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운 회사 (通運會社)
つううんがいしゃ【通運会社】
물건을 실어 날라 주고 돈을 받는 회사.
運賃を取って貨物を輸送する会社。
  • 통운 회사 직원.
  • 통운 회사를 설립하다.
  • 통운 회사를 이용하다.
  • 통운 회사에 맡기다.
  • 우리는 이삿짐을 통운 회사에 맡겨 옮기기로 했다.
  • 통운 회사는 하루에도 수만 개의 물건을 실어 나른다.
  • 오전에 통운 회사에서 물건이 집으로 배달되었다는 연락이 왔다.
통원 (通院)
발음 : [통원 ]
명사 名詞
つういん【通院】
병원에 치료를 받으러 다님.
病院へ治療を受けに通うこと。
  • 통원 일정.
  • 통원 치료.
  • 통원 환자.
  • 통원이 필요하다.
  • 통원을 권하다.
  • See More
  • 김 씨는 병이 많이 호전되어 퇴원을 하고 통원 치료를 받기로 했다.
  • 간호사가 환자에게 앞으로의 통원 일정과 치료 방법을 설명해 주었다.
  • 남 씨는 큰 충격으로 얻게 된 심장병 때문에 몇 년째 통원 치료를 받고 있다.
통원하다 (通院 하다)
발음 : [통원하다 ]
동사 動詞
つういんする【通院】
병원에 치료를 받으러 다니다.
病院へ治療を受けに通う。
  • 통원하는 날.
  • 통원하며 치료하다.
  • 정기적으로 통원하다.
  • 한 달 동안 통원하다.
  • 민준이는 종합 검진에서 발견된 병을 치료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통원하기로 했다.
  • 의사는 정 씨에게 병세가 좋아졌으니 퇴원하여 통원하며 경과를 지켜보자고 말했다.
  • 가: 승규야, 오늘 할아버지 모시고 병원에 다녀올 수 있겠니?
  • 나: 오늘이 할아버지 통원하는 날이었어요? 알겠어요. 제가 모시고 다녀올게요.
  • 문형 : 1이 통원하다
통유리 (통 琉璃)
발음 : [통뉴리 ]
명사 名詞
いちまいいたのガラス【一枚板のガラス】
잇거나 자르지 않은 크게 하나로 된 유리.
つなげたり切ったりしていない、一枚の大きなガラス。
  • 두꺼운 통유리.
  • 커다란 통유리.
  • 통유리 창.
  • 통유리를 달다.
  • 통유리로 되다.
  • 지수는 자리에 앉아 통유리를 통해 바깥을 내다보았다.
  • 유민이가 커다란 통유리로 된 창 옆에 선 채로 나를 불렀다.
  • 이 갤러리에서는 통유리로 들어오는 햇살을 받으며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통일 (統一) ★★
발음 : [통ː일 ]
명사 名詞
  1. 1. とういつ【統一】
    나누어지거나 갈라진 것들을 합쳐서 하나가 되게 함.
    分かれているものを一つにまとめること。
    • 삼국 통일.
    • 조국 통일.
    • 통일 국가.
    • 통일 문제.
    • 통일 정책.
    • See More
    • 할아버지께서는 통일이 되어 남과 북이 하나가 되는 날을 늘 꿈꾸셨다.
    • 평화적인 통일을 이루기 위해 무력보다는 대화를 통해 남북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 가: 김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했다는군.
    • 나: 이러한 노력이 쌓이다 보면 언젠가 우리나라도 통일을 이룰 수 있겠지?
  2. 2. とういつ【統一】
    서로 다른 것들을 같게 함.
    互いに異なるものを揃えること。
    • 맞춤법 통일.
    • 메뉴 통일.
    • 방법 통일.
    • 복장 통일.
    • 의견 통일.
    • See More
    • 각자의 입장이 너무나도 달랐던 우리는 의견 통일을 보이지 못했다.
    • 자료 정리 방식이 통일이 되지 않아 자료 정리 방식이 모두 제각각이었다.
    • 가: 아이들 동작이 잘 안 맞는 것 같아.
    • 나: 그래? 아직까지 춤 동작이 통일이 안 되나 보네.
  3. 3. とういつ【統一】
    여러 가지 생각을 버리고 정신이나 마음을 집중함.
    雑念を取り払い、精神・気持ちを集中させること。
    • 정신 통일.
    • 그는 정신 통일을 위해 조용한 절에 가서 지내고 있다.
    • 어떠한 경우라도 정신 통일만 할 수 있다면 이루지 못 할 일이 없을 것이다.
    • 가: 정신 통일! 그렇게 산만해서 어떻게 공부를 하니?
    • 나: 저는 너무 조용하면 오히려 공부가 안 된단 말이에요.
    • ※ 주로 '정신 통일'로 쓴다.
통일감 (統一感)
발음 : [통ː일감 ]
명사 名詞
とういつかん【統一感】。いったいかん【一体感】
여러 요소들이 있으면서도 전체가 마치 하나와 같은 느낌.
様々な要素が混在しながらも全体が一つにまとまっているような感覚。
  • 통일감이 떨어지다.
  • 통일감이 없다.
  • 통일감을 느끼다.
  • 통일감을 이루다.
  • 통일감을 주다.
  • 이 색깔들은 밝은 계열의 색으로 함께 사용했을 때 통일감을 준다.
  • 지수가 집을 꾸미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이 가구들의 통일감이다.
  • 이 소설은 이야기의 전개가 중간에 갑자기 바뀌어서 전체적으로 통일감이 부족하다.
통일되다 (統一 되다)
발음 : [통ː일되다 /통ː일뒈다 ]
동사 動詞
  1. 1. とういつされる【統一される】
    나누어지거나 갈라진 것들이 합쳐져 하나가 되다.
    それぞれ分かれているものが一つにまとめられる。
    • 계파가 통일되다.
    • 남북이 통일되다.
    • 삼국이 통일되다.
    • 하나로 통일되다.
    • 자연스럽게 통일되다.
    • 할머니께서는 하루빨리 남북이 통일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 박 의원은 당 내의 여러 계파가 하나로 통일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 가: 어제 남북의 이산가족들이 만나는 장면을 보니 정말 안타깝더라.
    • 나: 맞아. 한반도가 얼른 통일되면 그런 슬픔이 없어질 텐데.
    • 문형 : 1이 통일되다
  2. 2. とういつされる【統一される】
    여러 가지 생각이 없어지고 정신이나 마음이 집중되다.
    雑念がなくなり、精神・気持ちが集中できるようになる。
    • 정신이 통일되다.
    • 승규는 여러 가지 생각에 좀처럼 정신이 통일되지 않았다.
    • 민준이는 오랜 명상 끝에 마침내 정신이 통일되는 상태에 이르렀다.
    • 스님은 잡념을 버리고 정신이 통일될 수 있도록 한 가지 생각에 집중하라고 하셨다.
    • 문형 : 1이 통일되다
  3. 3. とういつされる【統一される】。そろう【揃う】。まとまる
    서로 다른 것들이 같아지다.
    互いに異なるのが同じようになる。
    • 메뉴가 통일되다.
    • 복장이 통일되다.
    • 사상이 통일되다.
    • 의견이 통일되다.
    • 이론이 통일되다.
    • See More
    • 사람들마다 달랐던 서류 정리 방식이 가나다순으로 통일되었다.
    • 선생님들은 소풍에서 아이들의 인솔을 위해 복장이 하나로 통일될 필요가 있다고 말씀하셨다.
    • 가: 점심으로 뭐 먹을지 결정했어?
    • 나: 응. 이쪽은 자장면으로 통일됐어.
    • 문형 : 1이 2로 통일되다
통일성 (統一性)
발음 : [통ː일썽 ]
명사 名詞
とういつせい【統一性】
여러 요소들이 있으면서도 전체가 마치 하나와 같이 느껴지는 성질.
様々な要素が混在しながらも全体が一つのように感じられる性質。
  • 작품의 통일성.
  • 내적 통일성.
  • 통일성이 결여되다.
  • 통일성이 요구되다.
  • 통일성을 갖추다.
  • See More
  • 이 글은 여러 이야기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통일성이 없다.
  • 이 동작은 이 군무에서 가장 통일성을 필요로 하는 동작이다.
  • 이번에 수행한 여러 과제들은 하나의 특징으로 묶이는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
통일 신라 (統一新羅)
とういつしらぎ【統一新羅】
한반도의 삼국을 통일한 676년 이후의 신라. 신라는 중국의 당나라와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다음, 당나라를 몰아내고 삼국을 통일하였다. 935년 고려의 왕건에게 항복하여 멸망하였다.
韓半島の三国を統一した676年以降の新羅。新羅は中国の唐と連合して百済と高句麗を滅ぼした後、唐を退けて三国を統一。935年に高麗の王建(ワン・ゴン)に降伏して滅亡。
통일안 (統一案)
발음 : [통ː이란 ]
명사 名詞
  1. 1. とういつあん【統一案】
    여럿을 통일하여 하나로 만든 안.
    複数の案を統一して一つにした案。
    • 맞춤법 통일안.
    • 새로운 통일안.
    • 통일안이 발표되다.
    • 통일안을 내놓다.
    • 통일안을 제시하다.
    • 당시 이 학회는 한글 맞춤법에 대한 통일안을 발표했다.
    • 우리는 여러 의견들을 종합한 합리적인 통일안을 고민했다.
    • 가: 우리가 각자 다른 방식으로 작업을 하다 보니까 문제가 생기는 것 같아요.
    • 나: 맞아요. 작업 방향을 알려 주는 통일안이 필요해요.
  2. 2. とういつあん【統一案】
    통일을 위한 회의나 법률의 안건.
    韓半島の統一に向けた会議・法律の案件。
    • 남북의 통일안.
    • 단계적 통일안.
    • 통일안을 발표하다.
    • 통일안을 내놓다.
    • 정부는 앞으로 시행하게 될 통일안을 발표했다.
    • 몇몇 의원들이 평화적 자유 민주 통일안을 내놓았다.
    • 정 의원은 성급한 통일에 반대하며 단계적 통일안을 주장했다.

+ Recent posts

TOP