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 (湯)
접사 接辞
  1. 1. スープ。しる【汁】。なべ
    ‘국’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スープ・汁物」の意を付加する接尾辞。
    • 갈비
    • 감자
    • 매운
    • 보신
    • 삼계
    • See More
    • ※ 흔히 일반적인 국에 비해 오래 끓여 진하게 국물을 우려낸 것을 이른다.
    • 참고어 탕¹
  2. 2. とう【湯】
    ‘달여 먹는 약’이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
    「煎じて飲む湯薬」の意を付加する接尾辞。
    • 갈근
    • 십전대보
    • 쌍화
발음 : [탇 ]
활용 : 탓이[타시], 탓도[탇또], 탓만[탄만]
명사 名詞
  1. 1. せい【所為】。ため【為】
    부정적인 현상이 생겨난 원인이나 이유.
    否定的な現象が起こった原因や理由。
    • 날씨 .
    • 성격 .
    • 친구 .
    • 환경 .
    • 게으른 .
    • See More
    • 아버지는 회사 일로 바쁜 에 아이들의 생일도 챙겨 주지 못했다.
    • 어린 아이들에게 시달린 인지 아기 엄마는 얼굴이 수척해 보였다.
    • 그 직원은 이번 일의 실패는 모두 내 탓이라며 자신이 책임을 지겠다고 했다.
    • 가: 아침을 못 먹고 나왔더니 기운이 없어.
    • 나: 이게 다 니가 게으른 탓이야. 아침에 십 분만 일찍 일어나 봐.
  2. 2. せい【所為】
    핑계로 삼아 잘못된 일을 나무라거나 원망하는 일.
    それを言い訳にして間違いなどを咎めたり恨むこと。
    • 날씨 .
    • 운명 .
    • .
    • 을 하다.
    • 으로 돌리다.
    • See More
    • 민준이는 일이 잘 되지 않으면 항상 다른 사람들 탓만 한다.
    • 김 과장은 이번 분기 성과가 좋지 않자 사원들의 으로 돌렸다.
    • 가: 너랑 어제 싸우는 바람에 중요한 시험을 망쳤어.
    • 나: 넌 언제나 남 탓만 하는구나.
탓하다
발음 : [타타다 ]
동사 動詞
せいにする【所為にする】。うらむ【恨む】
다른 사람이나 상황 등을 핑계로 삼아 나무라거나 원망하다.
他人や状況などを言い訳にして咎めたり恨む。
  • 탓하는 마음.
  • 탓하는 이유.
  • 남을 탓하다.
  • 잘못을 탓하다.
  • 친구를 탓하다.
  • See More
  • 김 감독은 경기에서 진 것에 대해 자기를 탓하였다.
  • 지수는 항상 남 탓하는 버릇이 있어 친구들의 질타를 받았다.
  • 형은 사업에 망하자 동업하던 친구를 탓하며 불만을 토로했다.
  • 가: 널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내 탓이지, 누굴 탓하겠니?
  • 나: 아니에요. 제가 잘못했어요.
  • 문형 : 1이 2를 탓하다
1 (湯)
발음 : [탕ː ]
명사 名詞
  1. 1. スープ。しるもの【汁物】。しる【汁】
    (높임말로) 국.
    (尊敬語)スープや汁物。
    • 재료.
    • 뜨거운 .
    • 맑은 .
    • 이 식다.
    • 을 끓이다.
    • See More
    • 아버지의 밥상에는 이 항상 올라갔다.
    • 배가 고팠던 지수는 에 밥을 말아 허겁지겁 먹었다.
    • 나는 국물 요리를 좋아하는 민준이를 위해 저녁 식사에 을 준비했다.
    • 가: 왜 건더기는 안 먹었니?
    • 나: 전 원래 을 먹을 때 국물만 마셔요.
  2. 2. スープ
    제사에 쓰는, 건더기가 많고 국물이 적은 국.
    祭祀に供する、具がたくさん入っていて汁は少ないスープ。
    • 재료.
    • 을 끓이다.
    • 을 뜨다.
    • 을 올리다.
    • 을 준비하다.
    • 제사가 시작되자 어머니께서는 을 내 오셨다.
    • 이번 설날 차례상에는 을 떡국으로 대신했다.
    • 가: 어머님, 제사상에 뭐부터 준비할까요?
    • 나: 우선 을 끓이게 쇠고기 좀 다듬어라.
2 (湯)
발음 : [탕ː ]
명사 名詞
  1. 1. よくじょう【浴場】
    온천이나 목욕탕 등의 시설.
    温泉や銭湯などの施設。
    • 해수 .
    • 완공된 .
    • 을 개장하다.
    • 에 가다.
    • 에 다녀오다.
    • 나는 오랜만에 에 가서 목욕을 했다.
    • 동네에 새로 생긴 은 시설이 매우 좋았다.
    • 가: 지수야, 근처에 해수 이 생겼다던데 가보지 않을래?
    • 나: 아, 난 온천은 별로라. 미안해.
  2. 2. よくそう【浴槽】。ゆぶね【湯船】。ふろ【風呂】。バスタブ
    목욕탕 안에 물을 채워 놓은 곳.
    浴場の中で、お湯を満たしておいた所。
    • 따뜻한 .
    • 차가운 .
    • 을 비우다.
    • 을 청소하다.
    • 을 채우다.
    • See More
    • 나는 사우나에서 나와 바로 차가운 에 들어갔다.
    • 지수는 따뜻한 안에 있으니 마음이 편안해졌다.
    • 목욕탕에는 몸을 헹구고 탕에 들어가라는 안내가 적혀 있었다.
    • 가: 엄마, 저 약간 어지러워요.
    • 나: 에 너무 오래 있었던 거 아니니? 좀 누워 있어 봐.
3
발음 : [탕 ]
의존 명사 依存名詞
  1. 1. かい【回】。ど【度】
    무엇을 실어 나르거나 일정한 곳까지 다녀오는 횟수를 세는 단위.
    物を載せて運んだり一定の場所まで行ってくる回数を数える単位。
    • 을 왕복하다.
    • 을 다녀오다.
    • 민준이는 매일 서울에서 수원까지 두 을 왕복한다.
    • 김 기사는 화물을 서울에서 대전까지 두 이나 실어 날랐다.
    • 가: 지수야, 시내에 배달 좀 다녀오너라.
    • 나: 오늘 벌써 두 이나 갔다왔는데, 이번엔 오빠가 가면 안 될까요?
  2. 2. かい【回】。ど【度】
    어떤 일을 하는 횟수를 세는 단위.
    ある行為をする回数を数える単位。
    • 을 하다.
    • 을 뛰다.
    • 지수는 하루에 아르바이트를 두 이나 뛰었다.
    • 민준이는 오전과 오후, 저녁까지 모두 세 의 일정이 잡혔다.
    • 가: 산에 다녀오세요?
    • 나: 응, 아까 오전에도 가고, 지금 두 째야.
4
발음 : [탕 ]
부사 副詞
  1. 1. どん。がん。がちん。がちゃん
    작은 쇠붙이나 단단한 물건이 세게 부딪쳐 울리는 소리.
    金属の破片や堅いものなどが強くぶつかって鳴り響く音。
    • 놓다.
    • 두드리다.
    • 닫다.
    • 치다.
    • 튀다.
    • 강한 바람에 교실 문이 닫혔다.
    • 나는 쓰러지면서 머리를 벽에 부딪쳤다.
    • 화가 난 민준이는 테이블 위에 잔을 내려놓았다.
    • 가: 아까 무슨 소리야? 갑자기 하고 큰소리가 나서 놀랐어.
    • 나: 아, 아까 선반이 떨어지면서 바닥에 크게 부딪쳤어.
  2. 2. どん。ずどん。ばん
    총을 쏘는 소리.
    銃を撃つ音。
    • 소리.
    • 나다.
    • 발사하다.
    • 쏘다.
    • 울리다.
    • 시합의 시작을 알리는 총소리가 울렸다.
    • 소리와 함께 총에 맞은 멧돼지가 쓰러졌다.
    • 경찰은 달아나는 범인을 향해 총을 쏘았다.
탕감 (蕩減)
발음 : [탕ː감 ]
명사 名詞
めんじょ【免除】。ちょうけし【帳消し】。ぼうびき【棒引き】。げんめん【減免】
빚이나 요금, 세금 등의 물어야 할 것을 덜어 줌.
借金・料金・税金など、払うべき金銭や債務をなくしてあげたり減らしてあげること。
  • 조세 탕감.
  • 이자 탕감.
  • 부채 탕감.
  • 탕감 조건.
  • 탕감 정책.
  • See More
  • 우리 회사는 지난해 세금에 대해 탕감을 받았다.
  • 정부는 공기업의 부채 중 일부분 탕감을 결정했다.
  • 김 후보는 농민들의 부채 탕감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탕감되다 (蕩減 되다)
발음 : [탕ː감되다 /탕ː감뒈다 ]
동사 動詞
めんじょされる【免除される】。ちょうけしされる【帳消しされる】。ぼうびきされる【棒引きされる】。げんめんされる【減免する】
빚이나 요금, 세금 등의 물어야 할 것이 덜어지다.
借金・料金・税金など、払うべき金銭や債務がなくされたり減らされたりする。
  • 탕감된 세금.
  • 반으로 탕감되다.
  • 이자가 탕감되다.
  • 조세가 탕감되다.
  • 채무가 탕감되다.
  • 흉년으로 소작료가 반으로 탕감되었다.
  • 극심한 취업난의 대안으로 학자금 이자가 탕감되었다.
  • 직업이 없는 지수에게는 절반으로 탕감된 빚도 여전히 큰 부담이었다.
  • 문형 : 1이 탕감되다
탕감하다 (蕩減 하다)
발음 : [탕ː감하다 ]
동사 動詞
めんじょする【免除する】。ちょうけしする【帳消しする】。ぼうびきする【棒引きする】。げんめんする【減免する】
빚이나 요금, 세금 등의 물어야 할 것을 덜어 주다.
借金・料金・税金など、払うべき金銭や債務をなくしてあげたり減らしてあげる。
  • 빚을 탕감하다.
  • 세금을 탕감하다.
  • 이자를 탕감하다.
  • 절반을 탕감하다.
  • 부당하게 탕감하다.
  • 농지 조합은 최 노인의 빚의 절반을 탕감해 주었다.
  • 우리 회사는 부채를 탕감하기 위해 주식을 매각하고 있다.
  • 정부는 생계형 채무자들의 연체 이자를 탕감해 주기로 결정했다.
  • 문형 : 1이 2를 탕감하다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