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되다 (土着 되다)
발음 : [토착뙤다 /토착뛔다 ]
동사 動詞
どちゃくする【土着する】
대대로 그곳에서 태어나서 살게 되다. 또는 그곳에 들어와서 정착하게 되다.
先祖代々、同じ土地に住んでいる。また、その土地に住み着く。
  • 문화가 토착되다.
  • 사상이 토착되다.
  • 신앙이 토착되다.
  • 종교가 토착되다.
  • 우리나라에 토착되다.
  • 새로운 문화나 사상이 토착되는 기간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길다.
  • 원래는 외부에서 들어온 종교였는데 반세기가 지난 후 결국 그 나라에 토착되었다.
  • 가: 경쟁 기업이 해외 여러 나라에 토착된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
  • 나: 응. 맞아. 우리도 이제는 해외로 수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지.
  • 문형 : 1이 2에 토착되다
토착하다 (土着 하다)
발음 : [토차카다 ]
동사 動詞
どちゃくする【土着する】
대대로 그곳에서 태어나서 살다. 또는 그곳에 들어와서 정착하다.
先祖代々、同じ土地に住んでいる。また、その土地に住み着く。
  • 토착해서 살다.
  • 토착해서 지내다.
  • 현지에 토착하다.
  • 어렵게 토착하다.
  • 그 지역은 워낙 사람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어서 현지에 토착한 사람이 극히 드물었다.
  • 우리는 이 나라에 토착해서 지낸 지도 몇십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외국인 취급을 받는다.
  • 가: 우리 다시 다른 나라로 이주해야 한다면서? 어렵게 토착했는데 또 떠나야 하는구나.
  • 나: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하셨던 것처럼 우리도 그 나라에 가서 다시 노력을 해 보자.
  • 문형 : 1이 2에 토착하다
토착화 (土着化)
발음 : [토차콰 ]
명사 名詞
どちゃくか【土着化】。ナチュラリゼーション
어떤 제도나 풍습, 사상 등이 그 지역에 알맞게 변하여 뿌리를 내리게 됨. 또는 그렇게 함.
ある制度や風習、思想などがその地域に合うように変わり、根付くこと。また、そうさせること。
  • 토착화 과정.
  • 토착화 문제.
  • 문화의 토착화.
  • 사상의 토착화.
  • 제도의 토착화.
  • See More
  • 오랜 노력 끝에 현지 토착화에 성공한 우리 회사는 지금 많은 이윤을 남기고 있다.
  • 사실 종교의 토착화는 쉬운 일이 아님에도 기독교는 여러 나라에 뻗어나가고 있다.
  • 가: 해외로 진출할 때는 제품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토착화 문제를 잘 해결해야 해.
  • 나: 아, 정말 그렇겠네요. 감사합니다, 선배님.
토착화되다 (土着化 되다)
발음 : [토차콰되다 /토차콰뒈다 ]
동사 動詞
どちゃくかする【土着化する】
어떤 제도나 풍습, 사상 등이 그 지역에 알맞게 변하여 뿌리를 내리게 되다.
ある制度や風習、思想などがその地域に合うように変わり、根付く。
  • 토착화되는 과정.
  • 토착화된 상태.
  • 문화가 토착화되다.
  • 사상이 토착화되다.
  • 제도가 토착화되다.
  • See More
  • 우리나라에 새로운 학문이 토착화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 국제적인 교류가 활발하다고 해도 외국 문화가 토착화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 가: 그 나라에 기독교가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참 많은 선교사들이 희생됐어.
  • 나: 응. 목숨을 걸고 다른 나라에 오다니 대단한 거 같아.
  • 문형 : 1이 2에 토착화되다
토착화하다 (土着化 하다)
발음 : [토차콰하다 ]
동사 動詞
どちゃくかする【土着化する】
어떤 제도나 풍습, 사상 등이 그 지역에 알맞게 변하여 뿌리를 내리게 되다. 또는 그렇게 하다.
ある制度や風習、思想などがその地域に合うように変わり、根付く。また、そうさせる。
  • 토착화하는 과정.
  • 토착화하는 방법.
  • 토착화하는 전략.
  • 이 땅에 토착화하다.
  • 생활 속에 토착화하다.
  • 회사가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결국은 성공하였다.
  • 회의 시간에 우리 상품을 현지에 토착화하는 전략들을 내놓았지만 별 소용이 없었다.
  • 가: 이 땅에 토착화할 수 있는 우리만의 방법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 나: 그렇지만 앞서 시행착오를 겪은 다른 회사들의 경험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 문형 : 1이 2에 토착화하다, 1이 2를 3에 토착화하다
토큰 (token)
명사 名詞
トークン
(옛날에) 버스 요금을 낼 때 돈 대신에 내는 동전 모양의 물건.
昔、バス料金を払うときにお金の代わりに使った乗車用コイン。
  • 토큰 판매소.
  • 토큰이 사라지다.
  • 토큰을 넣다.
  • 토큰을 사다.
  • 토큰을 이용하다.
  • See More
  • 옛날에는 버스를 탈 때 토큰이라는 것을 사용하곤 했었다.
  • 요즘에는 토큰을 파는 곳이 없지만 옛날에는 참 많이 이용했었다.
  • 가: 처음 토큰이 사라졌을 때는 참 아쉽더니 이제는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게 너무 당연하게 되었어.
  • 나: 시대가 변하면서 그때에 맞는 것들이 사용이 되는 거지.
토테미즘 (totemism)
명사 名詞
トーテミズム
신성하다고 믿는 동식물이나 자연물을 우러르고 받드는 사회 체제 및 종교 형태.
神聖なものだと信じる動植物や自然物を崇める社会体制及び宗教。
  • 토테미즘의 특징.
  • 토테미즘의 흔적.
  • 토테미즘이 나타나다.
  • 토테미즘이 존속하다.
  • 토테미즘을 발견하다.
  • 문명의 발달이 더딘 지역에는 아직도 토테미즘이 존속하고 있다.
  • 우리는 발굴된 유물들을 보면서 토테미즘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 가: 역사책을 읽다보니 대부분의 원시 부족 사회가 특정 동물을 신성시하곤 했던 것 같아.
  • 나: 응. 그런 걸 바로 토테미즘이라고 해.
토템 (totem)
명사 名詞
トーテム
원시 사회에서 부족 또는 씨족 집단과 특별한 관계가 있다고 믿어 신성하게 여기는 동식물이나 자연물.
原始時代に、部族または血族などの集団と特別な関係をもっているとして神聖視された動植物や自然物。
  • 부족의 토템.
  • 사회의 토템.
  • 토템 동물.
  • 토템 사상.
  • 토템 신앙.
  • See More
  • 한 부족의 토템은 그 부족에게 있어 꼭 필요한 동물일 경우가 많다.
  • 내가 방문했던 한 부족 마을에서는 거북이를 토템으로 숭배하고 있었다.
  • 가: 원시 사회에서는 인간이 동물보다 약했기 때문에 그들을 신으로 생각할 수도 있었을 것 같아.
  • 나: 응. 그래서 토템으로 섬기는 짐승들은 대부분 강한 것들이 많잖아.
토플 (TOEFL)
명사 名詞
トーフル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는 나라에 유학을 가려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시험.
英語を公用語としている国に留学しようとする人を対象に実施する英語の試験。
  • 토플 문제.
  • 토플 성적.
  • 토플 시험.
  • 토플이 열리다.
  • 토플을 보다.
  • See More
  • 지수는 토플 점수가 낮아 미국 유학을 갈 수 없었다.
  • 나는 토플을 준비하면서 영어 실력이 많이 향상되었다.
  • 가: 토플 성적이 발표되었다고 하던데 너는 몇 점 받았어?
  • 나: 응, 생각했던 것보다 점수가 너무 낮게 나왔어.
토픽 (topic)
명사 名詞
  1. 1. トピック
    이야기의 제목.
    話の題目。論題。
    • 독특한 토픽.
    • 참신한 토픽.
    • 특이한 토픽.
    • 토픽을 선택하다.
    • 토픽을 정하다.
    • 이야기를 쓰고 난 후 토픽을 선택하는 일은 만만한 것이 아니다.
    • 출판사 직원들 덕분에 참신한 토픽을 정하여 책이 많이 팔린 것 같다.
    • 가: 이 글은 어떤 내용이기에 이런 자극적인 토픽을 적어 놓았을까?
    • 나: 나는 아까 먼저 읽어보았는데 제목만 그렇지 글의 내용은 교훈적이더라.
  2. 2. トピック。トピックス
    이야기할 만한 재료나 내용.
    話題になる事柄。
    • 해외 토픽.
    • 토픽을 가져오다.
    • 토픽을 만들다.
    • 토픽을 찾다.
    • 토픽으로 삼다.
    • 어제 일어난 일은 친구들과 농담할 때 토픽으로 삼기에 딱 좋은 일이었다.
    • 나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 보통 개인적인 토픽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 가: 모르는 사람과 단둘이 있다 보면 가장 어색한 게 뭐인 것 같아?
    • 나: 당연히 토픽이 생각나지 않는 것이지. 서로에 대해 아는 게 없으니 이야기할 거리도 없잖아.

+ Recent pos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