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빠지다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quá, cực
앞의 말이 나타내는 상태의 정도가 아주 심하여 못마땅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표현.
Cấu trúc thể hiện mức độ của trạng thái mà từ ngữ phía trước thể hiện rất nghiêm trọng nên không hài lòng.
- 성공하고 싶으면 네 썩어 빠진 정신 상태부터 고쳐야 할 거다.
- 김치가 시어 빠져 김치찌개를 만들었더니 맛이 무척 좋았다.
- 늙어 빠진 내 얼굴을 보니 한숨부터 났다.
- 가: 유민이 아직도 안 일어났어?
- 나: 깨워도 안 일어나네요. 애가 게을러 빠져서 걱정이에요.
-어서
참고 : ‘이다’,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vĩ tố
- 1. rồi앞의 말과 뒤의 말이 순차적으로 일어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Vĩ tố liên kết thể hiện vế trước và vế sau lần lượt xảy ra.
- 지수는 친구에게 화분을 하나 얻어서 키우기 시작했다.
- 나는 편지에 작은 사진을 함께 넣어서 친구에게 보냈다.
- 할머니는 글을 배워서 손자에게 직접 편지를 쓰고 싶었다.
- 차가 너무 막히자 승규는 택시에서 내려서 그냥 뛰기 시작했다.
- 가: 겉옷을 어디에 둘까요?
- 나: 벗어서 옷걸이에 걸어라.
- 2. nên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Vĩ tố liên kết thể hiện lý do hay căn cứ.
- 지수는 시간이 없어서 식사도 못 했다.
- 나는 약속을 못 지켜서 친구에게 많이 미안했다.
- 날씨가 추워서 나는 어제 하루 종일 집에 있었다.
- 가: 갑자기 왜 배가 아파?
- 나: 저녁을 너무 많이 먹어서 체한 것 같아.
- 3. bằng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Vĩ tố liên kết thể hiện phương tiện hay phương pháp.
- 우리는 다음 장소까지 걸어서 이동하기로 했다.
- 우리 가족은 모닥불에 고구마를 구워서 먹었다.
- 지수는 종이를 접어서 꽃과 동물 등을 곧잘 만들어 냈다.
- 가: 네가 직접 그린 그림이야? 정말 멋있다.
- 나: 시간을 정말 많이 들여서 완성한 거야.
-어서는 안 되다
참고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서야
참고 : '이다',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어미 vĩ tố
- 1. phải ... thì mới시간을 강조하며 어떤 시간에 이르러서 비로소 뒤에 오는 말이 나타내는 상황이나 사건이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Vĩ tố liên kết thể hiện sự nhấn mạnh thời gian, đạt đến thời gian nào đó thì xảy ra tình huống hay sự kiện mà vế sau thể hiện.
- 화가는 삼 년이 걸려서야 그림 하나를 완성했다.
- 아버지께서는 반주를 몇 잔 마시고 밤이 깊어서야 집에 오셨다.
- 우리는 한참을 웃고 떠들다가 자정이 넘어서야 잠이 들었다.
- 그는 밀린 일을 끝내고 밤이 늦어서야 퇴근을 했다.
- 우리가 몇 번을 잡고 흔들어서야 승규가 잠에서 깼다.
- 가: 너 너무 졸려보인다. 어렵다던 과제는 잘 냈어?
- 나: 어제 밤 새고 새벽이 다 되어서야 겨우 제출했어.
- 2. nên, phải ... thì mới앞의 말이 원인이나 이유, 전제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Vĩ tố liên kết thể hiện vế trước là nguyên nhân hay lý do, tiền đề.
- 이렇게 날이 추워서야 아무 데도 못 가겠다.
- 물로 대충대충 씻어서야 찌든 때가 닦일 리가 없다.
- 이렇게 글에 내용이 없어서야 누가 읽고 감동을 받겠니.
- 가: 아빠는 흰머리가 나는데 염색할 생각이 없으세요?
- 나: 머리가 다 희어서야 염색을 하지, 지금은 안 해도 돼.
- 가: 나 아까 저녁에 먹은 게 체한 것 같아.
- 나: 그렇게 급하게 먹어서야 체하지 않는 게 이상하지.
- 3. mà앞의 말을 옳지 않게 생각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Vĩ tố liên kết thể hiện sự suy nghĩ rằng nội dung ở trước là không đúng.
- 남의 이야기를 함부로 엿들어서야 되겠니?
- 민준아, 몸에 안 좋은 음식을 그렇게 마구 집어서야 되겠니?
- 가: 아주머니, 한 번만 외상으로 해 주세요.
- 나: 저도 돈을 벌려고 장사하는 건데 외상만 늘어서야 되겠어요?
- 가: 이따가 몇 시간만 하면 일을 끝낼 수 있겠지?
- 나: 그래도 중요한 일인데 그렇게 적은 시간을 들여서야 되겠니.
어부지리 (漁夫之利) ★
발음 : [어부지리 ]
명사 Danh từ
ngư ông đắc lợi
두 사람이 서로 다투는 사이에 다른 사람이 힘들이지 않고 이익을 대신 얻는다는 말.
Việc hai người đang tranh giành nhau thì người khác thu lợi mà không cần vất vả.
- 어부지리가 돌아가다.
- 어부지리가 생기다.
- 어부지리를 가지다.
- 어부지리를 보다.
- 어부지리로 얻다.
- 꾀가 많은 그는 적을 이간질하여 어부지리를 얻었다.
- 쟁쟁한 우승 후보였던 두 선수의 치열한 몸싸움으로 인해 어부지리로 서열 삼 위였던 선수가 일 등을 차지했다.
- 가: 자네 돈 좀 벌었다며?
- 나: 응, 어부지리 격으로 예상치 못한 돈이 굴러 들어왔어.
어불성설 (語不成說)
발음 : [어ː불성설 ]
명사 Danh từ
lời nói vô lý, lời nói không thể có
말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말.
Lời nói không đúng logic.
- 우리에게 하루 만에 그 많은 과제를 하라는 것은 어불성설이었다.
- 사람을 위해 만들어 놓은 물건이 오히려 사람에게 해를 준다는 것은 어불성설일 수밖에 없다.
- 가: 산 지 이틀 만에 고장 난 냉장고인데도 환불해 줄 수 없대.
- 나: 그건 어불성설이야.
어사 (御史)
발음 : [어ː사 ]
명사 Danh từ
ngự sử, quan tuần mật
조선 시대에, 왕의 명령을 받고 몰래 파견되어 지방 관리의 통치와 백성의 생활을 살피던 벼슬.
Quan nhận mệnh lệnh của vua rồi được bí mật phái đi để giám sát việc cai quản của quan lại địa phương và sinh hoạt của người dân, ở thời Joseon.
- 훌륭한 어사.
- 어사 나으리.
- 어사의 마패.
- 어사가 나타나다.
- 어사가 출두하다.
- 전라도 어사는 난폭한 탐관오리를 떨게 할 만큼 훌륭했다.
-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한 그는 어사가 되어 왕에게 충성을 다하였다.
- 유의어 암행어사
어색하다 (語塞 하다) ★★
발음 : [어ː새카다 ]
활용 : 어색한[어ː새칸], 어색하여[어ː새카여](어색해[어ː새캐]), 어색하니[어ː새카니], 어색합니다[어ː새캄니다]
형용사 Tính từ
- 1. lúng túng, bối rối잘 모르거나 별로 만나고 싶지 않았던 사람과 마주 대하여 불편하고 자연스럽지 못하다.Bất tiện và không được tự nhiên khi đối diện với người mà mình không quen hoặc không muốn gặp lắm.
- 어색한 관계.
- 어색한 사람.
- 분위기가 어색하다.
- 사이가 어색하다.
- 첫 만남이 어색하다.
- 처음 보는 그녀와 마주 앉아 이야기를 건네는 것이 몹시 어색하다.
- 낯선 사람을 한 가족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 어색하고 부자연스럽다.
- 가: 어제 소개팅 어땠어?
- 나: 정말 어색해서 혼났어. 처음 만나서 얘기를 한다는 게 너무 겸연쩍은 것 있지?
- 문형 : 1이 2가 어색하다
- 2. vụng về, thô thiển말의 근거가 부족하고 비논리적이다.Lời nói thiếu căn cứ hoặc không lôgic.
- 어색한 답변.
- 어색한 대답.
- 어색한 말.
- 어색한 반응.
- 어색한 변명. See More
- 계속되는 추궁에 그는 당황하여 어색한 답변을 늘어 놓았다.
- 왜 휴대 전화를 꺼 놓았냐는 남자 친구의 의심에 그녀는 어색한 변명만을 되풀이했다.
- 가: 부정 선거 판결을 받은 김 후보의 기자 회견 봤어?
- 나: 응, 궁지에 몰린 생쥐처럼 어색한 대답만 중얼거리더라.
- 문형 : 1이 어색하다
- 3. vụng về, khập khiễng격식이나 규범, 관습 등에 맞지 않아 자연스럽지 않다.Không tự nhiên vì không đúng cách thức, quy phạm hay tập quán...
- 어색한 단어.
- 어색한 문장.
- 어색한 손놀림.
- 어색한 웃음.
- 어색한 차림. See More
- 사람들 앞에서 말하기가 어색하다.
- 그는 여자하고 같이 있는 것에 매우 어색할 정도로 숙맥이다.
- 가: 이 옷 어때? 매번 똑같은 스타일만 고집하는 것 같아서 변화를 주려고 하는데.
- 나: 시도는 좋은데 조금 어색하게 느껴져.
- 가: 선생님, 제가 쓴 영어 작문인데 어떠세요?
- 나: 음, 대체적으로 잘 썼는데 이 어휘는 조금 어색하구나.
- 문형 : 1이 어색하다
어서 ★★★
발음 : [어서 ]
부사 Phó từ
- 1. nhanh lên, mau lên일이나 행동을 빨리 하도록 재촉하는 말.Từ thúc giục để làm việc hay hành động nhanh chóng.
- 어서 가다.
- 어서 말하다.
- 어서 먹다.
- 어서 서두르다.
- 어서 일어나다.
- 여덟 시야. 어서 일어나. 지각하겠다.
- 어서 좀 먹어. 하루 종일 아무것도 입에 대지 않으면 어떡하니.
- 가: 어서 해치워 버리자.
- 나: 그래. 주말까지 야근할 수는 없어.
- 2. nhanh nhé, nhanh đi반갑게 맞아들이거나 간절히 권하는 말.Từ chào đón vui vẻ hoặc khuyên nhủ khẩn thiết.
- 어서 들다.
- 어서 오다.
- 어서 들어오다.
- 어서 오너라. 많이 기다렸단다.
- 어서 눈 좀 떠. 제발.
- 가: 어서 와. 오느라 고생 많았지?
- 나: 아니에요, 사모님. 그간 평안하셨어요?
- 3. mau lẹ, nhanh chóng지체 없이 빨리.Một cách nhanh chóng không trì trệ.
- 어서 걷다.
- 어서 말하다.
- 어서 먹다.
- 어서 처치하다.
- 어서 출발하다.
- 학교 앞에 유명한 가수가 왔다고 하니 어서 가서 그 가수를 봐야겠다.
- 산에서 길을 잃은 남자는 어서 날이 밝아 사람들에게 구조되기를 바랐다.
- 가: 이러다가 학교에 늦겠어.
- 나: 어서 출발하자.
어서어서
발음 : [어서어서 ]
부사 Phó từ
- 1. nhanh nhanh lên, mau mau lên일이나 행동을 아주 빨리 하도록 재촉하는 말.Từ thúc giục để làm nhanh công việc hay hành động.
- 어서어서 가다.
- 어서어서 달아나다.
- 어서어서 서두르다.
- 어서어서 자라다.
- 어서어서 짐을 싸다.
- 어서어서 달아나지 않으면 잡힐지도 몰라.
- 어서어서 짐을 싸고 갈 채비를 해야지. 늦겠다.
- 어서어서 돈을 모아 집도 사고 아내에게 예쁜 선물도 사 주고 싶다.
- 가: 어서어서 서둘러. 지금 출발하지 않으면 막힐 거야.
- 나: 알겠어. 지금 다 했어. 가자.
- 2. nhanh nhanh nhé, nhanh nhanh đi매우 반갑게 맞아들이거나 매우 간절히 권하는 말.Từ chào đón vui vẻ hoặc khuyên nhủ khẩn thiết.
- 어서어서 들다.
- 어서어서 들어오다.
- 어서어서 오다.
- 날이 어서어서 풀려야 빨래를 말릴 수 있을 텐데.
- 어서어서 이리 들어오십시오. 맛있는 음식들을 정성껏 준비했답니다.
- 가: 어서어서 여기 앉으세요. 다리 주물러 드릴게요.
- 나: 고마워요. 당신 덕분에 피로가 다 풀린 것 같아요.
'한국어기초사전 > 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슬렁거리다, 어슬렁대다, 어슬렁어슬렁, 어슬렁어슬렁하다, 어슬렁이다, 어슴푸레, 어슴푸레하다, 어슷비슷하다, 어슷썰기, 어슷하다 (0) | 2020.02.06 |
---|---|
-어서인지, 어선, 어선단, 어설프다, 어설피, 어수룩하다, 어수선하다, 어순, 어스름, 어스름하다 (0) | 2020.02.06 |
-어 버릇하다, -어 버리다, -어 보다, -어 보이다, -어 봤자, 어버이, 어버이날, 어법, 어벙하다, 어부 (0) | 2020.02.06 |
어물어물, 어물어물하다, 어물쩍, 어물쩍거리다, 어물쩍대다, 어물쩍어물쩍, 어물쩍어물쩍하다, 어물쩍이다, 어물쩍하다, 어미¹, 어미², 어민 (0) | 2020.02.06 |
어머나, 어머니, 어머님, 어머머, 어멈, 어명, 어묵, 어문학, 어물거리다, 어물대다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