 처음 보는 그녀와 마주 앉아 이야기를 건네는 것이 몹시 어색하다.
    • 낯선 사람을 한 가족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 어색하고 부자연스럽다.
    • 가: 어제 소개팅 어땠어?
    • 나: 정말 어색해서 혼났어. 처음 만나서 얘기를 한다는 게 너무 겸연쩍은 것 있지?
    • 문형 : 1이 2가 어색하다
  2. 2. くるしい【苦しい】
    말의 근거가 부족하고 비논리적이다.
    言っていることの根拠が貧弱で非論理的である。
    • 어색한 답변.
    • 어색한 대답.
    • 어색한 말.
    • 어색한 반응.
    • 어색한 변명.
    • See More
    • 계속되는 추궁에 그는 당황하여 어색한 답변을 늘어 놓았다.
    • 왜 휴대 전화를 꺼 놓았냐는 남자 친구의 의심에 그녀는 어색한 변명만을 되풀이했다.
    • 가: 부정 선거 판결을 받은 김 후보의 기자 회견 봤어?
    • 나: 응, 궁지에 몰린 생쥐처럼 어색한 대답만 중얼거리더라.
    • 문형 : 1이 어색하다
  3. 3. ぎこちない。ふしぜんだ【不自然だ】
    격식이나 규범, 관습 등에 맞지 않아 자연스럽지 않다.
    格式や規範、慣習などに合わなくて自然でない。
    • 어색한 단어.
    • 어색한 문장.
    • 어색한 손놀림.
    • 어색한 웃음.
    • 어색한 차림.
    • See More
    • 사람들 앞에서 말하기가 어색하다.
    • 그는 여자하고 같이 있는 것에 매우 어색할 정도로 숙맥이다.
    • 가: 이 옷 어때? 매번 똑같은 스타일만 고집하는 것 같아서 변화를 주려고 하는데.
    • 나: 시도는 좋은데 조금 어색하게 느껴져.
    • 가: 선생님, 제가 쓴 영어 작문인데 어떠세요?
    • 나: 음, 대체적으로 잘 썼는데 이 어휘는 조금 어색하구나.
    • 문형 : 1이 어색하다
어서 ★★★
발음 : [어서 ]
부사 副詞
  1. 1. はやく【早く】。さあ
    일이나 행동을 빨리 하도록 재촉하는 말.
    仕事や行動を急ぐように促す語。
    • 어서 가다.
    • 어서 말하다.
    • 어서 먹다.
    • 어서 서두르다.
    • 어서 일어나다.
    • 여덟 시야. 어서 일어나. 지각하겠다.
    • 어서 좀 먹어. 하루 종일 아무것도 입에 대지 않으면 어떡하니.
    • 가: 어서 해치워 버리자.
    • 나: 그래. 주말까지 야근할 수는 없어.
  2. 2. さあ。どうぞ
    반갑게 맞아들이거나 간절히 권하는 말.
    嬉しく迎え入れたり、何かを勧めたりする時に用いる語。
    • 어서 들다.
    • 어서 오다.
    • 어서 들어오다.
    • 어서 오너라. 많이 기다렸단다.
    • 어서 눈 좀 떠. 제발.
    • 가: 어서 와. 오느라 고생 많았지?
    • 나: 아니에요, 사모님. 그간 평안하셨어요?
  3. 3. はやく【早く】
    지체 없이 빨리.
    遅滞なく急いで。
    • 어서 걷다.
    • 어서 말하다.
    • 어서 먹다.
    • 어서 처치하다.
    • 어서 출발하다.
    • 학교 앞에 유명한 가수가 왔다고 하니 어서 가서 그 가수를 봐야겠다.
    • 산에서 길을 잃은 남자는 어서 날이 밝아 사람들에게 구조되기를 바랐다.
    • 가: 이러다가 학교에 늦겠어.
    • 나: 어서 출발하자.
어서어서
발음 : [어서어서 ]
부사 副詞
  1. 1. はやくはやく【速く速く】。さあさあ
    일이나 행동을 아주 빨리 하도록 재촉하는 말.
    仕事や行動をとても速くするように催促する言葉。
    • 어서어서 가다.
    • 어서어서 달아나다.
    • 어서어서 서두르다.
    • 어서어서 자라다.
    • 어서어서 짐을 싸다.
    • 어서어서 달아나지 않으면 잡힐지도 몰라.
    • 어서어서 짐을 싸고 갈 채비를 해야지. 늦겠다.
    • 어서어서 돈을 모아 집도 사고 아내에게 예쁜 선물도 사 주고 싶다.
    • 가: 어서어서 서둘러. 지금 출발하지 않으면 막힐 거야.
    • 나: 알겠어. 지금 다 했어. 가자.
  2. 2. どうぞどうぞ
    매우 반갑게 맞아들이거나 매우 간절히 권하는 말.
    とてもうれしく迎え入れたり、とても切実に勧める言葉。
    • 어서어서 들다.
    • 어서어서 들어오다.
    • 어서어서 오다.
    • 날이 어서어서 풀려야 빨래를 말릴 수 있을 텐데.
    • 어서어서 이리 들어오십시오. 맛있는 음식들을 정성껏 준비했답니다.
    • 가: 어서어서 여기 앉으세요. 다리 주물러 드릴게요.
    • 나: 고마워요. 당신 덕분에 피로가 다 풀린 것 같아요.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