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입금 (借入金)
발음 : [차ː입끔 ]
명사 名詞
かりいれきん・しゃくにゅうきん【借入金】
외부에서 빌린 돈.
外部から借り入れた資金。
  • 단기 차입금.
  • 차입금 상환.
  • 차입금 이자.
  • 차입금을 갚다.
  • 차입금을 늘리다.
  • 그 기업은 기한이 다 될 때까지 차입금을 상환하지 못했다.
  • 우리 회사는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차입금 규모가 늘어났다.
  • 가: 지금 가장 빨리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일까요?
  • 나: 운영 자금을 대부분 차입금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차입하다 (借入 하다)
발음 : [차ː이파다 ]
동사 動詞
かりいれる【借り入れる】。しゃくにゅうする【借入する】
돈이나 물건을 외부에서 빌리다.
金銭や物品などを外部から借りてくる。
  • 차입하는 방법.
  • 거금을 차입하다.
  • 예금을 차입하다.
  • 외화를 차입하다.
  • 자금을 차입하다.
  • See More
  • 우리 팀은 야외 촬영을 위하여 방송 장비를 차입하였다.
  • 그 회사는 은행에서 거액을 차입하여 투자 규모를 늘렸다.
  • 가: 이번에 금융 기관에서 회사 운영 자금을 추가로 차입한대요.
  • 나: 기존 차입금이 남아 있는 상태라서 걱정이 되네요.
  • 문형 : 1이 2에서 3을 차입하다
차장1 (次長)
발음 : [차장 ]
명사 名詞
じちょう【次長】
관공서나 회사 등에서 가장 높은 장 다음가는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사람.
官庁や会社などで、一番高い長の次に当たる職位。また、その職にいる人。
  • 차장으로 발령 나다.
  • 차장으로 부임하다.
  • 차장으로 승진하다.
  • 차장으로 임명하다.
  • 차장으로 취임하다.
  • 우리 삼촌은 최근에 차장에서 부장으로 승진하였다.
  • 청장의 자리가 비어 차장이 청장 직무 대리로 임명되었다.
  • 가: 김 과장, 이번에 차장으로 임명되었다면서? 축하해.
  • 나: 감사합니다, 부장님.
차장2 (車掌)
발음 : [차장 ]
명사 名詞
しゃしょう【車掌】
기차나 버스, 전차 등에서 차비를 받거나 운행, 승객에 관한 일을 맡아서 하는 사람.
列車やバス、電車などの車中で、運賃の受け取りや乗客関連業務を担当する人。
  • 버스 차장.
  • 차장 제도.
  • 차장이 나서다.
  • 차장이 요금을 받다.
  • 차장이 표를 확인하다.
  • 차장은 기차를 돌아다니면서 승객들의 차표를 검사했다.
  • 문 앞에 앉은 차장이 버스에 타는 사람들에게 차비를 받았다.
  • 가: 버스에 차장이 없어진 지 오래된 것 같군.
  • 나: 그러게 말이야. 예전엔 차장이 승객들을 태웠었지.
차전놀이 (車戰 놀이)
발음 : [차전노리 ]
명사 名詞
チャジョンノリ
음력 정월 대보름에 두 편으로 나누어 얽은 나무에 올라탄 사람의 지휘로 상대편을 먼저 땅에 닿게 하는 민속놀이.
「テボルム(上元;陰暦の1月15日)」に縄で縛られた木の先端の輪の上に立った人の指揮で、相手方を地面につかせることを競う民俗遊戯。普通、二組に分かれて行う。
  • 차전놀이 시연.
  • 차전놀이 전승자.
  • 차전놀이를 구경하다.
  • 차전놀이를 즐기다.
  • 차전놀이에 참여하다.
  • 정월 대보름에 마을 사람들이 두 편으로 갈라져 차전놀이를 하였다.
  • 나는 차전놀이에 참여하여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장수의 지휘에 따라 움직였다.
  • 가: 이번 대보름에 차전놀이를 시연한대.
  • 나: 와, 그런 민속놀이는 본 적 없는데 구경하러 가 볼까?
차점자 (次點者)
발음 : [차쩜자 ]
명사 名詞
じてんしゃ【次点者】。じてん【次点】
최고점이나 기준점에 다음가는 점수나 표를 얻은 사람.
最高点や基準点の次になる点数・票を手に入れた人。
  • 차점자를 격려하다.
  • 차점자를 추가 선발하다.
  • 차점자를 합격시키다.
  • 차점자로 떨어지다.
  • 차점자에 못 미치다.
  • 지수는 시험에서 차점자로 아쉽게 탈락하였다.
  • 우리 과는 등록한 합격자가 정원에 못 미쳐 차점자를 추가로 선발하였다.
  • 가: 의원으로 당선되지 못하셔서 너무 아쉽네요.
  • 나: 이번엔 아깝게 차점자로 낙선하였지만 다음을 준비해야지요.
차제 (此際)
발음 : [차제 ]
명사 名詞
このさい【この際】。このきかい【この機会】
때마침 주어진 기회.
ちょうど与えられた機会。
  • 차제에 나서다.
  • 차제에 제시하다.
  • 차제에 짚다.
  • 차제에 털어놓다.
  • 차제에 해결하다.
  •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은 차제에 건의 사항들을 발표하였다.
  • 나는 문제가 일어난 차제에 예방 시스템을 마련하자고 주장했다.
  • 가: 지금 우리 회사의 위기 상황을 기회로 바꾸어야 합니다.
  • 나: 차제에 기업 구조를 개선하여 위기를 안정적으로 극복합시다.
  • ※ 주로 '차제에'로 쓴다.
차종 (車種)
발음 : [차종 ]
명사 名詞
しゃしゅ【車種】
자동차나 철도 차량 등의 종류.
自動車や鉄道の車両などの種類。
  • 주력 차종.
  • 다양한 차종.
  • 모든 차종.
  • 차종 개발.
  • 차종을 바꾸다.
  • See More
  • 나는 돈을 모아 자동차를 비싼 차종으로 바꾸었다.
  • 차종은 자동차 충돌 시험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 가: 우리 철도 박물관에는 모든 차종의 기차 모형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 나: 와, 정말 다양한 종류의 모형들이 있네요.
차주 (車主)
발음 : [차주 ]
명사 名詞
くるまのもちぬし【車の持ち主】。くるまのしょゆうしゃ【車の所有者】
차의 주인.
車を所有した持ち主。
  • 차주의 책임.
  • 차주가 아니다.
  • 차주가 운전하다.
  • 차주에게 보상하다.
  • 차주와 연락하다.
  • 주차되어 있는 차에 접촉 사고를 낸 운전자는 바로 차주에게 연락했다.
  • 나는 길에 주차되어 있는 차를 옮겨 달라고 차주에게 부탁했다.
  • 가: 이 차는 오래되어 보이는데 언제 사신 거예요?
  • 나: 제가 운전하는 차지만 차주는 아니라서 모르겠어요.
차지
발음 : [차지 ]
명사 名詞
ぶん【分】。とりぶん【取り分】。わけまえ【分け前】。もの【物】
사물이나 공간, 지위 등을 자기 몫으로 가짐. 또는 그 사물이나 공간.
物品や空間、地位などを自分の分け前として所有すること。また、その所有する物品や空間。
  • 공간 차지.
  • 아이들 차지.
  • 웃어른 차지.
  • 동생의 차지.
  • 아내의 차지.
  • 교실의 맨 뒷자리는 언제나 지수 차지였다.
  • 우리 집에 있는 장난감은 모두 막내 동생의 차지였다.
  • 가: 언니, 이 옷 예쁘니까 나 줘. 내가 입을래.
  • 나: 넌 옷도 많으면서 이 옷까지 차지를 하겠다는 건 너무하지 않니?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